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 鄭厲公與虢叔殺子穨納惠王
‧蔿國出王하고 而立
子穨하니 王處於鄭三年하다
穨飮三大夫酒할새 하야 樂及러니
吾聞之호니 司寇行戮이면 君爲之不擧라커늘 而况敢樂禍乎
今吾聞子穨歌舞하야 라하니 夫出王而代其位하니 禍孰大焉
臨禍忘憂 是謂樂禍
禍必及之하리라 盍納王乎
虢叔許諾하다
鄭伯 將王自하고 虢叔 自北門入하야 殺子穨及三大夫하니 王乃하다


11. 정여공鄭厲公괵숙虢叔과 함께 자퇴子穨를 죽이고 혜왕惠王을 들이다
【大義】周惠王이 王子穨에게 쫓겨나 3년 동안 鄭나라에 있다가 鄭伯과 虢叔의 도움으로 다시 復位한 사실을 기록하다.
혜왕惠王 2년에 변백邊伯석칙石遫위국蔿國혜왕惠王을 축출하고 왕자王子를 왕으로 세우니, 혜왕惠王나라에서 3년 동안 살았다.
자퇴子穨가 세 대부大夫와 술을 마실 적에, 자국子國상객上客이 되어 육대六代무악舞樂을 두루 연주하였다.
정여공鄭厲公괵숙虢叔에게 말하였다.
“내가 들으니 사구司寇가 사형을 집행할 때엔 임금은 그 사람을 위하여 음악을 연주하지 않는다고 한다. 더구나 감히 남이 당한 를 즐거워한단 말인가?
지금 내가 들으니 자퇴子穨가 노래하고 춤추면서 근심하기를 생각하지 않는다고 하니, 이는 남이 당한 를 즐거워하는 것이다. 왕을 축출하고 그 왕위王位를 대신했으니, 어떤 가 이보다 더 크겠는가?
에 임하여 근심을 잊는 것을 바로 를 즐거워한다고 이르는 것이다.
가 반드시 자기에게 미칠 것이니, 어찌 왕을 다시 들여보내지 않겠는가!”
괵숙虢叔이 허락하였다.
정백鄭伯혜왕惠王을 모시고 어문圉門으로부터 들어오고, 괵숙虢叔은 북문으로부터 들어와 자퇴子穨와 세 대부大夫를 죽이니, 왕이 마침내 들어왔다.


역주
역주1 惠王 : 惠王은 平王의 五世孫이고, 莊王의 孫子. 이름은 閬인데 底本의 韋昭注에는 ‘毋涼’이라 하였고, 四部備要本의 韋昭注에는 ‘涼’으로 되어 있다. 또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의하면 “舊音賈逵注에 毋자가 없고, 〈世本〉과 〈古今人表〉에는 모두 毋涼으로 썼는데, 《史記》에는 閬으로 썼으니 閬과 涼의 음이 비슷하고, 또 毋자가 없어서 어떤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 하였다.
역주2 三[二] : 四部備要本과 諸本에 모두 ‘三’으로 되어 있으나,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 ‘二’로 써야 되니, 《史記》 〈周本紀〉 등에 ‘二’로 교정하였다.”라 하였다.
역주3 邊伯‧石遫‧蔿國出王 : 邊伯‧石遫‧蔿國 세 사람은 모두 周王室의 大夫. 蔿國은 子穨의 스승. 惠王이 즉위하여 蔿國의 園圃와 邊伯의 집을 빼앗고, 또 石遫의 벼슬을 회수하자 세 사람이 공모하여 惠王을 축출하고 王子穨를 세웠다.
역주4 : 四部備要本과 《左傳》에는 ‘速’으로 되어 있는데 音이 같다.
역주5 王子穨 : 周莊王의 작은아들. 惠王의 숙부. 莊王의 애첩 姚姬의 아들인데, 莊王에게 총애를 받아 蔿國을 스승으로 삼게 되었다.
역주6 : 四部備要本에는 ‘王’자가 없다.
역주7 : 四部備要本에는 ‘子’자 앞에 ‘王’자가 더 있다.
역주8 子國爲客 : 子國은 곧 蔿國. 客은 上客이다.
역주9 徧儛 : 上古六代의 舞曲을 두루 연주함. 六代의 舞曲을 韋昭는 “黃帝는 雲門, 堯는 咸池, 舜은 大招(소), 禹는 大夏, 殷은 大濩, 周는 大武라고 한 것을 말한다.[謂黃帝曰雲門 堯曰咸池 舜曰大招 禹曰大夏 殷曰大濩 周曰大武]”고 하였다. 陽伯峻은 《春秋左傳》 莊公20年條의 注에서 黃帝의 음악으로 雲門에 大卷을 추가하였고, 堯의 음악을 大咸으로, 舜의 음악을 大韶라 하였다.
역주10 鄭厲公見虢叔 : 鄭厲公은 鄭莊公의 아들로, 이름은 姬突. 虢叔은 周王室의 卿士로, 虢公林父이며, 이름은 丑이다.
역주11 不思憂 : 四部備要本에 ‘不息’으로 썼으나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공서본〉에 ‘不思憂’라 썼으니 이것이 옳다. 아래 글의 ‘臨禍忘憂’가 바로 ‘樂禍’이다.” 하였기에 따르지 않는다.
역주12 〈樂禍也〉 : 四部備要本에 ‘樂禍也’의 세 글자가 있고, 文勢로 보아 당연히 있어야겠기에 보충하였다.
역주13 圉門 : 王城의 南門.
역주14 : 四部備要本에는 ‘入’자 뒤에 ‘也’자가 더 있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