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2. 王孫圉論國之寶
[大義]국보는 그것이 국가에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가려서 보물로 삼음.
聘於晉하니饗之할새 趙簡子鳴玉以相이라가 問於王孫圉曰 楚之猶在乎 對曰 然하다
簡子曰 其爲寶也幾何矣
未嘗爲寶
楚之所寶者 曰觀射父 能作하야 以行事於諸侯하야 使無以寡君爲口實하니라
又有하니 能道訓典하야 以叙百物하고 以朝夕獻善敗於寡君하야 使寡君無忘先王之業하고 又能上下說鬼神하야 順道其欲惡하야 使神無有怨痛于楚國하니라
又有藪하니하야 金木竹箭之所生也
龜‧珠‧‧皮‧革‧羽‧毛 所以備하야以戒不虞者也
所以共幣帛하야 以賓享於諸侯者也
若諸侯之好幣具어든 而導之以訓辭하고 有不虞之備
寡君其可以免罪於諸侯하고 而國民保焉이니 此楚國之寶也니라
若夫白珩 先王之玩也이리오
圉聞國之寶六而已
能制議百物하야 以輔相國家하니 則寶之하고 玉足以庇蔭嘉穀하야 使無水旱之災하니 則寶之하고 龜足以憲藏하니 則寶之하고하니 則寶之하고足以禦兵亂하니 則寶之하고 山林藪澤 足以備財用하니 則寶之
若夫譁囂之美 楚雖蠻夷 不能寶也니라


222. 왕손王孫가 국가의 보물에 대하여 논하다
왕손王孫나라에 빙문聘問을 가 진정공晉定公이 잔치를 열어 줄 적에 조간자趙簡子패옥佩玉을 울리면서 잔치하는 를 돕다가 왕손王孫에게 묻기를, “나라의 백형白珩이 아직도 있습니까?” 하니, 왕손王孫가 대답하기를, “그렇습니다.” 하였다.
조간자趙簡子가 말하기를, “백형白珩국보國寶된 값어치는 얼마나 됩니까?” 하였다.
왕손王孫가 대답하였다.
“우리는 일찍이 이것을 국보國寶로 삼은 적이 없습니다.
나라에서 보물로 삼는 것은 관사보觀射父이니, 훈사訓辭에 뛰어나 각 제후국諸侯國에 가서 외교활동外交活動에 종사하여 우리 임금께 시빗거리가 되지 않도록 합니다.
좌사左史의상倚相이 있는데 선왕先王훈사訓辭전적典籍에 관한 진술陳述을 잘하여 온갖 일의 차례를 정하고, 아침저녁에 전대前代성패成敗를 우리 임금께 말씀드려서 우리 임금께서 선왕先王공업功業을 잊지 않도록 하며, 또 상하上下의 귀신을 기뻐하게 하여 그들의 원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에 순응하여 행함으로써 귀신이 나라에서 원한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이라는 호수가 있는데, 도주徒洲에까지 이어져서 쇠‧나무‧대나무‧화살대가 생산됩니다.
거북 등딱지‧진주珍珠‧짐승의 뿔‧상아象牙‧짐승의 가죽‧무소가죽‧새의 깃털‧모우미牦牛尾는 군대의 필요한 물품을 제공하니, 이것을 써서 뜻밖의 돌발 사태에 대비합니다.
폐백幣帛을 공급해서 제후諸侯들과 연향宴享할 때 주는 예물禮物로 씁니다.
만일 제후諸侯들이 지나치게 폐백幣帛을 좋아하면, 외교사령外交辭令으로 양국의 관계를 소통시키고, 뜻밖의 돌발 사태를 막는 준비가 있게 되면, 천신天神이 우리나라를 돕습니다.
우리 임금께서 제후諸侯들에게 죄를 면할 수 있고, 국가와 백성이 보전될 것이니, 이것이 나라의 보물입니다.
백형白珩 같은 것은 선왕先王이 좋아하여 가지고 놀던 물건이니, 어찌 보물일 수 있겠습니까?
저는 국가가 보물로 삼는 것은 여섯 가지일 뿐이라고 들었습니다.
성현聖賢은 모든 일을 제정하고 의론하여 국가를 다스리는 일을 도우니 국보國寶로 여기고, 옥기玉器는 좋은 곡식을 비호하여 가뭄과 홍수의 재해를 없게 하니 국보國寶로 여기고, 거북 등딱지는 선악善惡을 밝게 제시하여 법으로 삼게 하니 보물로 여기고, 진주珍珠는 불을 능히 막아 주니 보물로 여기고, 전란戰亂을 막으니 보물로 여기고, 산과 숲과 호수에서는 재용財用을 공급하기에 충분하니 보물로 여기는 것입니다.
저 쟁그랑거리며 시끄럽게 울리는 아름다운 패옥佩玉은, 나라가 비록 오랑캐나라로 대우받기는 하지만 국보國寶로 여기지 않습니다.”


역주
역주1 王孫圉 : 춘추시대 楚나라의 大夫.
역주2 : 四部備要本에는 ‘圍’로 되어 있는데 《左傳》 定公 5년에 ‘圉’로 되어 있고, 《後漢書》 〈李固傳〉의 注와 《太平御覽》 〈服章 珍寶〉 등에 모두 ‘圉’로 되어 있으니, ‘圉’가 옳다.
역주3 定公 : 춘추시대 晉頃公의 아들. 이름은 午.
역주4 白珩 : 楚나라의 이름난 玉飾. 佩玉의 위쪽에 가로로 된 흰 玉을 珩이라고 하고 아래에 달려 있는 玉을 璜이라고 한다.
역주5 訓辭 : 지시하는 말. 外交辭令을 이른다.
역주6 左史倚相 : 左史는 史官의 하나. 天子의 왼쪽에서 天子의 거동을 기록하였다고 한다. 일설에는, 하는 말을 기록하였다고 한다. 《禮記 玉藻》 倚相은 춘추시대 楚나라의 左史. 三墳‧五典‧八索‧九丘의 글을 독파하여 靈王이 훌륭한 史官이라고 칭찬하였다 한다. 《左傳 昭公 12년》
역주7 : 四部備要本에는 ‘于’로 되어 있다.
역주8 雲連徒洲 : 雲은 지금의 湖北省 監利縣 북쪽에 있는 雲夢澤. 徒洲는 물 가운데의 삼각주 이름. 雲夢澤이 徒洲에까지 이어져 있음을 이른다.
역주9 齒‧角[角‧齒] : 四部備要本과 《群書治要》 및 韋昭의 注에 의거하여 ‘角‧齒’로 고쳤다.
역주10 : 兵力을 운용하는 데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는 賦稅.
역주11 : 四部備要本에는 ‘用’자가 없다.
역주12 皇神相之 : 天神이 도와줌. 皇은 大, 相은 돕는다는 뜻이다.
역주13 : 四部備要本에는 ‘寶’자 다음에 ‘之’자가 더 있다.
역주14 : 四部備要本에는 ‘聖’자 앞에 ‘明王’ 두 글자가 있고, 다음에 ‘人’자가 더 있다.
역주15 : 四部備要本에는 ‘否’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16 珠足以禦火災 : 韋昭는 “珍珠는 水精이기 때문에 화재를 막는다.” 하였다.
역주17 : 靑銅. 당시에는 靑銅으로 兵器를 만들었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