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2. 獻公將黜太子申生而立奚齊
驪姬生奚齊하고 其娣生卓子
公將黜大子申生하고 而立奚齊하다
相見 里克曰 夫史蘇之言 將及矣 其若之何 荀息曰
吾聞事君者 竭力以役事 不聞違命호라
君立臣從이어니
何貳之有리오
丕鄭曰
吾聞事君者 從其義 不阿其惑호라
惑則誤民이니 民誤失德이면 是棄民也니라
民之有君 以治義也
義以生利하고 利以豐民이니
若之何其民之與處而棄之也리오
必立大子하리라
里克曰 我不佞하야 雖不識義 亦不阿惑이니
吾其靜也하리라하고 三大夫乃別하다
할새 公稱疾不與하고 하다
言於大子曰 不出하고 奚齊在廟하니
子盍圖乎 大子曰
吾聞之하니 曰事君以敬이요 事父以孝라호니
受命不遷爲敬이요 敬順所安爲孝니라
不敬이요 作令 不孝
又何圖焉이리오
且夫而嘉其况 有不忠焉이요 以自成 有不貞焉이니라
孝‧敬‧忠‧貞 君父之所安也
棄安而圖 遠於孝矣
吾其止也하리라


82. 헌공獻公태자太子신생申生을 내치고 해제奚齊를 세우려 하다
【大義】獻公이 驪姬의 꼬임에 넘어가 太子申生을 폐하려는 과정에서, 현실을 바라보는 신하들의 각기 다른 세 가지 견해와 申生의 자기 안전보다 君父의 취지를 따르려는 충성과 효도.
여희驪姬해제奚齊를 낳고 여희驪姬의 여동생이 탁자卓子를 낳았다.
헌공獻公이 태자 신생申生을 태자 자리에서 내쫓고 해제를 세우려 하였다.
이극里克비정丕鄭순식荀息이 서로 함께 만나게 되었는데 이극이 말하기를 “사소史蘇가 했던 말이 장차 닥칠 것 같으니, 어떻게 해야 하겠소?” 하니, 순식이 말하였다.
“나는 임금을 섬기는 자는 힘을 다하여 임금을 위해 일해야 한다고 들었지 명령을 어긴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소.
임금이 태자를 세우시면 신하로서는 따라야 합니다.
어찌 두 마음을 가질 수 있겠소?”
비정丕鄭이 말하였다.
“나는 들으니 임금을 섬기는 자 그 의로운 일은 따르고 그 의혹스러운 일은 따르지 않는다 하였소.
임금이 의혹에 빠져 있으면 백성을 그르치게 되니 백성이 그릇되어 덕을 잃게 하는 것은 백성을 버리는 일입니다.
백성이 임금을 두려는 이유는 정치를 의롭게 해달라는 뜻에서입니다.
의로워야 이익이 생기고, 이익이 생겨야 백성이 풍요로워집니다.
어떻게 저들 백성과 함께 살면서 저들을 저버리겠소?
나는 반드시 태자를 세우겠소.”
이극이 말하기를 “나는 재주가 없어 비록 의로운 것은 모르나 또한 의혹스러운 일도 따르지는 않을 것이오.
나는 잠자코 있으렵니다.” 하고, 세 대부大夫가 헤어졌다.
무공武公의 사당에 겨울 제사를 지내면서 헌공獻公이 병을 핑계로 참여하지 않고 해제를 시켜서 제사를 주재하게 하였다.
맹족猛足이 태자에게 말하기를 “백씨伯氏인 태자를 내보내지 않고 해제가 사당에서 제사를 주재하고 있습니다.
태자께서는 어찌 안전책을 도모하지 않으십니까?” 하니, 태자가 말하였다.
“내가 양설대부羊舌大夫한테 들으니 그의 말이 ‘임금은 공경恭敬으로 섬기고 아버지는 효도로 섬겨야 한다.’고 하였다.
명령을 받아 변심하지 않는 것이 공경恭敬이요, 〈아버지께서〉 편안해 하시는 바를 공경하고 순종하는 것이 효도이다.
명령을 버림은 불경不敬이요, 명령을 멋대로 만들어내는 것은 불효不孝이다.
또 내가 무슨 도모를 하겠느냐?
아버지가 사랑하는 사람을 이간시키면서 아버지가 내리시는 것을 즐거운 마음으로 누리는 것은 불충不忠이며, 남을 폐출시키고 자신의 목적을 이루는 것은 양심의 올곧지 않음이다.
은 아버지께서 훌륭하게 여기시는 바이다.
아버지께서 훌륭하게 여기시는 것을 버리고 스스로의 길을 도모하는 것은 효도에서 멀어지는 일이다.
나는 나를 위한 행동은 하지 않을 것이다.”


역주
역주1 里克‧丕鄭‧荀息 : 이들은 모두 진나라의 대부들이다. 이극은 나중에 驪姬와 奚齊와 卓子를 죽이고 망명 중인 夷吾를 불러들여 진나라의 위기를 바로잡는데 헌신하였고, 丕鄭은 里克의 거사를 도왔으며, 荀息은 해제의 스승으로 해제와 탁자가 죽자 그도 따라서 죽음을 택하였다.
역주2 : 四部備要本에는 ‘也’자가 없다.
역주3 烝於武公 : 烝은 사철에 지내는 제사 중 하나인 겨울 제사의 이름이다. 武公은 獻公의 아버지다. 무공의 사당은 曲沃에 있었다. 사철에 지내는 제사 이름은 봄의 祠, 여름의 禴, 가을의 嘗, 겨울의 烝이다.
역주4 使奚齊涖事 : 奚齊에게 제사를 주재하게 한 것은 신하와 백성들에게 申生을 태자에서 폐하고 奚齊를 태자로 삼고자 하는 자신의 뜻을 넌지시 알리려는 목적에서이다.
역주5 猛足 : 태자의 家臣이다.
역주6 伯氏 : 맏형을 이르는 말이니 바로 태자를 지칭하는 말이다. 일설에는 申生의 이복동생 重耳의 외조부인 狐突이라는 주장이 있다. 狐突의 字가 伯行이므로 그를 伯氏라고 칭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狐突은 두문불출하고 해제가 나와서 제사를 주관하고 있으니의 형식으로 말이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그 근거로 당시 狐突이 獻公의 뜻을 알고서 태자에게 망명하도록 諫하였으나 태자가 자신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아 杜門不出한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韋昭는 이때 호돌이 두문불출한 시절이 아니었다며 맏형 주장을 따랐다.
역주7 羊舌大夫 : 羊舌突을 이르는 말로 양설은 複姓이다.
역주8 棄命 : 아버지가 曲沃을 지키게 한 것을 이른다.
역주9 閒父之愛 : 驪姬를 지칭한 말일 성싶다.
역주10 廢人 : 奚齊를 지칭한 말일 성싶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