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4. 優施敎驪姬遠太子
公之曰施 通於驪姬하다
驪姬問焉曰 吾欲作호대 而難之徒하니
如何 對曰
하야 使知其極하소서
夫人知이면 鮮有慢心이요 雖其慢이라도 乃易殘也니이다
驪姬曰 吾欲爲難인댄 安始而可 優施曰
必於申生하소서
其爲人也 小心精潔하고志重하고
又不忍人하니이다
精潔이면 易辱이오이면 僨可疾이오 不忍人이면
辱之近行하소서
驪姬曰 重이면 無乃難 優施曰
知辱이라야 可辱이니
可辱이면 遷重이니이다
若不知辱이면 亦必不知固秉常矣니이다
今子內固而外寵하고 且善不莫不信하니
若外
善而內辱之 無不遷矣리이다
且吾聞之컨대 甚精이면 必愚라하니
精而易辱이요 愚不知避難하니
雖欲無遷이나 其得之乎아하다
是故 先施讒於申生하니라
* 驪姬賂하야 使言於公曰
蒲與 君之疆也
不可以無主니이다
宗邑無主 則民不威하고 疆埸無主 則啓戎心하니
戎之生心하고 民慢其政 國之患也니이다
若使大子 主曲沃하고 而二公子 主蒲與屈이면 乃可以威民而懼戎하고
且旌君伐하리이다하고
使俱曰
翟之 於晉爲 晉之啓土 不亦宜乎잇까하니
公說하야 乃城曲沃하야 大子處焉하고 又城蒲하야 公子重耳處焉하고 又城二屈하야 公子夷吾處焉하다
驪姬旣遠大子 乃生之言하니 大子由是得辠하다


84. 우시優施여희驪姬에게 태자를 멀리 쫓아 보내도록 교사敎唆하다
【大義】優施와 驪姬가 태자 申生을 제거하기 위한 계책 수립에서 태자의 유약한 성격을 이용하려는 간사함과 악독함.
헌공獻公의 광대에 [優施]라는 자가 있어 여희驪姬와 간통하였다.
여희驪姬가 묻기를 “내가 큰일을 벌이고자 하는데 세 공자公子의 무리가 아무래도 어렵다.
어떻게 해야겠느냐?” 하니, 〈우시優施가〉 대답하였다.
“빨리 그들의 지위를 확정시켜서 스스로 자신이 정점의 지위에 이르러 있음을 알게 하십시오.
사람이 정점에 있음을 알면 더 이상 부질없는 욕심을 갖는 자가 적고 비록 부질없는 욕심을 갖는다 하여도 손쉽게 해치울 수 있습니다.”
여희驪姬가 말하기를 “내가 난을 꾸민다면 누구부터 손을 쓰는 것이 좋겠느냐?” 하니, 우시가 말하였다.
“반드시 신생申生부터 하십시오.
그의 사람됨이 소심小心하고 정결精潔하며, 그리고 나이가 제일 맏이어서 생각이 자중자애自重自愛합니다.
또 남에게 차마 못할 짓을 못합니다.
사람이 정결하면 욕보이기 쉽고, 자중자애하면 손쉽게 쓰러뜨릴 수 있으며, 남에게 차마 못할 짓을 못하면 반드시 자신에게는 차마 못할 짓을 합니다.
하찮은 일로 그를 욕보이도록 하십시오.”
여희驪姬가 말하기를 “자중자애한다면 생각이 바뀌기 어렵지 않겠느냐?” 하니, 우시가 말하였다.
“욕됨을 알아야 욕되게 해 줄 수 있습니다.
욕되게 해 줄 수만 있다면 자중자애하던 마음은 변할 것입니다.
만약 욕됨을 모른다면 또한 반드시
지금 당신은 안으로는 임금의 사랑이 굳고 밖으로는 임금의 총애가 넘쳐나고 있으며 또 좋고 나쁜 것을 떠나 믿어주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만약 당신이 태자를 겉으로는 착한 뜻을 다해 대하면서 안으로 욕스러움을 안겨 준다면 태자의 생각은 모두 바뀔 것입니다.
또 내가 듣건대, 매우 순정純精한 사람은 반드시 우직하다 하였습니다.
순정한 사람은 쉽게 욕되게 할 수 있고, 우직스러운 사람은 환난을 피할 줄 모릅니다.
비록 마음을 바꾸지 않으려 해도 그렇게 되겠습니까?”
이런 연유로 해서 참소가 먼저 신생申生에게 이르게 되었다.
여희驪姬자 이름을 가진 두 명의 대부 양오梁五동관오東關五에게 뇌물을 주어 헌공獻公에게 말하도록 하였다.
곡옥曲沃은 임금의 종묘가 모셔진 고을이고, 와 두 곳의 땅은 임금님 강역疆域의 국경입니다.
강력한 관리자가 없어서는 안 됩니다.
종묘가 모셔진 고을에 강력한 관리자가 없으면 백성들이 두려워하지 않고, 강역의 국경에 강력한 관리자가 없으면 융적戎狄의 야심이 열리게 됩니다.
융적이 야심을 발동시키고 백성들이 국가의 정책을 무시하는 것은 국가의 환란이 됩니다.
만일 태자에게 곡옥을 관리하게 하고 두 공자公子로 하여금 땅을 관리하게 하면, 백성을 두렵게 하고 오랑캐를 두려움에 떨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편으로는 임금의 공적도 빛날 것입니다.”
또 〈여희驪姬가 두 사람에게〉 함께 말하도록 하였다.
융적戎狄의 광활한 지역을 나라의 영토로 삼을 수 있으니, 진나라가 영토를 개척하는 것이 또한 마땅하지 않겠습니까?”
헌공獻公이 기뻐하여 곡옥에 성을 쌓아서 태자에게 주재하게 하고, 또 포에 성을 쌓아서 공자公子중이重耳에게 주재하게 하고, 또 두 곳의 굴 땅에 성을 쌓아서 공자公子이오夷吾에게 주재하게 하였다.
여희驪姬가 태자를 멀리 내보내고서는 이내 참언을 지어내니, 태자가 이로 인해 죄를 얻었다.


역주
역주1 : 음악이나 춤, 또는 각가지의 技藝를 연출하는 사람이다.
역주2 大事 : 嫡子인 申生을 태자에서 내몰고 자신의 아들 奚齊를 세우려는 일이다.
역주3 三公子 : 申生‧重耳‧夷吾를 이른다.
역주4 處之 : 處는 확정함이다.
역주5 : 四部備要本에는 ‘有’자가 없다.
역주6 : 나이가 제일 어른임을 이른다.
역주7 自忍也 : 스스로 차마 못할 짓을 저지른다는 뜻이니 스스로 자살한다는 말이다.
역주8 : 생각을 바꾼다는 뜻이다. 곧 태자 申生이 태자로서의 자신의 지위를 지키고자 하는 생각이 바뀌어 삶을 포기하는 행동을 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역주9 : 탄
역주10 : 四部備要本에는 ‘殫’으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11 二五 : 獻公으로부터 사랑받는 대부 梁五와 東關五 두 사람이다. 두 사람 이름의 끝 글자가 五자여서 二五라고 한 것이다.
역주12 曲沃 君之宗也 : 宗은 宗廟가 있는 고을이라는 말이다. 曲沃은 獻公의 증조 桓叔의 封地이고, 先公의 종묘가 있는 곳이어서 이렇게 말한 것이다. 西周를 宗周라고 칭하는 것과 같은 예이다.
역주13 二屈 : 北屈과 南屈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역주14 廣莫 : 韋昭는 北翟의 사막 지역이라고 하였다. 일설에는 너른 땅이라고 한다. 이 말을 기록하고 있는 《左傳》 〈莊公28年〉의 楊伯峻注에 廣莫은 廣大無邊이라고 하면서 그의 근거로 《莊子》 〈逍遙遊〉의 ‘無何有之鄕廣莫之野’를 들었다. 한 사막 지역을 탐내는 말로 보기보다는 戎狄의 너른 지역을 이르는 말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역주15 : 下邑이다. 하읍은 국가의 수도 이외 지역을 이르는 말이다.
역주16 일정의 원칙을……모릅니다 : 이는 申生처럼 自重自愛한 사람은 자신이 누명일망정 죄를 입게 되면 물러나야 한다는 것을 아는데, 쉽게 마음이 변하는 사람은 죄에 상관없이 버티려는 생각이 있어 오히려 상대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