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0. 隕公辛與弟懷或禮于君或禮于父
[大義]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자신을 죽이려 한 신하와 자기를 살게 해 준 신하를 모두 용납한 군주의 너그러운 성품을 말함.
吳人入楚昭王奔鄖이러니
之弟懷將殺王이어늘 鄖公辛止之하다
懷曰 하니 在國則君이요 在外則讎也
見讎弗殺이면 非人也니이다
鄖公曰
夫事君者하며 不爲豐約擧
苟君之인댄一也니라
且夫自敵以下則有讎어니와 非是 不讎니라
下虐上爲殺 上虐下爲討어늘 而况君乎
君而討臣 何讎之爲리오
若皆讎君이면 則何上下之有乎
吾先人以善事君하야 成名於諸侯하야以來 未之失也하니
今爾以是殃之인댄 不可니라
懷弗聽하고 曰 吾思 不能顧矣니이다
鄖公以王奔隨하다
王歸하야 而賞及鄖懷한대 子西諫曰
君有二臣하야 或可賞也하며 或可戮也어늘 君王均之하시니 羣臣懼矣로이다
王曰 夫
之二子邪
吾知之矣로니
或禮於君하고 或禮於父하니 均之不亦可乎


220. 운공隕公과 아우 가 혹자는 임금에게, 혹자는 아버지에게 예를 다하다
나라 군대가 나라를 침공하여 수도首都으로 들어왔을 적에 초소왕楚昭王운성鄖城으로 달아났었다.
운공鄖公의 아우 소왕昭王을 시해하려고 하자, 운공鄖公이 이를 말렸다.
가 말하기를, “평왕平王이 우리의 아버지를 죽였으니, 소왕昭王국도國都 안에 있을 때는 군주君主이고 국도國都 밖에 있을 적에는 원수입니다.
원수를 만나고서 죽이지 않으면 사람의 도리가 아닙니다.” 하였다.
운공鄖公이 말하였다.
“임금을 섬기는 자는 국도國都 밖에 있거나 국도國都 안에 있는 데 따라 행동을 다르게 하지 않으며 흥성興盛하거나 쇠미衰微한 처지에 따라 다른 거동을 하지 않는다.
만일 임금으로 받들어 섬겼으면 높은 임금과 낮은 신하의 지위는 한결같다.
또 자기의 지위와 상대방의 지위가 동등 이하인 사람의 경우는 원수를 삼을 수 있겠으나 그렇지 않으면 원수를 따지지 않는다.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죽이는 것을 라 하고,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죽이는 것을 징벌懲罰한다고 하는 것인데, 더구나 군주君主의 경우이겠느냐.
임금이 신하의 죄를 징벌한 것을 가지고 어떻게 원수라고 하겠는가?
만일 신하들이 모두 임금을 원수로 삼는다면 어떻게 상하上下의 질서가 있겠느냐.
우리의 선조先祖들이 임금 섬기기를 잘하여 제후들 사이에서 훌륭한 명성을 이루어 투백비鬪伯比 이래로 그 명성을 잃은 적이 없었다.
지금 네가 군주君主를 시해한 일로 이 명성을 해치는 것은 옳지 않다.”
가 따르지 않고 말하기를, “나는 우리 아버지를 생각할 뿐이지, 다른 일은 고려할 수가 없습니다.” 하였다.
그러자 운공鄖公소왕昭王을 모시고 나라로 달아났다.
소왕昭王국도國都로 돌아와 을 내릴 적에 운공鄖公에게까지 이르자 자서子西하였다.
“임금에게 두 신하가 있어서 한 사람은 을 줄 만하고 한 사람은 죽음을 내릴 만한데 임금께서 동등하게 대하려 하시니, 군신群臣들은 앞으로 상벌賞罰이 공정하지 못하게 시행될까 봐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소왕昭王이 말하였다.
자기子期의 두 아들을 말하는 것이오?
나는 이미 알고 있소.
한 사람은 임금에 대한 를 다했고, 한 사람은 아버지에 대한 를 다했으니, 동등하게 대하는 것이 또한 옳지 않겠소?”


역주
역주1 {之}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2 {楚}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3 鄖公 : 令尹 子文의 玄孫인 鬪成然의 아들 鬪辛.
역주4 平王殺吾父 : 楚平王은 昭王의 아버지. 이름은 棄疾. 吾父는 鬪成然. 鬪成然이 平王이 王位에 오르는 일을 도와 令尹이 되었으나 만족할 줄 모르고 탐욕을 부리자 平王이 살해하였다.
역주5 不爲外內行 : 임금이 國都 안에 있거나 國都 밖에 있는 경우에 따라 행위를 바꾸지 않음. 신하는 君主에게 한결같은 마음으로 섬겨야 함을 이른다.
역주6 尊卑 : 四部備要本에는 ‘卑尊’으로 되어 있다.
역주7 鬭伯比 : 令尹 鬪子文의 아버지.
역주8 : 四部備要本에는 ‘吾’자가 없다.
역주9 子期 : 鄖公 鬪辛의 아버지 鬪成然의 字.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