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4. 夏父弗忌改昭穆之常
夏父弗忌爲하야 할새
宗有司曰 니이다
曰 我爲宗伯이라 하니 何常之有리오
有司曰 夫宗廟之有昭穆也 니이다
夫祀 昭孝也 各致齊敬於其皇祖 昭孝之至也
하고 猶恐其踰也니이다
하니으로 以及 莫若湯이요으로 以及 莫若文武
商周之烝也 未嘗躋湯與文武 踰也 魯未若商周로되 而改其常이면 無乃不可乎잇가 弗聽하고 遂躋之하다
展禽曰 夏父弗忌 必有殃하리라
夫宗有司之言 順矣 僖又未有明焉이라
犯順 不祥이요 以逆訓民 亦不祥이요 易神之班 亦不祥이요 不明而躋之 亦不祥이라
能無殃乎
侍者曰 若有殃이면 焉在
抑刑戮也 其夭札也
曰 未可知也
若血氣强固 將壽寵得沒이어니와 雖壽而沒이라도 不爲無殃하리라하다


44. 하보불기夏父弗忌의 정상 순서를 바꾸다
【大義】昭穆의 순서를 그르치면 안 된다.
하보불기夏父弗忌종백宗伯이 되어서, 증제烝祭를 지낼 적에 희공僖公을 〈앞 임금인 아우 민공閔公의〉 위에 올리려고 하였다.
이에 종유사宗有司가 말하기를 “소목의 차례가 아닙니다.”라고 하니,
하보불기가 말하기를 “내가 종백이 되었는지라, 밝은 덕이 있는 이를 로 모시고, 그 다음을 으로 하는 것이니, 어찌 일정함이 있겠느냐?”라고 하였다.
종유사가 말하기를 “종묘에 이 있는 것은 세대의 선후를 차례 짓고, 후손의 친소親疏를 가지런히 하는 것입니다.
제사는 효도를 밝히는 것이니, 각각 경건함을 태조太祖에게 지극히 하는 것은 효를 밝힘이 극진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세차世次를 기록하고, 종백宗伯태축太祝이 소와 목을 기록하는 데에 오히려 그 순서를 넘어설까 우려합니다.
지금 명덕이 있는 이를 앞에 놓고, 할아버지 사당을 뒤로 하려 하니, 현왕玄王으로부터 주계主癸에 이르러서는 만한 이가 없고, 으로부터 왕계王季에 이르러서는 문왕‧무왕 만한 이가 없습니다.
나라나 나라가 증제烝祭를 지내는 데에 일찍이 탕임금이나 문왕‧무왕보다 위에 올린 적이 없는 것은 차서를 넘어설까 해서입니다. 노나라가 아직 나라나 나라만큼 된 적이 없는데, 그 정상적인 것을 바꾼다면 바로 옳지 않음이 아니겠습니까?”라고 하니, 듣지 않고 드디어 〈희공을 앞인〉 위에 놓았다.
전금展禽이 말하기를 “하보불기에게는 반드시 재앙이 있을 것이다.
종유사의 말이 한 것이었고, 희공은 또한 명덕이 있지 않았다.
순함을 범한 것은 길하지 않고, 이 거스름으로 백성을 가르치는 것도 길하지 않고, 의 차서를 바꾼 것도 길하지 않으며, 밝은 덕이 없음에도 그 위에 올려놓은 것도 또한 길하지 않은 것이다.
귀신의 도를 범한 것이 두 가지이고, 사람의 도를 범한 것이 두 가지이니, 능히 재앙이 없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모시고 있는 사람이 말하기를 “만약 재앙이 있다면 언제 있겠습니까?
또한 형벌刑罰로 죽을까요, 아니면 요절夭折이나 병으로 죽을까요?”라고 하니,
대답하기를 “아직 알 수 없다.
만약 혈기血氣가 강하고 굳으면 장차 장수하고 총애받다가 죽을 것이지만, 비록 장수하여 죽더라도 재앙이 없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 장례를 마치자 불이 나서 연기가 하늘에 이르렀다.


역주
역주1 : 宗伯. 국가 제사의 예를 관장한다.
역주2 將躋僖公 : 僖公은 閔公의 형으로 민공을 이어서 즉위하였다……희공을 위에 놓음은 逆祀이다. 逆祀는 아버지 사당을 위에 놓고 할아버지 사당을 아래에 놓는 것이다.
역주3 非昭穆也 : 非昭穆은 昭穆의 차례가 아님을 말한다. 아버지는 昭가 되고 아들은 穆이 되니, 희공은 민공의 신하가 되어서 신하와 아들은 동일한 규례인데 민공의 위에 올렸으므로, 昭穆이 아니라고 하였다.
역주4 明者爲昭 其次爲穆 : 明은 僖公이 明德이 있어서 마땅히 昭가 되어야 하고, 민공이 다음이어서 마땅히 穆이 되어야 함을 말한다.
역주5 以次世之長幼 而等冑之親疏也 : 長幼는 先後이다. 等은 가지런함이다. 冑는 후예이다.
역주6 工史書世 : 工은 瞽師官(樂工)이고, 史는 太史이고, 世는 世次(代數)의 先後이다. 工은 그 덕을 암송하며, 史는 그 말을 기록한다.
역주7 宗祝書昭穆 : 宗은 宗伯이고, 祝은 太祝이다. 宗은 그 예를 관장하고, 祝은 그 位次를 관장한다.
역주8 今將先明而後祖 : 僖公을 明德이 있다고 하여 올리면 이는 아버지 사당을 위에 놓고 할아버지 사당을 아래에 놓음이다.
역주9 玄王 : 契이다.
역주10 主癸 : 湯의 아버지.
역주11 : 棄이다.
역주12 王季 : 文王의 아버지.
역주13 : 四部備要本에는 다음에 ‘不’자가 더 있는데,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衍文이라고 하였다.
역주14 犯鬼道二 : 귀신의 반열을 바꾼 것과 명덕이 없는 자를 올려놓은 것이다.
역주15 犯人道二 : 순함을 범한 것과 거스림으로 백성을 가르치는 것이다.
역주16 旣其葬也 焚煙徹於上 : 장사를 마치고 나서 불이 그 棺槨을 태웠다. 徹은 도달함이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