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4. 叔向論憂德不憂貧
[大義]정치를 덕에 근거하지 않고 부유함의 치장으로 삼은 자들의 실패.
叔向 見韓宣子하니 宣子憂貧이라
叔向 賀之한데 宣子曰吾有卿之名이요 而無其하야
吾是以憂어늘 子賀我하니 何故
對曰
一卒之田하야
不備其宗器호되 宣其德行하고 順其憲則하야 使於諸侯
諸侯親之하고 戎狄懷之하야 以正晉國하고 行刑不疚하야하니이다
하야 驕泰奢侈하고하고 略則行志하고 假貸居賄하야 宜及於難이어늘 而賴武之德하야 以沒其身하고
及懷子하야 改桓之行하고 而修武之德하야 可以免於難이어늘하야 以亡於楚하니이다
其富半公室하고 其家半三軍이러니
恃其富寵하고 以泰於國하야 其身尸於朝하고 其宗滅於絳하니이다
不然이면 夫八郤 其寵大矣어늘 一朝而滅호대 莫之哀也리잇까
唯無德也니이다
今吾子有欒武子之貧하니
吾以爲能其德矣 是以賀니라
若不憂德之不建하고 而患貨之不足이면 將吊不暇어니 何賀之有리요 宣子拜稽首焉하고
起也將亡이어늘 賴子存之하니
非起也敢專承之 其自 嘉吾子之賜하노라


184. 숙향叔向이, 덕을 걱정해야 하고 가난은 걱정할 것이 아님을 논하다
숙향叔向한선자韓宣子를 만났는데 한선자가 가난을 걱정하였다.
숙향이 가난함을 축하하자, 한선자가 말하기를, “나에게는 정경正卿이란 이름만 있을 뿐 그에 걸맞는 재산이 없어서 몇 분 경대부들의 주고받는 예절을 따라서 행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내가 근심했던 것인데, 당신께서는 축하한다고 하시니, 어떠한 연유이십니까?”
숙향이 대답하였다.
“옛날에 난무자欒武子는 1의 토지도 없어서 집안에 제기祭器도 갖추지 못하고 지냈습니다만 덕행을 펴고 법에 순종하여 제후국 사이에 소문이 퍼져 나갔습니다.
그리하여 제후들이 난무자를 친근히 여기고 융적戎狄들도 귀의歸依하여, 진나라를 바르게 하였고 형벌을 시행하는 데도 하자가 없어 군주가 시해되는 환란에서 〈죽음을〉 모면하였습니다.
환자桓子에 이르러 교만 방자하고 사치하며, 탐욕스러움이 끝이 없었고, 법을 범하면서 멋대로 행동하고, 돈놀이로 재산을 축적하여 의당 환란을 당할 만하였는데도, 난무자가 남긴 덕을 힘입어 그 몸을 잘 마쳤습니다.
회자懷子에 이르러서는 환자桓子의 못된 행실들을 바꾸고 난무자의 덕을 닦아서 환란을 면할 만하였는데도, 환자의 죄에 걸려들어 나라로 도망쳤습니다.
그리고 극소자郤昭子는 그 부유함이 공실公室의 반 정도였고 그 집안사람들이 삼군三軍 장수의 반을 차지했습니다.
부유함과 총애를 믿고서 나라에 방종하게 굴다가 그 몸은 조정에서 시체로 내걸리고 그 종족은 서울[]에서 멸족되었습니다.
그렇지 않았다면 저 극씨 집안의 여덟 사람[팔극八郤]인 다섯 대부大夫와 세 정경正卿들에 대한 은총이 그토록 컸었는데 하루아침에 멸족되었음에도 슬퍼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겠습니까.
오직 덕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당신은 난무자의 가난을 가지고 계십니다.
나는 당신이 난무자의 덕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그래서 축하드린 것입니다.
그런데 만일 덕을 세우지 못하는 것을 걱정하지 않고 재화의 부족만을 걱정한다면, 장차 조문하기에도 겨를이 없을 것인데 무슨 축하를 드릴 수 있겠습니까?” 하니, 한선자가 절하여 머리를 땅에 조아리고 말하였다.
“제가 곧 망하는 순간에 당신의 힘을 입어 보존하게 되었습니다.
저 혼자서 은혜를 독차지할 수 있음이 아니고 저 환숙桓叔 이하의 조상들까지도 당신의 은혜를 아름답게 여길 것입니다.”


역주
역주1 : 재화나 재산을 이른다.
역주2 無以從二三子 : 從은 그분들이 행하는 부의나 선물들을 함께 따라서 할 수 없다는 말이다.
역주3 欒武子 : 晉나라 上卿인 欒書를 이른다. 武子는 그의 시호이다.
역주4 無一卒之田 : 1卒의 田은 1백 頃의 田地를 이른다. 이는 上大夫가 갖는 녹봉의 토지이다. 頃의 넓이에 대해서는 위 ‘叔向均秦楚二公子之祿’章을 참고할 것. 1졸의 전지도 없는 것에 대해서, 1993년 曁南大學 간행 《國語譯注辨析》에서는, 당시 춘추시대의 분봉제도상 한 집안이 가지고 있는 采邑의 한정된 수입에서 늘어나는 지출과, 또 한선자가 형 韓無忌의 난치병으로 그의 뒤를 이어받으면서 그에게 나누어질 수 있는 재산이 없어 가난을 겪게 된 것이라고 말하며 그 증거로 〈晉語 七〉의 ‘悼公使韓穆子掌公族大夫’章의 기사를 들었다.
역주5 : 四部備要本에는 ‘無’자가 없다.
역주6 : 집을 이르는 말이다. 궁이 왕실을 지칭하는 말로 쓰인 것은 秦나라 이후부터이다.
역주7 官[宮]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8 : 소문이 났다의 뜻이다.
역주9 以免於難 : 欒武子가 厲公을 시해하고 悼公을 옹립하는 과정에서 죽음을 모면한 일을 이른다. 이때 여공이 三郤을 죽이고 난 뒤 난무자까지도 죽여야 한다는 말이 있었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가 결국 시해되는 참화를 겪었는데 이 과정에서 그가 목숨을 보전한 것을 이른다. 자세한 내용은 〈晉語 六〉 ‘長魚蟜脅欒中行’章과 〈晉語 七〉 ‘欒武子立悼公’章을 참고하라.
역주10 桓子 : 欒書의 아들 黶이다.
역주11 貪欲無蓺 : 四部備要本에는 ‘貪慾無藝’로 되어 있다.
역주12 : 다함이나 끝을 뜻한다.
역주13 而離桓之罪 : 離는 걸리다, 뒤집어쓰다 등의 뜻이다. 桓은 아버지 桓子를 이른다. 환자의 일은 위 ‘陽畢敎平公滅欒氏’章에 자세하다.
역주14 郤昭子 : 郤至이다. 昭子는 그의 시호이다. 난무자와 함께 한때 晉나라의 正卿 지위를 누렸다. 극지의 일은 〈晉語 六〉 ‘欒書發郤至之罪’章에 자세하다.
역주15 五大夫三卿 : 5명의 대부는 정확하지 않고, 三卿은 세 사람의 正卿이니 郤錡‧郤至‧郤犨이다.
역주16 桓叔以下 : 桓叔은 韓氏의 시조인 曲沃 桓叔이다. 환숙이 아들 萬을 낳았는데, 만이 韓 땅을 封地로 받고 大夫가 되니 그 후손들이 韓을 氏로 삼았다. 韓宣子는 바로 그 韓萬의 후손인 것이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