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6. 里革斷宣公罟而棄之
宣公 한대 里革 斷其罟而棄之曰
古者 하고 하면
於是乎講罛罶하야하며
하야 而嘗之하고 行諸國 助宣氣也
鳥獸孕하고 水蟲成하면 於是乎禁罝羅하고 魚鼈하야 以爲夏
鳥獸成하며 水蟲孕하면 水虞 於是하고 設穽하야
且夫山不하며 澤不伐夭하며 魚禁하며 獸長하며 鳥翼鷇卵하며 蟲舍 蕃庶物也 古之訓也
今魚方 不敎魚長하고 又行하니 貪無
公聞之曰 吾過而里革匡我하니 不亦善乎
是良罟也 爲我得法이로다 使有司 케하라 侍曰
藏罟 不如寘里革於側之不忘也니이다


46. 이혁里革선공宣公의 그물을 잘라서 버리다
【大義】自然資源의 보호를 주장하여 임금을 일깨우다.
선공宣公이 여름에 사수泗水의 연못에 그물을 담가 두었는데, 이혁里革이 그 그물을 끊어 버리고 말하였다.
“옛날에 대한大寒이 지나고 흙 속의 벌레가 움직이면,
수우水虞가 이에 그물과 통발 사용을 익혀서 큰 고기를 잡으며,
하천의 자라와 조개를 올려서 사당祠堂에 제사 지내고, 나라 사람들에게 잡게 하는 것은 〈봄의〉 펴는 기운을 돕는 것입니다.
새와 짐승이 알을 품고, 물고기들이 성장하면 수우獸虞가 이에 그물질을 금지시키고, 물고기나 자라를 작살로 잡아서 여름철에 말린 고기로 장만하는 것은 생장을 돕는 것입니다.
새나 짐승이 성장하고 물고기가 잉태하게 되면 수우水虞가 이에 그물과 작은 어망을 금지시키고, 함정과 덫을 설치해서 종묘의 주방을 채우는 것은 사철의 공효功效와 국가 재용財用을 쌓는 것입니다.
또 산에서는 새로 나오는 싹을 찍어내지 않으며, 못에서는 여린 초목을 베지 않으며, 물고기는 알이나 치어穉魚를 못 잡게 하며, 짐승은 새끼 사슴과 새끼 사불상四不像을 성장시켜 주며, 새는 새끼와 알을 육성시켜 주며, 벌레는 개미알과 메뚜기 새끼를 놓아두어서 여러 사물을 번성케 하는 것은 옛날의 가르침이었습니다.
지금 물고기가 바야흐로 수컷과 떨어져서 알을 품는데, 물고기를 기르도록 가르치지 않고 또 그물을 치고 있으니, 탐욕이 끝이 없는 것입니다.”
이 듣고 말하기를 “내가 잘못했는데, 이혁里革이 나를 바로잡아 주니, 또한 훌륭하지 않은가?
이것은 그물질하는 좋은 방법이니, 나에게 법이 될 만하다. 담당자에게 보관케 하여 나로 하여금 충고를 잊지 말게 하라.”라고 하니, 악사樂士이 모시고 있다가 말하였다.
“그물을 보관하는 것은 이혁里革을 곁에 두고 잊지 않는 것만 못합니다.”


역주
역주1 夏濫於泗淵 : 濫은 담금이다. 그물을 泗水의 연못에 담가서 고기를 잡았다.
역주2 大寒降 : 韋昭는 “降은 내려감이니, 추운 기운이 처음 내려감은 季冬建丑의 달인 섣달에 大寒의 뒤를 말한다.”라고 하였다. 建丑은 초저녁에 북두칠성 자루가 1시 방향을 가리킴을 말함.
역주3 土蟄發 : 孟春建寅의 달인 1월에 잠자던 벌레가 비로소 작동함을 말한다. 建寅은 초저녁에 북두칠성 자루가 2시 방향을 가리킴을 말함.
역주4 水虞 : 水官. 川澤의 禁令을 관장한다.
역주5 名魚 : 大魚(큰 물고기).
역주6 川禽 : 하천 동물이라는 뜻으로, 자라‧조개 등속을 말한다.
역주7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는 ‘嘗之廟行諸國’이 대구이므로, 衍文이라고 하였다.
역주8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는 衍文이라고 하였다.
역주9 獸虞 : 동물을 관리하는 관원. 새와 짐승의 禁令을 관장한다.
역주10 : 착
역주11 : 四部備要本에는 ‘犒’로 되어 있는데, 黃丕烈의 札記에는 ‘槁’로 해야 한다고 하였다.
역주12 助生阜也 : 阜는 자람이다. 새와 짐승이 한창 잉태하므로 물고기와 자라를 잡아서 태어나는 동물을 돕는다.
역주13 : 四部備要本에는 ‘乎’자가 없다.
역주14 罜䍡 : 작은 그물.
역주15 〈罜〉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6 : 록
역주17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는 오른쪽이 ‘卩’을 따라야 하고, ‘阝’을 따름은 잘못이라고 하였다.
역주18 以實廟庖 畜功用也 : 짐승으로 宗廟의 주방을 채우고 물고기와 자라를 기르고, 사철의 功效를 비축하며 국가의 財用을 충족시킨다.
역주19 槎櫱 : 槎는 찍음이다. 그루터기에서 나온 것을 櫱이라 한다.
역주20 : 四部備要本에는 ‘糵’로 되어 있는데 同字이다.
역주21 鯤鮞 : 물고기 알과 성숙하지 않은 물고기.
역주22 麑䴠 : 새끼 사슴과 새끼 四不像.
역주23 蚳蝝 : 蚳는 개미 알로, 젓을 담는다. 蝝은 날개가 나지 않은 메뚜기 새끼.
역주24 : 수컷과 떨어져서 알을 품음이다.
역주25 : 四部備要本에는 ‘罣’로 되어 있는데, 黃丕烈의 札記에는 ‘罜’의 誤字라고 하였다. ‘網’과 ‘罜’는 異音同義字이다.
역주26 : 極(끝)의 뜻.
역주27 : 四部備要本에는 ‘藝’로 되어 있는데, ‘藝’는 ‘蓺’의 俗字이다.
역주28 藏之 使吾無忘諗 : 이 그물을 보면 里革의 말을 잊지 않음을 말한다. 諗은 고함이다.
역주29 師存 : 師는 樂師. 存은 이름이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