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3. 鄭叔詹據鼎耳而疾號
[大義]지혜와 충성으로 임금을 섬기는 자가 죽지 않고 禮遇를 받아 국가를 구원함.
鄭人하니 弗許하고하리라 請往한대 弗許하니
固請曰 一臣으로 可以赦百姓而定社稷이어늘 君何愛於臣也 鄭人 以詹予晉한대
晉人하니 曰 臣 願獲盡辭而死 固所願也로이다
聽其辭하니 曰 天降鄭禍하야 使觀狀하야 棄禮違親이어늘 曰 不可하다
夫晉公子賢明하고 其左右皆卿才 若復其國而得志於諸侯 禍無赦矣라호이다
今禍及矣 殺身贖國 忠也라하고
乃就亨할새 據鼎耳而疾號 曰 自今以往으로 知忠以事君者 與詹同하리라하니 乃命弗殺하고 厚爲之禮而歸之하니
鄭人 以詹으로 爲將軍하다


123. 나라 숙첨叔詹이 삶겨져 죽게 될 솥귀를 잡고 크게 부르짖었다
진문공晉文公이 〈자신의〉 통갈비뼈를 훔쳐본 일을 주벌하여 나라를 쳐서 그 성가퀴를 엎어 버렸다.
나라 사람들이 좋은 보배로 화친을 행하려고 하니, 문공이 허락하지 않고 말하기를 “나에게 숙첨叔詹을 주면, 군사를 되돌리겠소.” 하니, 숙첨이 가기를 청하자 정백鄭伯이 허락하지 않았다.
숙첨이 굳이 청하여 말하기를 “하나의 신하로 백성들을 재앙에서 벗어나게 하며 사직을 안정시킬 수 있는데, 임금께서는 신을 어찌 아끼십니까?” 하니, 정나라 사람이 숙첨을 나라 사람에게 주었다.
진나라 사람들이 삶아 죽이려고 하니, 숙첨이 말하기를 “신은 원컨대 말을 다하고서 죽기를 진실로 원하는 바입니다.” 하였다.
문공이 그 말을 들어주니, 숙첨이 말하기를 “하늘이 정나라에 화를 내려서 통갈비뼈 형상을 훔쳐본 것을 본받게 하여, 예의도 버리고 친분도 어기거늘 제가 말하기를 ‘옳지 않습니다.
나라 공자公子가 현명하고 그 측근들이 모두 의 재목이니, 만약 그 나라로 돌아가서 제후에게 뜻을 얻는다면 화를 당해 용서받지 못할 것입니다.’ 하였습니다.
지금 화가 미쳤으니, 공자公子를 존중하여 환난을 막아 내는 것은 지혜이고, 내 몸을 죽여 국가의 죄를 대신하는 것은 충성입니다.”라고 하였다.
마침내 삶는 형벌을 당하러 나갈 때, 솥귀를 잡고 큰소리로 부르짖기를 “지금 이후로 지혜와 충성으로 임금을 섬기는 자는 나와 같을 것이다.”
라고 하니, 마침내 죽이지 말라고 명하고 후하게 예우를 하여 돌려보냈다.
정나라 사람들이 숙첨을 장군으로 삼았다.


역주
역주1 誅觀狀以伐鄭 反其埤 : 觀狀은 통갈비뼈 형상을 훔쳐본 일로, 〈晉語 四〉의 ‘曹共公不禮重耳 而觀其骿脅’에 “自衛過曹 曹共公亦不禮焉 聞其骿脅欲觀其狀 止其舍 諜其將浴 設微薄而觀之”라고 하여, 문공이 公子였을 때 曹共公이 공자의 통갈비뼈를 훔쳐본 것으로 소개되었다. 賈逵는 “鄭나라가 다시 曹나라에서 文公의 통갈비뼈의 형상을 훔쳐본 것을 본받았으므로 쳤다.”라고 하여, 정나라에서도 통갈비뼈 형상을 본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唐固는 “曹나라에서 통갈비뼈 형상을 훔쳐본 죄를 주벌하고 돌아오다가 정나라를 쳤다.”라고 했다. 韋昭는 “《左傳》ㆍ《國語》를 살펴보아도 정나라에서는 통갈비뼈 형상을 훔쳐본 일이 없는데, 叔詹이 이르기를 ‘하늘이 정나라에 禍를 주어서 통갈비뼈 형상을 훔쳐보는 것을 본받게 했다.’라고 했으니, 조나라를 본받아서 公子를 예우하지 아니한 것이 통갈비뼈 형상을 훔쳐본 죄와 같음을 말한다.”라고 했다. 反은 제거함이다, 埤는 성 위의 작은 담이다. 魯僖公 30년 가을에 ‘秦伯과 晉侯가 정나라를 포위하였다.’라고 하였다.
역주2 : 四部備要本에는 ‘陴’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3 以名寶行成 : 名寶는 重寶. 成은 和親.
역주4 予我詹 而師還 : 詹은 정나라 卿 叔詹. 문공이 공자로서 정나라를 지나갈 때 숙첨이 정나라 군주에게 예우하라고 청하였으나 정나라 군주가 듣지 않자 그것으로 인하여 공자를 죽이라고 청하였다.
역주5 鄭伯 : 鄭文公.
역주6 : 四部備要本에는 ‘人’자가 없는데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탈락된 것이라고 하였다.
역주7 : 四部備要本에는 ‘烹’으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역주8 : 淫은 放(모방함)이니, 조나라에서 임금에게 예우하지 않음을 모방한 것이다.
역주9 尊明勝患 知也 : 明은 공자를 말하고, 勝은 遏(막음)과 같다. 知는 智로 독해한다.
역주10 {伯} : 黃丕烈의 《國語札記》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11 :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