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77. 葵丘之會天子致胙于桓公
使으로 致胙於桓公하고
於文武일세 使孔致胙하노라하고 且有後命하야
曰以爾自卑勞
實謂爾하노니하라하다
桓公召管子而謀하니 管子對曰
爲君不君하며 爲臣不臣 亂之本也니이다하니
桓公懼하야 出見하고
曰天威인대 余敢承天子之命曰爾無下拜잇가
恐隕越於下하야 以爲天子羞하노이다
遂下拜하고 升受命한대 九旒 러라
諸侯稱順하다


77. 규구葵丘회맹會盟천자天子환공桓公에게 종묘宗廟에서 제사 지낸 고기를 내리다
【大義】胙肉을 받기 위한 堂下拜의 수고로움을 덜어주려는 천자의 배려를 굳이 사양하고 堂下拜를 행하여 臣下의 도리를 지킨 桓公의 천자에 대한 공경.
규구葵丘의 회맹에 천자가 태재太宰을 보내서 환공桓公에게 제사 지낸 고기를 내리며 말하기를 “내가 문왕文王무왕武王께 제사를 드렸기에 을 보내어 제사 고기를 내리노라.” 하고, 다시 뒤따라 내리는 말씀이 있었다.
“그대가 스스로 몸을 낮추고 왕실王室의 일에 노고하였소.
진실로 그대 백구伯舅에게 말하노니, 〈제사 고기를 받으려〉 아래로 내려가 절하는 일은 말도록 하시오.”
환공桓公관자管子를 불러 의논하니, 관자가 대답하였다.
“임금이 되어 임금답지 못하고 신하가 되어 신하답지 못함은 화란禍亂을 불러일으키는 근본입니다.”
환공桓公이 두려워서 나가 재공宰孔을 만나 말하였다.
천자天子의 위엄이 얼굴에서 지척咫尺도 떨어져 있지 아니한데, 소백小白이 감히 천자께서 명하신 ‘너는 당 아래로 내려가 절하는 일은 말도록 하라.’ 한 말씀을 받들 수 있겠습니까?
신하의 신분으로 잘못을 저질러 천자天子께 부끄러움을 끼칠까 두렵습니다.”
마침내 상으로 대로大路와 용을 그린 술이 9개인 깃발과 군대 문을 삼아 세우는 2개의 깃발과 용을 그린 붉은 기였다.
제후들이 환공桓公의 〈당하배堂下拜를〉 에 맞는 도리라고 칭송하였다.


역주
역주1 葵丘之會 : 葵丘는 宋나라에 있는 땅으로 지금의 河南省蘭考縣 동쪽 지역이다. 齊桓公이 魯僖公 9년(기원전 651년)에 이곳에서 제후들과 회맹하였다.
역주2 天子 : 당시 周나라의 襄王이다.
역주3 宰孔 : 太宰 벼슬에 있는 孔이다.
역주4 余一人 : 天子의 自稱이다.
역주5 之命 : 두 글자는 필요 없는 글자이다. 그대로 해석한다면 내가 명령하여 제사를 지냈다는 뜻인데 周나라 천자가 周나라의 始祖라 할 수 있는 文王, 武王의 제사를 명령으로 지내게 했다는 것은 상하 관계에서나 가능할 수 있는 말이고 자손으로서 선조에 대해 쓸 수 있는 말이 아니다. 따라서 衍文으로 처리한다.
역주6 {之命}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王引之의 《經義述聞》에 따르면 ‘之命’ 두 글자는 아래 天子之命이 있어 잘못 들어간 글자라고 하였기에 그대로 따른다.
역주7 有事 : 事는 제사이다.
역주8 伯舅 : 천자가 자기와 姓氏가 다른 제후를 이르는 존칭이다. 성씨가 같은 나라의 제후를 부르는 말은 큰 나라일 경우 伯父 작은 나라일 경우 叔父라고 부르며 성씨가 다른 나라의 작은 나라 제후는 叔舅라 부른다.
역주9 下拜 : 堂에서 내려가 東階와 西階 사이에 서서, 내리신 것에 감사하여 北面하여 절하는 것을 이른다.
역주10 : 太宰孔을 이른다.
역주11 不違顔咫尺 : 違는 韋昭는 멀다[遠也]의 뜻이라고 하였으나, 근래는 거리나 간격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해석이다. 咫는 8촌(寸)을 이르는 단위이고 咫尺은 가까움을 이른다.
역주12 小白 : 桓公의 이름이다. 천자를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라 자신의 이름을 직접 호칭한 것이다.
역주13 賞服 : 服은 衣服‧宮室‧車馬‧器物들을 널리 이르는 말이다.
역주14 大路 : 천자가 타는 수레이다. 《禮記》 〈樂記〉에 “大路는 천자의 수레이고 술 아홉 개를 드리운 용을 그린 깃발은 천자의 깃발이다.[所謂大路者 天子之車也 龍旂九旒 天子之旌也]”고 하여 다음에 주어지는 龍 깃발과 함께 천자만이 사용하던 것을 이례적으로 桓公에게 내려 공을 치하한 것이다. 賈逵는 大路는 제후가 천자에게 조회 갈 때 타고가는 수레라고 하였다.
역주15 : 四部備要本에는 ‘輅’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16 : 四部備要本에는 ‘旗’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17 渠門 : 두 개를 나란히 세워 군대의 門으로 삼는 깃발이다.
역주18 赤旂 : 용을 그리고 깃대 끝에 방울을 단 붉은 깃발이다.
역주19 : 四部備要本에는 ‘矣’로 되어 있다.
역주20 당 아래로 내려가……명령을 받으니 : 이를 《左傳》 〈僖公9年〉의 楊伯峻의 註에 의하여 살피면 “東階와 西階 사이로 내려가 再拜稽首하고 다시 堂으로 올라와 再拜稽首하고서 상을 받은 것이다.”고 하면서 당시 이것은 습관적인 일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예들에 대하여 생략한 것이라고 하였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