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9. 閔馬父笑子服景伯
어늘 景伯 問之하니 對曰
笑吾子之大滿也
先聖王之傳恭 猶不敢專하야 稱曰自古라하고 古曰在昔이라하고 昔曰先民이라커늘
今吾子之戒吏人曰 陷而入於恭이라하니 其滿之甚也로다
하고 이어늘 今吾子之敎官曰 陷而後恭이라하니 오하다


69. 민마보閔馬父자복경백子服景伯을 비웃다
【大義】恭에 대해 논하다.
나라 여구閭丘가 〈나라에〉 와서 맹약할 적에 자복경백子服景伯재인宰人에게 경계시켜 말하기를 “실수하더라도 공경에 가깝게 하라.” 하였다.
민마보閔馬父가 비웃거늘 경백景伯이 물으니, 〈민마보閔馬父가〉 대답하였다.
“그대가 너무 교만하여 비웃은 것입니다.
옛날에 정고보正考父나라의 아름다운 12편을 나라 태사大師에게서 교정할 적에 ‘수편首篇으로 하였는데, 그 의 완성된 끝가락에 말하기를 ‘옛날부터 옛날에 있어서 선민先民께서 시작을 두시니, 아침저녁으로 온화하고 공손히 해서 일을 집행하기를 공손히 했다.’라고 했습니다.
옛날의 성왕聖王께서 공손함을 전하기를 오히려 감히 독점하지 않으셔서 일컫기를 ‘자고自古’라고 했고, ‘’는 ‘재석在昔’이라 했고, ‘’은 ‘선민先民’이라 했거늘,
지금 그대가 이인吏人들을 경계시키는데 말하기를 ‘실수하더라도 공경에 가깝게 하라.’고 하니, 그 교만함이 심합니다.
나라의 공왕恭王소왕昭王목왕穆王의 결함을 잘 비호하여 ‘’이라 하였고, 나라 공왕恭王은 자기의 잘못을 잘 알아서 ‘’이라 하였거늘, 지금 그대가 관료들에게 명령하여 말하기를 ‘실수한 다음에 공경하라.’고 하니, 〈실수 없는〉 로 한다면 장차 무엇으로 하겠습니까.”


역주
역주1 齊閭丘來盟 : 閭丘는 齊나라 대부인 閭丘明이다. 처음에 齊나라 悼公이 魯나라에 있을 적에 季康子의 누이에게 장가들었다. 悼公이 齊나라에 가서 즉위하여 그녀를 맞이하려 할 적에 康子의 叔父인 季魴侯가 그녀와 간통하였고 康子의 누이가 그 사실을 말하자 감히 주지 못하였다. 齊侯가 화가 나서 魯나라를 치자 魯나라와 齊나라가 평화조약을 맺었다. 齊나라는 閭丘明을 사신으로 보내 와서 맹약을 하게 하였다.
역주2 子服景伯 : 魯나라 대부.
역주3 宰人 : 吏人. 禮法을 담당하는 사람.
역주4 陷而入於恭 : 陷은 過失이다. 만일 실수가 있더라도 편안히 공경에 가까이 하라.
역주5 閔馬父 : 魯나라 大夫.
역주6 正考父……以那爲首 : 正考父는 宋나라 대부이니 孔子의 조상이다. 名頌은 頌의 아름다운 것이다. 大師는 樂官의 우두머리이니, 詩와 음악을 가르치는 일을 관장한다. 《毛詩》 叙에 이르기를 微子로부터 戴公에 이르는 사이에 禮樂이 폐하여 무너지게 되었다. 正考父라는 사람이 商頌 12편을 周나라 大師에게 얻었는데, ‘那’ 편을 首篇으로 했다. 鄭司農이 말하기를 “正考父로부터 孔子에 이르기까지 또 7편이 없어져서 5편만 남았다.”라고 했다.
역주7 : 四部備要本에는 ‘冉阝’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8 其輯之亂 : 輯은 成(이루다). 亂은 詩歌의 끝부분.
역주9 自古在昔……執事有恪 : 恪은 공경함이다. 先王을 일컫기를 自古라 하고, ‘古’는 ‘在昔’이라 하고, ‘昔’은 ‘先民’이라 하였다. 有作은 과거의 聖人이 이 공경의 도를 행함이 오래되어 감히 자기에게서 시작되었다고 말하지 못하고 마침내 말하기를 그것을 옛날에 받았다고 하였다.
역주10 周恭王 能庇昭穆之闕而爲恭 : 庇는 덮음이다. 恭王은 周나라 昭王의 손자이고 穆王의 아들이다. 昭王은 남쪽으로 정벌 나가서 돌아오지 않았고, 穆王은 그 마음을 방자히 하고자 하여 모두 결함이 있었다. 恭王이 그들의 허물을 잘 덮었기 때문에 ‘恭’이 된 것이다.
역주11 楚恭王 能知其過而爲恭 : 恭王은 楚나라 莊王의 아들이다. 자기의 잘못을 알았다는 것은 병이 들자 대부들을 불러 말하기를 “내가 德이 없어서 楚나라 군대를 패망시켰다. 만약 내가 죽으면 바라건대 ‘靈’이나 ‘厲’字로 이름을 붙여 달라.”라고 하였다. 子囊이 말하기를 “임금이 진실로 공손하니, 恭이라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 하니, 대부들이 이를 따랐다.
역주12 : 四部備要本에는 ‘僚’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13 道將何爲 : 道에 실수하더라도 오히려 공손하게 한다면 만일 그 도를 얻은 것이라면 장차 어찌 하겠는가!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