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79. 武公伐翼止欒共子無死
하야하고
苟無死어다
吾以子見天子하야 令子爲하야 制晉國之政하리라하니
辭曰 成聞之컨대 民生於이라 事之이라하니
父生之하시고 師敎之하시고 君食之니이다 非父 不生이요 非食이면 不長이요 非敎 不知 生之族也
故壹事之하야 唯其所在 則致死焉이니
報生以死하며 報賜以力 人之道也니이다
臣敢以 廢人之道 君何以訓矣리잇가
從君而貳 君焉用之리오하고 遂鬭而死하다


79. 무공武公을 치고, 난공자欒共子가 죽으려는 것을 만류하다
【大義】晉나라가 曲沃伯武公의 혁명을 겪는 와중에 옛 군주 哀侯를 받들려는 한 신하의 父‧師‧君에 대한 일편단심.
무공武公을 쳐서 애후哀侯를 시해하고는 난공자欒共子가 〈애후哀侯를 따라 죽으려는 것을〉 만류하여 말하였다.
“어찌하든 죽지 말라.
내가 그대를 천자께 알현시키고 그대를 상경上卿으로 임명하도록 하여, 나라의 정치를 맡아 다스리게 하겠다.”
〈난공자가〉 거절하여 말하기를 “은 듣건대 ‘사람은 세 사람에 의해서 생존하기 때문에 섬기기를 한결같이 하여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아버지는 낳아 주시고 선생은 가르쳐 주시고 임금은 먹여 주시니 아버지가 아니면 태어나지 못하고 먹여 주지 않으면 자라나지 못하고 가르침이 아니면 세상의 어떤 것도 알지 못하니, 이들은 나를 이루어 주는 분들입니다.
그러므로 한결같이 섬겨서 오직 내가 처해 있는 곳에 따라 죽음까지도 바쳐야 합니다.
이루어 준 은혜를 죽음으로 보답하며 베풀어준 은혜에 노력으로 보답하는 것은 인간의 도리입니다.
이 감히 사사로운 이익 때문에 인간의 도리를 버린다면 군주께서는 무엇으로 충성을 가르칠 수 있겠습니까?
군주를 따르면서 두 마음을 품는다면 군주께서는 어떻게 쓰시겠습니까?” 하고, 드디어 싸우다가 죽었다.


역주
역주1 武公伐翼 : 武公은 曲沃의 군주이니 이름은 稱이며, 곡옥의 첫 領主였던 桓叔의 손자이다. 翼은 晉나라의 수도 이름으로 지금의 山西省翼城縣 동쪽에 있었다.
역주2 哀侯 : 晉나라의 군주. 이름은 光이며 아버지는 卾侯이다.
역주3 欒共子 : 晉나라 哀侯의 大夫인 共叔成이다. 桓叔의 師傅였던 欒賓의 아들이다. 그래서 共子를 죽지 말라고 만류한 것이다.
역주4 上卿 : 집정대신으로 천자가 임명한다. 《禮記》 〈王制〉에 “큰 나라의 三卿은 모두 天子가 命한다.[大國三卿 皆命于天子]”라고 하였다.
역주5 : 임금과 아버지와 스승이다.
역주6 如一 : 열심히 섬겨 목숨까지도 바치는 것을 이른다.
역주7 私利 : 上卿을 주겠다는 말을 개인적으로 좋아한다는 말이다.
역주8 且君……未知其待於曲沃也 : 君은 武公이다. 武公은 欒共子가 장차 그의 임금인 哀侯를 따라 죽어서 신하의 도를 따르리라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欒共子를 죽지 말라고 만류하였지만, 欒共子가 죽지 않고 武公을 曲沃에서 기다리는 일이 두 마음을 품는 것이 됨은 알지 못한 것이라는 말이다.
역주9 또 군주께서는……계십니다 : 이 말은 欒共子가 哀侯를 위해 죽는 것이 신하된 도리임을 알면서 죽지 않고 무공을 곡옥에서 섬기게 되면 그것은 곧 두 마음을 갖는 못된 신하가 된다는 것을 지금 생각지 못하고 계신다는 말이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