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7. 孔丘論大骨
라가 獲骨焉한대 하다
吳子 使來好聘하고 且問之仲尼曰 無以吾命하라
旣徹俎而宴 執骨而問曰 敢問骨何爲大니잇가
仲尼曰 丘聞之하니 防風後至어늘 禹殺而戮之한대 其骨節 專車하니
此爲大矣니이다
客曰 敢問誰守爲神이니잇가 仲尼曰 山川之靈 其守爲神이요 社稷之守 爲公侯 皆屬於王者니이다
客曰 防風 何守也잇가
仲尼曰 氏之君也 守封之山者也
이라가 在虞夏商 爲汪芒氏
於周 爲長翟이요 今爲大人하니이다
客曰 人長之極 幾何 仲尼曰 僥氏 長三尺이니 短之至也 長者 不過 數之極也니이다


67. 공자孔子대골大骨을 논하다
【大義】孔子가 博識하다.
나라가 나라를 치고 회계會稽를 무너뜨리다가 뼈를 얻었는데 뼈마디가 수레를 채웠다.
오자吳子가 사신을 보내 와서 우호의 빙문聘問을 하게 하고 또 중니仲尼에게 묻게 하되 말하기를 “나의 명령이라고 하지 말라.” 하였다.
사신이 예물을 〈나라〉 대부에게 나누어 주고 중니仲尼에게 미치니 중니仲尼가 술잔을 들었다.
철상徹床을 마치고 나서 연회를 할 적에 손님이 뼈를 잡고 묻기를 “감히 여쭙건대 뼈는 어느 것이 큽니까?” 하니,
중니仲尼가 말하기를 “내가 들으니, 옛날 임금이 군신羣神들을 회계會稽의 산에서 모을 적에 방풍防風이 뒤에 이르거늘 임금이 그를 죽여서 시체를 펼쳐 놓았는데 그 뼈마디가 수레를 채웠다고 합니다.
이것이 큰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손님이 말하기를 “감히 여쭙건대 무엇을 지키는 것이 이 됩니까?”라고 하니, 중니仲尼가 말하기를 “산천의 은 천하를 기강 잡을 수 있는 것이니 그 지키는 것이 이 되고, 사직社稷을 지키는 자는 공후公侯가 되니 모두 왕에게 속하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손님이 말하기를 “방풍씨防風氏는 무엇을 지켰습니까?”라고 하니,
중니仲尼가 말하기를 “왕망씨汪芒氏의 임금이었으니 봉산封山우산嵎山을 지키는 사람이었고, 칠성漆姓이 되었다가 때에는 왕망씨汪芒氏라 했고,
나라 때에는 장적長翟이라 했고, 지금은 대인大人이라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손님이 말하기를 “사람 키의 극치는 얼마나 됩니까?”라고 하니, 중니仲尼가 말하기를 “초요씨僬僥氏는 키가 3척이니 작은 것의 극치였고, 큰 사람은 10배가 넘지 않으니 〈키의〉 숫자의 극치입니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吳伐越 墮會稽 : 會稽는 山 이름이고, 墮는 무너뜨림이다. 吳나라 왕 夫差가 越나라를 夫椒에서 패배시켰는데. 越나라 왕 句踐이 會稽에 머물렀다. 吳나라가 포위하여 무너뜨렸다.
역주2 節專車 : 뼈 한 마디의 길이가 수레를 독점하였다. 專은 독점함이다.
역주3 賓發幣於大夫 及仲尼 仲尼爵之 : 가져간 禮物을 노나라 대부에게 꺼내 주고, 다음에 仲尼에게 미쳤다. 爵之는 술을 마시게 함이다.
역주4 昔禹致羣神於會稽之山 : 羣神은 산천을 주장하는 임금을 말하니, 여러 신의 주인이 되므로 神이라고 하였다.
역주5 {氏} : 黃丕烈의 札記에 “韋昭가 ‘防風은 汪芒氏의 임금 이름이다.’를 들어 衍文이라고 하였다.
역주6 足以紀綱天下 : 名山‧大川이 능히 구름을 일으키며 비를 이르게 하여 천하를 이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
역주7 〈者〉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8 : 四部備要本에는 ‘氏’자가 없는데, 黃丕烈의 札記에 “있는 것은 衍文이지만 오직 여기는 오류가 아니다.”라고 하였다.
역주9 汪芒 : 長翟의 나라 이름.
역주10 隅[嵎] : 四部備要本에 ‘嵎’로 되어 있는데,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嵎’가 옳다고 하여 이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11 漆姓 : 汪芒氏의 姓.
역주12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는 《史記》‧《說苑》에 ‘釐’로 되어 있다고 하였다.
역주13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는 ‘焦’로 써야 된다고 하였다.
역주14 十之 : 十之는 3丈(30尺)이니, 防風氏이다.
역주15 : 四部備要本에는 ‘之’자가 없는데,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있어야 된다고 하였다. ‘之’가 있어야 ‘10배가 된다’라는 의미를 충족시킨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