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6. 襄王拒晉文公請隧道
惠后欲立王子帶 故以其黨啓翟人하니 翟人遂入周하다 王乃出居於鄭이러니 하다
하니 王勞之以地한대하고 하다
王弗許하야
昔我先王之有天下也 規方千里以爲하야 以供上帝山川百神之祀하고 以備百姓兆民之用하며 하고
其餘 以均分公侯伯子男하야 使各有寧宇하고 以順及天地하야 無逢其災害하니 先王豈有賴焉이리오
하야 足以供給神而已 豈敢猒縱其耳目心腹하야 以亂百度리오
亦唯是死生之으로 以臨長百姓而輕重布之하니 王何異之有리오
今天降禍災於周室하야 하고
而班하야 以賞私德이면 其叔父實應且憎하야 以非余一人이니 余一人 豈敢有愛리오
先民有言曰 이라하니
叔父若能光裕大德하야 하야 以創制天下 自顯庸也
하야 以鎭撫百姓이면 余一人 其流辟於裔土 何辭之리오
若由是姬姓也인댄 尙將列爲公侯 以復先王之職이니 大物 其未可改也
叔父其茂昭明德이면 物將自至하리니敢以私勞 變前之大章하야 以忝天下리오 其若先王與百姓何 何政令之爲也리오
若不然이면 叔父有地而隧焉인댄 余安能知之리오
文公遂不敢請하고 受地而하다


16. 양왕襄王진문공晉文公수도隧道 요청을 거절하다
【大義】晉文公이 襄王을 復位시킨 功을 믿고 天子의 葬禮制度인 隧道를 내려 달라고 요청하자 襄王이 禮法에 의거하여 거절한 내용의 기록이다.
애당초 혜후惠后왕자王子천자天子로 세우려고 했다. 그 때문에 그의 패거리로 적인翟人을 끌어들이게 하니, 적인翟人이 마침내 나라에 들어왔고, 양왕襄王나라를 나가 나라에 거주했는데, 진문공晉文公이 군대를 파견해 왕을 호송하여 복위復位시켰다.
진문공晉文公이 이미 양왕襄王에 호송하여 복위復位시키자, 양왕襄王이 그 공로를 토지로 보상하려 하니 거절하고 를 요청하였다.
양왕襄王이 허락하지 않으며 말하였다.
“옛날 우리 선왕先王께서 천하天下를 소유했을 적에 둘레의 거리가 천 리 되는 땅에 경계를 그어 전복甸服을 만들고 〈그곳에서 나오는 공부貢賦로〉 상제上帝산천山川과 온갖 들의 제사祭祀에 공급하고, 백성百姓(百官)과 억조백성億兆百姓재용財用을 준비하며, 제후諸侯조공朝貢하지 않는 일과 뜻밖의 환난患難에 대비하였습니다.
그러고 남은 땅은 제후諸侯에게 고르게 나눠주어서 그들에게 각기 편안한 거처居處가 있게 하고, 천지天地존비尊卑도리道理를 순종하여 재해災害를 만남이 없도록 하였으니, 선왕先王이 어찌 개인적인 이익을 소유했겠습니까?
내관內官구어九御(九嬪)에 넘지 않았고, 외관外官구품九品에 지나지 않았으니, 천지신명天地神明에게 제사를 받들 수 있을 뿐이었습니다. 어찌 감히 방종하여 자기의 성색聲色심복心腹(좋아하는 것과 즐기는 음식)을 만족하게 하여 각종 제도制度를 어지럽게 했겠습니까?
천자天子는 단지 죽은 뒤와 생전에 쓰는 복식服飾기물器物채색采色문장文章을 달리함으로써 백성에게 군림하여 존비귀천尊卑貴賤의 등급을 안배하였으니, 이 밖에 제후諸侯가 무슨 다른 것이 있겠습니까?
지금 하늘이 우리 나라 왕실王室에 재앙을 내려 나 한 사람이 겨우 우리 선왕先王의 창고를 지키고, 또 재주 없는 내가 숙부叔父를 애쓰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나 선왕先王의 위대한 제도制度반사頒賜하여 개인의 사사로운 은덕恩德을 갚는다면, 숙부께서는 진실로 이것을 받고도 나를 미워하여 나 한 사람을 그르다고 할 것입니다. 나 한 사람이야 어찌 감히 이것을 아끼겠습니까?
옛사람이 말하기를 ‘차는 패옥佩玉이 바뀌면 지위地位에 맞는 걸음걸이로 고쳐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숙부叔父께서 만일 위대한 을 빛나게 드러내어 을 고쳐 왕조王朝를 바꾸고, 복식服飾을 고쳐서 천하의 제도制度를 창조하면 스스로 드러내놓고 천자天子예물禮物을 쓰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천자天子복물服物을 취하여 백성을 진무鎭撫하면 나 한 사람은 변방의 먼 지역으로 유배되어 나그네로 지낼 텐데 무슨 말을 하겠습니까?
만일 그대로 희성姬姓 노릇을 한다면 숙부叔父는 아직 공후公侯반열班列이 되어 있을 것이고, 선왕先王제정制定제후諸侯의 직분을 회복해야 하니, 이 위대한 제도制度를 고칠 수가 없을 것입니다.
숙부叔父께서 밝은 을 힘써 밝히시면 그런 제도制度가 장차 저절로 올 것입니다. 내가 감히 나의 개인적인 공로 때문에 선왕先王의 위대한 제도를 변경하여 천하 사람의 욕을 받는다면 선왕先王과 백성에게 어떻게 하며, 어떻게 정령政令을 집행하겠습니까?
만일 그렇게 여기지 않는다면 숙부叔父께서 소유한 영토가 있으니 스스로 수도隧道를 한들 내가 어찌 알겠습니까?”
문공文公이 마침내 더 요청하지 못하고 주는 땅을 받아서 돌아갔다.


역주
역주1 初……晉文公納之 : 公序本에는 別行하지 않고 앞의 ‘富辰諫襄王而翟伐鄭國而翟女爲后’章 끝에 붙여 두었으나, 四部備要本과 文意에 따라 이 章에 붙였다. 惠后는 周惠王의 王后로 王子帶의 生母이고, 襄王의 繼母. 王子帶는 襄王의 異腹동생으로 甘에 봉해졌기 때문에 《左傳》에서는 ‘甘昭公’이라 하였다. 黨은 周나라 大夫頹叔‧桃子 등을 이르는데, 惠后가 子帶를 天子로 세우고자 했기 때문에 子帶를 돕는 패거리가 되어 翟人을 끌어들여 周나라를 치게 하였다.
역주2 晉文公旣定襄王於郟 : 子帶의 亂에 鄭나라에 망명해 있던 襄王을 晉文公이 郟으로 호송하여 復位시킨 일. 郟은 현재 河南省洛陽의 서쪽 지역으로, 옛 周나라 王城의 땅이다.
역주3 請隧焉 : 天子의 葬禮제도인 隧道를 달라고 요청함. 隧道는 墓 앞의 땅을 파서 만든 지하도로, 天子가 죽은 뒤 靈柩가 이 隧道로 들어와 葬事를 지낸다. 諸侯는 반 지하도인 羨道를 쓴다.
역주4 甸服 : 京城 주위 천 리 되는 지역. 정기적으로 天子에게 貢賦를 바친다.
역주5 以待不庭不虞之患 : 諸侯가 朝貢을 하지 않거나 뜻밖의 환난을 방비함. 不庭은 諸侯가 朝貢하러 오지 않는 일. 不虞는 意外에 닥치는 환난이다.
역주6 內官不過九御 : 宮中의 女官은 九嬪을 넘지 않음. 內官은 宮中의 內命婦. 九御는 天子의 妃嬪으로 九嬪인 六宮三夫人이다.
역주7 外官不過九品 : 朝廷의 官員은 九品을 넘지 않음. 外官은 朝廷의 臣僚. 九品은 九卿이니, 곧 少師‧少傅‧少保‧冢宰‧司徒‧宗伯‧司馬‧司寇‧司空이다.
역주8 祗[祇]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祇’로 고쳤다.
역주9 服物采章 : 服物은 服飾‧器物과 禮儀制度 등을 말하고, 采章은 彩色으로 무늬를 그리거나 繡놓은 旌旗‧수레‧服飾 등으로 등급을 구별하는 것을 이른다.
역주10 余一人僅亦守府 : 내가 先王이 물려주신 창고의 재물을 근근히 지킴. 余一人은 天子의 自稱. 先王이 이룩한 功業을 겨우 지키는 평범한 임금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謙辭로 이른 말이다.
역주11 不佞以勤叔父 : 못난 내가 同姓諸侯인 叔父를 애쓰게 함. 不佞은 재주가 없다는 뜻으로 자신을 謙辭로 이르는 말. 叔父는 晉文公을 지칭한 말. 周代에 天子가 同姓諸侯에게는 叔父, 異姓諸侯에게는 伯舅라고 일컬었다.
역주12 先王之大物 : 先王이 규정한 天子만 쓸 수 있는 隧道 등의 제도.
역주13 {也}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14 改玉改行 : 身分을 상징하는 佩玉이 바뀌면 그것에 따라 걸음걸이도 바뀜. 고대에 허리에 차는 佩玉으로 身分等級을 엄격히 하고, 佩玉의 소리에 맞춰 걸음걸이를 조절하였다. 晉文公은 아직 臣下의 위치에 있으므로 隧道를 할 수 없음을 이른 말이다.
역주15 更姓改物 : 王朝의 姓氏를 바꾸고 正朔을 고치며 服色을 바꾸다. 곧 易姓革命을 하여 새로운 王朝를 건립함을 이른다.
역주16 縮取備物 : 天子의 服物采章을 끌어다 취함. 縮은 引의 뜻. 服物采章은 앞의 주 37) 참고.
역주17 〈旅〉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8 與有[有與]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19 〈何〉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0 : 선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