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63. 悼公賜魏絳女樂歌鐘
[大義]융적과 화합하고 정나라를 굴복시킨 魏絳에게 도공이 여악 등을 주어 우대하고, 그 공을 잘 기억하는 도공을 찬양함.
魏絳女樂一八 歌鐘一肆하고
子敎寡人하야而正諸華하야 於今하야 寡人 無不得志하니 請與子共樂之하노라
魏絳 辭曰 夫和戎翟之幸也 七合諸侯 君之靈也리잇고
寡人無以待戎이요 無以 二三子何勞焉이리오
子其受之하라하니
君子曰 能
善也라하니라


163. 도공悼公위강魏絳에게 여악女樂과 노래에 쓰는 종을 주다
12년에 도공悼公나라를 쳐서 소어蕭魚에 주둔하니, 정백鄭伯가 와서 미녀, 악사와 첩 30인, 8사람씩 2줄로 이룩된 여악사女樂士, 노래할 때 쓰는 편종編鐘 2벌, 보배로 여기는 , 광거廣車돈거軘車 각각 15을 바쳤다.
도공이 위강魏絳에게 8사람씩 1줄로 이룩된 여악사女樂士와 노래할 때 쓰는 편종編鐘 1벌을 주고 말하기를
“그대가 나를 가르쳐 여러 융적戎翟과 화친하게 하고 중화의 제후를 바로잡게 해서 지금까지 8년 동안 7번이나 제후들과 회합해서 과인寡人이 뜻을 얻지 못함이 없으니, 청컨대 그대에게 주어서 함께 즐기고자 하노라.” 하니,
위강이 사양하여 말하기를 “대저 융적과 화합한 것은 임금님의 다행스러운 일이고, 8년 동안 7번 제후들을 규합糾合한 것은 임금님의 신령스러움과 여러 사람들의 노고 때문이니, 이 어찌 독점할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도공悼公이 말하기를 “그대가 아니었다면 과인이 융적을 대응할 수 없었을 것이요 하수河水를 건널 수 없었을 것이니, 여러 사람들이 무슨 공로가 있는가!
그대는 그것을 받으라.” 하였다.
군자가 말하였다.
“〈도공은〉 훌륭한 일을 잘 기억하는구나.”


역주
역주1 十二年 公伐鄭 軍於蕭魚 : 도공 12년은 魯襄公 11년이다. 鄭나라가 楚나라를 따랐기 때문에 친 것이다. 蕭魚에 주둔했다는 것은 정나라가 복종한 것이다. 蕭魚는 鄭나라 땅이다.
역주2 鄭伯嘉 來納女工妾三十人 女樂二八 : 嘉는 鄭僖公의 아들인 簡公이다. 女는 미녀이다. 工은 樂師니, 《左傳》 襄公 11년에 이르기를 “晉나라에 악사인 悝와 觸과 蠲을 뇌물로 보냈다.”는 것이 이것이다. 妾은 給使이니, 악사와 妾이 모두 30인이다. 여악은 지금의 기녀이다. 여덟 사람이 佾이니 8音을 갖춘 것이다. 혹자가 이르기를 “女工은 伎巧가 있는 사람이다.”고 하는데, 《左傳》과는 다르니, 잘못된 것이다. 賈逵가 이르기를 “妾은 女樂이다.” 하였는데, 아래에 별도로 ‘8사람씩 2줄로 이룩된 女樂士’라고 하니 가규가 이른 말이 잘못인 것 같다.
역주3 歌鐘二肆 : 歌鐘은 노래할 때 연주하는 것이다. 肆는 나열한 것이니, 무릇 鐘과 경쇠를 매달 적에 전체를 매단 것을 肆라 하고 반만 매단 것을 堵라고 한다. 16매가 1肆이다. 편종에는 鈕鐘과 甬鐘의 두 가지가 있는데, 뉴종은 곡조를 안정시키는 것이요, 용종은 두드려서 음계를 내는 것이다. 뉴종과 용종을 배합하여 곡조를 이룬다.
역주4 寶鎛 : 鎛은 작은 종이고, 寶는 정나라에서 보배로 여기는 것이다.
역주5 輅車十五乘 : 輅는 廣車이고, 車는 軘車이다. 十五는 각각 15乘이다. 《左傳》 襄公 11년에 이르기를 “廣車와 軘車가 짝[淳]으로 15승이고 일반 兵車가 1백 승이다.”라고 하였다. 淳은 짝이다.
역주6 : 四部備要本에는 ‘錫’으로 되어 있는데 異音同義字이다.
역주7 龢〈諸〉戎翟 : 龢는 四部備要本에 ‘和’로 되어 있는데 ‘龢’는 ‘和’의 古字이다. 諸는 四部備要本과 《左傳》 襄公 11년에 “和諸戎狄以正諸華”條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翟은 四部備要本에 ‘狄’으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역주8 八年 : 戎翟과 화합한 후 8년.
역주9 七合諸侯 : 첫 번째는 魯襄公 5년에 戚에서 회합한 것을 말하고, 두 번째는 7년에 鄬에서 회합한 것을 말하고, 세 번째는 8년에 邢丘에서 회합한 것을 말하고, 네 번째는 9년에 戲에서 동맹한 것을 말하고, 다섯 번째는 10년에 柤에서 회합한 것을 말하고, 여섯 번째는 12년에 亳城 북쪽에서 회합한 것을 말하고, 일곱 번째는 蕭魚에서 회합한 것을 말한다.
역주10 臣[君] : 四部備要本 등 각 본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11 八年 : 四部備要本에는 다음에 ‘之中’이 있고 《左傳》 襄公 11년에 “八年之中 九合諸侯”라 하였으나,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內傳과 外傳이 각각 詳略이 있어 같을 필요가 없고 ‘之中’ 두 글자는 잘못이라 하였다.
역주12 二三子之勞也 : 여러 장수들의 노고를 말한다.
역주13 焉得之 : 어찌 독점할 수 있겠는가!
역주14 : 無(없다)이다.
역주15 濟河 : 남쪽으로 鄭나라를 복종시킨 것이다.
역주16 : 識(기억하다)이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