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31. 吳欲晉戰得爲盟主
[大義]吳王 夫差가 王孫 雒의 계책을 따라 군대의 강력한 威容을 과시하여 晉나라를 굴복시키고 盟主가 된 일을 기술함.
吳王昏乃戒하야 令秣馬食士하고
夜中 乃令하고 係馬舌하며하고 陳士卒百人하야 以爲徹하다
行頭
鐸拱稽하고
하며하고 十行建旌提鼓하며 挾經秉枹하고하고 挾經秉枹하다
萬人以爲方陳하야 皆白素甲하니 望之如荼하고
王親秉鉞하고以中陳而立하니
左軍亦如之하야 皆赤常赤丹甲朱羽之矰하니 望之如火하고
右軍亦如之하야 皆玄常玄旗黑甲烏羽之矰하니 望之如墨이러라
爲帶甲三萬하야 以勢攻하야 雞鳴乃定하니 旣陳 去晉軍一里러라
昧明 王乃秉枹하고 親就鳴鐘鼓하고 振鐸하니 勇怯盡應하야 三軍皆譁以振旅하니 其聲動天地러라
晉師大駭不出하야 周軍하고 乃令請事하야
曰 兩君偃兵接好 日中爲期어늘 今大國越錄하야 而造於弊邑之軍壘하니 敢請亂故하노이다
吳王親對之하야
曰 天子有命하사대 周室卑約하야 貢獻莫入하니 上帝鬼神어늘 無姬姓之振也라하사來告하시니라
孤日夜相繼하야 匍匐就君호대今非王室不是憂하고하야하고
하야 以力征一二하니 孤欲守吾이나 進則不敢이오 退則不可
今會日薄矣어늘 恐事之不集하야 以爲諸侯笑일까하노라
孤之事君 在今日이오 不得事君 亦在今日하니
爲使者之無遠也하야 孤用親聽命於藩之外하노라
董褐將還 王稱하야 曰 攝 與王士五人하야 坐於王前하라하니
乃皆進하야亞刂於客前以酬客하다
董褐旣致命하고 乃告
臣觀吳王之色컨대 類有大憂하니
小則嬖妾嫡子死 不則國有大難이며 大則越入吳니이다
將毒하야 不可與戰이니其許之先하야 無以待危
然而不可徒許也니이다
趙鞅許諾하다
晉乃令董褐復命曰
寡君 未敢觀兵身見하야 使褐復命
曰 曩君之言 周室旣卑하야失禮於天子하니하야 收文武之諸侯라하야늘
孤以下密邇於天子하야 無所逃罪
讓日至하야 曰 昔不失하고 春秋必率諸侯하야 以顧在余一人이러니 今伯父有蠻荊之虞하야 禮世不續이라하고 用命孤禮佐하야 以見我一二兄弟之國하야 以休君憂라하니이다
今君掩王東海하야 以淫名聞於天하니 君有而自踰之어든 况蠻荊則何有於周室이리오
有命하니 固曰吳伯이오 不曰吳王이라
諸侯是以敢辭하니이다
夫諸侯無二君이오 而周無二王이니 君若無卑天子하야 以干其不祥하고 而曰吳公이면 孤敢不順從君命長弟리오
吳王許諾하고 乃退就幕而會하야 吳公先歃하고 晉侯亞之하다
吳王旣會 越聞愈章하니 恐齊宋之爲己害也 乃命王孫雄하야 先與하고 以爲過賓於宋하야 以焚其北郛焉而過之하다


231. 나라가 나라와 싸우려고 하여 맹주盟主가 되다
오왕吳王부차夫差가 황혼 무렵에 지시를 내려 말에게 곡식을 먹이며 군사들을 배불리 먹게 하였다.
밤중이 되자 명령을 내려 병기兵器를 잡고 갑옷을 입으며 말의 혓바닥을 붙들어 매고 화덕의 불을 밖으로 꺼내어 진중陣中을 환하게 비추게 하고, 군사 1백 명을 똑같이 한 으로 편성하여 1백 을 만들었다.
마다 우두머리는 모두 관사官師로서 방울을 품에 안고 군사의 명부를 손에 잡으며, 비호肥胡를 세우고 무늬 있는 코뿔소의 가죽으로 만든 방패를 받쳐 들며, 열 은 한 사람의 폐대부嬖大夫가 통솔하여 새의 깃을 쪼개어 장식한 을 세우고 북을 손에 들며, 병서兵書를 끼고 북채를 잡으며, 또 십정十旌은 한 사람의 장군將軍이 통솔하여 해와 달을 그린 상기常旗를 꽂고 전고戰鼓를 북틀에 매달아 세우며, 병서兵書를 끼고 북채를 잡게 하였다.
1만 명으로 방진方陣을 만들어 모두 흰색 하의下衣를 입고 교룡交龍을 그린 흰 를 세우며 흰 갑옷을 입고 흰 새 깃으로 살깃을 단 화살을 등에 메니, 멀리서 바라보았을 적에 마치 흰 띠풀 꽃이 핀 것과 같았다.
오왕吳王이 직접 도끼를 잡고 곰과 호랑이를 그린 흰 를 꽂고 방진方陣의 중앙에 우뚝 서 있었다.
좌군左軍중군中軍과 똑같이 하여 모두 붉은 하의下衣를 입고 새매를 그린 붉은 를 세우며 붉은 갑옷을 입고 붉은 새 깃으로 살깃을 단 화살을 등에 메니, 멀리서 바라보았을 적에 마치 맹렬히 타오르는 불과 같았다.
우군右軍중군中軍과 똑같이 하여 모두 검은 하의下衣를 입고 검은 를 세우며 검은 갑옷을 입고 검은 새 깃으로 살깃을 단 화살을 등에 메니, 멀리서 바라보았을 적에 마치 넘실대는 먹물과 같았다.
갑옷을 입은 무장한 군사 3만 명을 결성해 강력한 공격 태세를 갖추게 하여 첫닭이 울 때가 되어서야 비로소 진세陣勢를 확정하니, 군진軍陣의 배치를 끝내고 나자 나라 군대와의 거리는 단지 1 정도였다.
어스름 날이 샐 무렵 오왕吳王이 북채를 잡고 직접 나와 전고戰鼓를 치고 정녕丁寧을 두드리고 순우錞于를 울리며 방울을 흔드니, 용감한 자와 겁쟁이를 막론하고 전군全軍이 일제히 호응하여 삼군三軍이 모두 환호하자 그 소리가 천지를 진동시켰다.
나라 군대가 크게 놀라 나오지 못하고 군영軍營을 두루 다니며 성루城壘를 손질하여 방어를 강화하고 동갈董褐에게 이렇게 된 사유를 물었다.
“두 군주君主께서 전쟁을 중지하고 우호友好를 다짐하는 행사를 정오正午에 행하기로 시간을 정하였었는데, 지금 귀국貴國회맹會盟 순서를 뛰어넘어 우리나라의 군영軍營 앞에까지 왔으니, 감히 회맹會盟의 순서를 어지럽히는 까닭을 묻고자 합니다.”
오왕吳王이 직접 대답하였다.
천자天子께서 명하시되, ‘나라 왕실王室의 권위가 낮아지고 쇠약해져서 제후諸侯들이 공물貢物을 바치지 않아 상제上帝선조先祖에게 제사를 드려 고축告祝하는 일을 못하게 되었는데, 동성同姓희성姬姓제후諸侯도 구원해 주는 이가 없다.’라고 하시어 도보徒步전거傳車로 우리나라에 전달해 왔다.
내가 밤낮을 달려서 힘을 다해 기듯이 나라 국군國君에게 나왔으나 지금 나라 국군國君주왕실周王室의 평안하지 못한 것은 걱정하지 않고 편안히 나라의 많은 민중民衆을 믿어 주왕실周王室을 깔보는 등을 정벌하여 본때를 보이지 않는다.
장유長幼의 예절을 행하지 아니하여 무력으로 우리의 한두 형제국兄弟國을 정벌하고 있으니, 내가 우리 선군先君의 반열과 작위를 지키고자 하나 감히 선군先君을 초월할 수는 없고 선군先君보다 뒤처지는 것은 불가하다.
지금 회맹會盟하는 날이 임박하였는데 이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제후諸侯의 웃음거리가 될까 걱정스럽다.
내가 굴복하여 나라 군주君主를 섬기는 일이 오늘의 전투에 달려 있고 내가 맹주盟主가 되어 나라 군주君主를 섬길 수 없는 것도 오늘의 전투에 달려 있다.
귀국貴國사자使者가 멀리 오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내가 직접 귀국貴國군영軍營 밖에 와서 그대들의 명령을 들으려는 것이다.”
동갈董褐이 돌아가려고 할 때, 오왕吳王좌부左部군리軍吏를 불러서 “소사마少司馬왕사王士 다섯 사람을 잡아다가 의 앞에 앉혀라.”라고 하였다.
이들이 모두 앞으로 나와 동갈董褐의 앞에서 목을 찔러 죽음으로써 돌아가 보고하게 하였다.
동갈董褐군영軍營으로 돌아가 복명復命하기를 마치고 나서 이내 조앙趙鞅에게 말하였다.
“제가 오왕吳王부차夫差의 안색을 살펴보았는데 큰 걱정이 있는 것 같았습니다.
작은 걱정이면 사랑하는 이나 적자嫡子가 죽은 것일 테고 그게 아니면 나라에 큰 반란이 일어난 일이 있을 것이며, 큰 것으로 말하면 나라가 침공侵攻한 일일 것입니다.
그는 장차 더욱 포악해지게 되어 있어서 그들과 싸울 수 없으니 당신께서는 오왕吳王이 먼저 삽혈歃血하여 맹주盟主가 되도록 허락하여 위험을 기다리는 일이 없어야 되겠습니다.
그러나 아무 조건 없이 허락할 수는 없습니다.”
조앙趙鞅이 허락하였다.
나라가 동갈董褐을 시켜 나라에 가 복명復命하게 하였다.
“우리나라 국군國君께서 감히 무력武力을 시위하거나 직접 찾아 뵐 수가 없어서 저 동갈董褐을 시켜 다음과 같이 복명復命하게 하였습니다.
‘저번 군주君主의 말에 「주왕실周王室의 권위가 이미 낮아져서 제후諸侯천자天子에 대한 를 잃었으니, 거북 등딱지로 점을 쳐 바로잡아 문왕文王무왕武王 시대에 제후諸侯들이 천자天子를 받들던 를 회복하라」고 하였습니다.
저와 이하 사람들은 천자天子와 아주 가깝게 있어서 받아야 할 죄를 피할 길이 없습니다.
꾸짖는 말이 날마다 이르러 말하기를, 「옛날 오백부吳伯父는 1년 사철에 행하는 제후諸侯를 잃지 않고 반드시 제후諸侯를 거느리고 와서 나에게 조회朝會를 했었는데, 지금 오백부吳伯父이 뒤를 엿보는 우려가 있어서 조회朝會하는 를 대대로 계속하여 행하지 못한다고 하고는 나에게 명하시기를, 예의禮儀주공周公을 도와 우리 한두 희성姬姓형제국兄弟國조회朝會 오도록 하여 오왕吳王나라에 대한 걱정을 그치게 하라」고 했습니다.
지금 군주君主께서는 동해東海 지역 일대를 차지해 노릇하여 이라는 참람한 호칭이 천하에 알려졌으니, 군주君主께서는 넘어서는 안 되는 의 한계를 스스로 넘었는데, 더구나 이나 주왕실周王室에 무슨 예의禮儀가 있겠습니까?
천자天子책봉策封할 때 주는 명규命圭에 명령하는 말이 있으니, 본디 나라의 군주君主오백吳伯이라 하였고 오왕吳王이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제후諸侯들이 이 때문에 나라를 섬기지 않는 것입니다.
제후諸侯에게는 맹주盟主로 섬기는 두 임금이 없고, 나라에는 두 사람의 이 없으니, 귀국貴國군주君主께서 만일 천자天子의 권위를 얕잡아 보아 상서롭지 못한 일을 범하지 말고 오공吳公이라고 한다면 내가 감히 귀국貴國군주君主께서 장유長幼의 차서를 따라 선후先後삽혈歃血하라는 명령을 순종하지 않겠습니까.’”
오왕吳王이 허락하고 군대를 퇴각시킨 뒤 장막 안에 나아가 회맹會盟하여 오공吳公이 먼저 삽혈歃血하고 진후晉侯가 두 번째로 삽혈歃血하였다.
오왕吳王회맹會盟을 마쳤을 적에 나라가 강성하다는 소문이 더욱 퍼지니 오왕吳王나라와 나라가 자기를 위해危害하지나 않을까 하고 두려워서 왕손王孫에게 명하여 용획勇獲과 함께 먼저 보병을 거느리고 길을 지나가는 손님이라는 핑계를 대고 나라를 지나가면서 나라 국도國都의 북쪽 외성外城을 불태워 수비하는 병력을 없게 한 뒤에 지나갔다.


역주
역주1 服兵擐甲 : 병기를 잡고 갑옷을 입음. 완전군장 하여 전투 준비를 철저히 함을 이른다.
역주2 出火竈 : 야전용 화덕에서 불을 밖으로 꺼내어 陣中이 환하게 비춤.
역주3 徹行百行 : 1백 명의 군사를 일괄적으로 편성하여 한 行을 만듦. 1백 行이면 모두 군사 1만 명으로, 方陣을 이른다.
역주4 官師 : 上士. 또는 白官. 賈逵와 唐固는 모두 “官師는 大夫이다.” 하였는데, 韋昭는 “아래의 十行에서 嬖大夫 한 사람이라고 하였으니, 이곳의 一行에는 마땅히 士가 되어야 한다. 《周禮》에 ‘1백 명이 卒이 되고, 卒長은 모두 上士이다.’라 하였다.”라고 하였다.
역주5 帥[師]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6 扌雝 鐸拱稽 : 방울을 품에 안고 병사들의 인명부를 움켜잡음. 비밀히 작전하기 위하여 소리 나는 것을 일체 배제하는 행위임. 稽를 唐固는 의장용의 나무창[棨戟]이라 하였고, 鄭衆은 군사의 인원을 파악하는 名簿라고 하였다.
역주7 扌雝 : 四部備要本에는 ‘擁’으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8 肥胡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北堂書鈔》 武功部 六에 《國語》를 인용하면서 ‘服姑’라 썼고, 《文選》 吳都部의 劉良 注에 ‘祀姑’라고 되어 있는데 잘못 傳寫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9 肥胡 : 고대의 좁고 긴 깃발[幡]의 일종.
역주10 文犀之渠 : 무늬가 있는 코뿔소의 가죽을 씌워서 만든 방패.
역주11 嬖大夫 : 下大夫의 별칭. 晉나라‧鄭나라‧吳나라 등에서는 모두 下大夫를 嬖大夫라 하였다 한다. 《左傳 昭公 元年》 〈楊伯峻 注〉
역주12 十旌一將軍 : 十旌은 군사 1만 명. 將軍은 命卿으로 天子가 임명한 諸侯國의 卿을 이른다.
역주13 載常建鼓 : 태양과 달을 그린 旗를 수레에 꽂고, 晉鼓를 북틀에 매달아 세움. 常은 日月을 그린 旗. 鼓는 晉鼓로 戰鼓이다.
역주14 : 四部備要本에는 ‘爲’자가 없다.
역주15 : 四部備要本에는 ‘裳’으로 되어 있는데 《說文》에 “常은 혹 衣를 붙여 裳으로도 쓴다.” 하였다.
역주16 : 交龍의 형상을 그린 旗.
역주17 白羽之矰 : 흰 살깃을 붙인 화살. 矰은 짧은 화살의 이름.
역주18 白旗 : 흰 바탕에 곰과 호랑이를 그린 旗. 夫差가 왕의 지위로 中軍을 지휘함을 상징한다.
역주19 : 새매의 형상을 그린 旗.
역주20 丁寧 : 軍中에서 치는 징. 銅鑼.
역주21 錞于 : 軍中에서 사용하는 악기. 鼓角과 서로 맞추어 울리는데, 金錞이라고도 한다.
역주22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一切經音義》 十九에 《國語》를 인용하면서 ‘呴’로 썼다.”라고 하였다.
역주23 : 四部備要本에는 ‘飾’으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24 董褐 : 晉나라의 大夫 司馬 演.
역주25 不可以告 : 天神과 先祖에게 告할 수가 없음. 告는 祭告로, 백성과 나라의 福을 빌기 위하여 神明에게 제사를 드리며 告祝하는 일이다.
역주26 徒遽 : 도보와 傳車. 타지 않고 걸어서 가는 일과 驛馬를 타고 가는 일을 이른다. 傳車는 驛車. 또는 驛馬.
역주27 : 四部備要本에는 ‘君’자가 없다.
역주28 安平 : 四部備要本에는 ‘平安’으로 되어 있다.
역주29 億負晉衆庶 : 편안히 晉나라의 많은 군대를 믿음. 億은 安. 負는 恃의 뜻이다.
역주30 不式諸戎翟楚秦 : 周王室을 깔보고 不敬하게 대하는 戎‧翟‧楚‧秦을 정벌하지 않음. ‘式은 본때를 보이다’라는 뜻이다.
역주31 將不長弟 : 長幼의 도리를 행하지 않음. 將은 行. 弟는 幼의 뜻이다.
역주32 兄弟之國 : 魯나라‧衛나라 등을 말함. 晉나라는 이들 나라와 함께 周王室에서 分封된 姬姓이기 때문에 이른다.
역주33 先君之班爵 : 先君이 보유했던 爵位의 班列. 先君은 吳나라에 처음 封해진 泰伯으로, 太王인 古公亶父의 長子라고 한다.
역주34 : 四部備要本에는 ‘籬’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35 左畸 : 군대의 左部에 속한 軍吏.
역주36 少司馬玆 : 少司馬는 司馬를 도와 軍事에 관한 업무를 맡아보는 벼슬. 玆는 少司馬의 이름.
역주37 : 四部備要本에는 ‘曰’로 되어 있는데 ‘自’가 옳다.
역주38 {諸}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39 趙鞅 : 晉나라의 正卿. 곧 趙簡子.
역주40 : 趙鞅을 이르는 말. 고대에 卿大夫를 主라 일컬었다.
역주41 諸侯 : 四部備要本에는 ‘諸侯’ 다음에 ‘大夫’ 두 글자가 더 있는데 없는 것이 옳다.
역주42 貞於陽卜 : 거북 등딱지로 점을 쳐서 바로잡음. 거북 등딱지를 불에 구워 생긴 龜裂을 보고 吉凶을 예측하므로 陽卜이라 한다. 外事를 묻는 것을 陽卜, 內事를 묻는 것을 陰卜이라고 한다.
역주43 訊[誶] : 黃丕烈의 《國語札記》에서 말한 段玉裁의 설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44 吳伯父 : 吳泰伯을 이른 말. 韋昭는 “同姓元侯를 伯父라고 하니 吳伯父는 吳나라의 先君이다.”라고 하였다.
역주45 周公 : 周나라의 太宰. 諸侯의 우두머리.
역주46 子[下]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47 短垣 : 낮은 담장. 禮儀의 한계를 비유하는 말. 王室의 권위가 낮아지기는 했지만 넘어서는 안 됨을 이른 말이다.
역주48 命圭 : 天子가 諸侯를 冊封할 때 주는 옥으로 만든 홀[玉圭].
역주49 {許諾}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아래 許諾과 관련되어 더 들어갔다.”라는 설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50 勇獲帥徒師 : 勇獲은 吳나라의 大夫. 徒師는 보병.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