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5. 文公任賢與趙衰擧賢
[大義]자신이 사양함으로써 훌륭한 인물을 등용하게 한 趙衰를 중책에 임명함.
於趙衰하니 對曰 郤縠니이다
로대 守學彌惇하니이다
夫先王之法 德義之府也
夫德義 生民之本也 能惇篤者 不忘百姓也
請使郤縠하노이다 從之하다
公使趙衰 爲卿하니 辭曰 貞愼하고 先軫 有謀하고 胥臣 多聞하니 皆可以爲輔
臣弗若也니이다하니 乃使欒枝 將下軍하고 先軫으로 佐之하다
先軫之謀也
郤縠 使先軫으로 代之하고 胥臣으로 佐下軍하다
以德紀民하니 其章大矣 不可廢也니라
使狐偃으로 爲卿하니 辭曰
賢於臣하고 其齒又長이어늘 毛也不在位하니 不敢聞命이로소이다하니
乃使狐毛 將上軍하고 狐偃으로 佐之하다
狐毛卒 使趙衰 代之하니 辭曰 城濮之役之佐軍也善이라
有賞하고 善君有賞하며 能其官有賞이니
且臣之니이다하니 乃使先且居하다
이어늘 其所讓 皆社稷之衛也 廢讓이면 廢德也라하니라 以趙衰之故 蒐於하야하고
使趙衰 將新上軍하고 箕鄭으로 佐之하며 胥嬰으로 將新下軍하고 先都 佐之하다
子犯하니趙衰三讓不失하니 推賢也 廣德也
德廣賢至何患矣리오
請令衰也라하고 乃使趙衰上軍하다


125. 진문공晉文公이 어진 이에게 일을 맡기고 조쇠趙衰와 어진 이를 천거하다
진문공晉文公원수元帥 재목을 조쇠趙衰에게 물으니, 대답하기를 “극곡郤縠이 가합니다.
지낸 나이가 50살인데도 학문을 지키기를 매우 후하게 합니다.
선왕先王들의 법령이나 기록은 도덕과 의리의 창고입니다.
도덕과 의리는 백성들의 근본이니, 능히 돈독히 하는 자는 백성을 잊지 않을 것입니다.
청컨대 극곡을 시키십시오.” 하자, 문공이 이를 따랐다.
문공이 조최를 으로 삼으려 하니, 사양하여 말하기를 “난지欒枝는 바르고 삼가며, 선진先軫은 꾀가 있고, 서신胥臣은 들은 것이 많으니, 모두 보좌로 삼을 수 있습니다.
신은 그들만 못합니다.” 하자, 이에 난지에게 하군下軍을 지휘하게 하고 선진에게 부관副官을 하도록 하였다.
오록五鹿을 차지한 것은 선진의 꾀였다.
극곡이 죽자 선진으로 대신하게 하고, 서신胥臣을 하군의 부관으로 삼았다.
문공이 원계原季(조쇠趙衰)를 으로 삼으니, 사양하여 말하기를 “세 가지 덕은 호언狐偃이 낸 것입니다.
덕으로 백성을 다스리니, 그 공이 드러난 것이 커서 폐할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호언을 경으로 삼으려 하니, 호언이 사양하여 말하기를
호모狐毛의 지혜가 저보다 낫고 그 나이도 많은데 호모가 벼슬에 있지 않으니, 감히 명령을 따르지 못하겠습니다.”라고 하자,
이에 호모에게 상군을 지휘하게 하고 호언에게 부관을 하게 하였다.
호모가 죽자 조최에게 대신하게 하니, 사양하여 말하기를 “성복城濮의 전투에서 선차거先且居가 군대를 보좌하기를 잘하였습니다.
군대 공로에는 상이 있고, 또 임금 섬기기를 잘하면 상을 주며, 그 관직에 능히 잘하면 상을 주는 것이니, 선저거는 세 가지 상을 받을 것이 있어 폐기할 수 없습니다.
또한 신의 무리에 기정箕鄭서영胥嬰선도先都가 있습니다.”라고 하자, 이에 선저거에게 상군上軍을 지휘하게 하였다.
문공이 말하기를 “조최가 세 번 사양하거늘 그 사양함으로 추천된 사람은 모두 사직을 호위할 만한 사람들이니, 사양함을 폐기한다면 이는 덕을 폐기하는 것이다.”라고 하고, 조최 때문에 청원淸原에서 열병하여 오군五軍을 만들었다.
조최에게 신상군新上軍을 지휘하게 하고 기정에게 부관을 하게 하였으며, 서영에게 신하군新下軍을 지휘하게 하고 선도에게 부관을 하게 하였다.
자범子犯이 죽자 포성백蒲城伯이 〈조최를〉 부관으로 삼아 주기를 청하니, 문공이 말하기를 “조최가 세 번 사양하면서 마땅함을 잃지 않았으니, 사양함은 어진 이를 추대한 것이고 의는 덕을 넓히는 것이다.
덕이 넓고 어진 이가 이른다면 무슨 걱정이 있겠는가?
청컨대 조최로 하여금 그대를 따르게 하겠다.” 하고, 이에 조최를 상군上軍부관副官으로 삼았다.


역주
역주1 〈文〉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 元帥 : 上卿.
역주3 郤縠 可 行年五十矣 : 郤縠은 晉나라 大夫. 行은 歷(지나다)이다.
역주4 : 記錄.
역주5 欒枝 : 晉나라 大夫 欒共子의 아들 貞子.
역주6 〈佐〉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五鹿 : 衛나라 땅.
역주8 使原季 爲卿 : 原季는 趙衰. 文公 2년에 原의 大夫가 되었다. 卿은 次卿.
역주9 夫三德者 偃之出也 : 偃은 狐偃. 三德은 賈逵와 唐固는 “三德은 欒枝ㆍ先軫ㆍ胥臣이니 모두 호언이 천거한 바이다.”라 하였고, 虞翻은 “文公을 권해서 襄王을 周나라로 들여보내면서 신하의 의리를 보여준 것, 원을 칠 때에 믿음을 보인 것, 크게 열병할 때 백성에게 예를 보인 것.”이라 하였고, 韋昭는 “난지 등은 모두 조최가 천거한 바이고 호언이 한 바가 아니다. 삼덕으로 백성을 다스렸다는 말이 다음에 있으니, 우번의 말이 맞다.”고 하였다.
역주10 : 狐毛. 狐偃의 형.
역주11 : 四部備要本에는 ‘智’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역주12 先且居 : 先軫의 아들 蒲城伯. 뒤에 霍을 받아 霍伯이 되었다.
역주13 : 功.
역주14 且居有三賞 不可廢也 : 先且居는 이 세 가지 덕이 있어 이 세 가지 상을 얻어야 하고, 폐기되어 등용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
역주15 : 匹(무리)의 뜻.
역주16 箕鄭胥嬰先都 : 세 사람은 晉나라 大夫임.
역주17 將上軍 : 狐毛를 대신한 것이다.
역주18 趙衰三讓 : 세 번 卿을 시켰으나 세 번 사양하여 欒枝 등 8인을 진취시켰다.
역주19 淸原 : 晉나라 땅.
역주20 五軍 : 晉나라는 본래 3軍 즉 上軍, 中軍, 下軍이 있었는데, 지금 5군을 편성하여 新上軍, 新下軍을 만들었다.
역주21 蒲城伯 請佐 : 혹은 蒲城伯을 狐毛라고 하나 賈逵는 先且居라고 했다. 韋昭는 말하기를 위 장에서 호모는 이미 죽었고 선저거로 대신하게 하였으니, 가규의 말이 옳다고 했다.
역주22 〈夫〉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3 : 宜(마땅하다)의 뜻.
역주24 : 四部備要本에는 ‘又’로 되어 있다.
역주25 從子 : 선저거를 따르게 하는 것이다.
역주26 {新} : 衍文이다. 韋昭는 “여기에 新자가 있는 것은 잘못이다. 조최가 新上軍의 장군을 하다가 승진하여 上軍의 부관을 하게 되었으니 한 등급이 올라간 것이다. 신상군의 장군은 상군의 부관 아래에 있다.” 하였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