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36. 越不許吳成夫差自殺
[大義]越王 句踐이 夫差의 화친 요구를 거절하자 빠져나갈 길이 없게 된 夫差가 자살하고 월나라가 오나라를 멸망시킨 내용.
夫差行成曰
寡人之師徒 不足以辱君矣 請以金玉‧子女 賂君之辱하노이다
句踐對曰 昔天以越
어늘 而吳不러니
今天以吳予越하니 越可以無聽天之命하고 而聽君之令乎잇가
吾請達王甬句東하야 吾與君爲二君乎인저
夫差對曰 寡人
君若하야 而爲 亦寡人之願也로이다
君若曰 吾將殘社稷하고 滅女宗廟라하면 寡人請死하노니 余何面目으로 以視於天下乎
越君其次也하소서
遂滅吳하다


236. 나라가 나라에서 요청한 화친을 허락하지 않으니 부차夫差가 자살하다
부차夫差가 화친을 요구하며 말하였다.
“나의 군대가 군왕君王의 존귀하신 몸을 굽혀 토벌하게 하기에는 부족하니, 금옥金玉자녀子女군왕君王께서 존귀하신 몸을 굽혀 우리나라에 오신데 대하여 사례하기를 요청합니다.”
구천句踐이 대답하였다.
“지난날 하늘이 나라를 나라에 주었으나 나라는 받지 않았습니다.
지금 하늘이 나라를 나라에 주셨으니, 나라가 하늘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군왕君王의 명령을 따르겠습니까?
나는 군왕君王용구동甬句東에 보내 드려서 나와 군왕君王이 함께 나라의 두 임금으로 대우받기를 요청합니다.”
부차夫差가 대답하였다.
로 따지면 내가 밥 한 그릇 정도 먼저 먹었으니, 군왕君王께서 만일 나라 왕실王室과의 관계를 잊지 않으시어 우리가 나라 처마 밑에서 보호를 받는다면 이 역시 제가 원하는 바입니다.
군왕君王께서 만일 ‘내가 장차 너의 사직社稷을 파괴하고 너의 종묘宗廟를 허물어 없애겠다.’라고 말한다면 나는 죽기를 요청하니, 내가 무슨 면목面目으로 천하 사람들을 보겠소?
나라 군왕君王나라에 오래 머무르며 차지하시오.”
이리하여 마침내 나라를 멸망시켰다.


역주
역주1 : 四部備要本에는 ‘予’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2 : 四部備要本에는 ‘受’자 다음에 ‘命’자가 더 있는데 〈吳語〉와 〈越語 下〉의 이 부분에 모두 ‘命’자가 없다.
역주3 禮先壹飯矣 : 夫差의 나이가 句踐보다 많음을 이른 말. 예의로 말하면 한 그릇의 밥을 먼저 먹은 차이가 있다는 뜻이다. 일설에는, 壹飯은 자그마한 은혜가 있다는 뜻으로, 전일 越나라가 망하게 되었을 때 夫差가 句踐의 화친 요청을 받아들여 은혜를 베풀어 주었음을 이른 말이라고 한다.
역주4 不忘周室 : 吳나라는 泰伯의 후예로 周王室과 同姓이기 때문에, 周王室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인정을 베풀어 달라는 뜻이다.
역주5 弊邑宸宇 : 吳나라를 越나라의 처마 밑에 머물러 두어서 附庸으로 삼아 주기를 요청한 말.
역주6 : 四部備要本에는 ‘汝’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