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5. 叔孫穆子知楚公子圍有篡國之心
虢之會 楚公子圍 二人執戈하다
蔡公孫歸生 與鄭罕虎 見叔孫穆子하니
穆子曰 楚公子甚하니 不大夫矣 抑君也니이다
曰 有執戈之前하니 惑之니이다
曰 楚 大國也 公子圍 其令尹也 有執戈之前 不亦可乎잇가
穆子曰 不然하다
天子有 習武訓也 諸侯有 禦災害也 大夫有 備承事也 士有
今大夫而設諸侯之服
若無其心이면 而敢設服하야 以見諸侯之大夫乎
如龜焉하야 灼其中하면 必文於外
若楚公子不爲君이면 必死하야 리라하다
公子圍反하야
敖而代之하다


55. 숙손목자叔孫穆子초공자楚公子가 나라를 찬탈할 마음이 있음을 알아차리다
【大義】服飾과 儀仗의 등급을 보고 당사자의 행위를 살핀다.
에서의 회맹會盟나라 공자公子가 두 사람에게 창을 잡고 선도先導하게 하였다.
나라 공손公孫귀생歸生나라 한호罕虎와 〈노나라〉 숙손목자叔孫穆子를 만났다.
목자穆子가 말하기를 “초나라 공자가 매우 아름다우니, 대부大夫 같지 않고 도리어 임금답습니다.”라고 하고,
나라 자피子皮가 말하기를 “창을 들고 앞서 가는 자가 있으니, 나도 이상스럽게 여깁니다.”라고 하고,
나라 자가子家가 말하기를 “는 큰 나라이고, 공자公子는 그 나라의 영윤令尹이니, 창을 잡고 앞서 가는 자가 있는 것이 또한 옳지 않겠습니까?”라고 하였다.
목자穆子가 말하기를 “그렇지 않습니다.
천자가 호분虎賁을 두는 것은 무예의 교육을 익힘이고, 제후가 여분旅賁을 두는 것은 재해를 막는 것이고, 대부가 부거副車를 두는 것은 일을 받드는 데에 대비하는 것이고, 배승陪乘을 두는 것은 심부름에 고하기 위한 것입니다.
지금 대부로서 제후의 복장을 갖추고 있는 것은 찬탈簒奪하려는 마음이 있는 것입니다.
만일 그런 마음이 없다면 감히 복식을 베풀어서 제후의 대부를 만나겠습니까?
장차 〈그가 대부大夫로는〉 들어가지 않을 것입니다.
무릇 복식은 마음의 문식文飾이니, 마치 점치는 거북 같아서 그 가운데를 지지면 반드시 문식이 밖에 드러나게 됩니다.
만일 초나라 공자가 임금이 되지 않는다면 반드시 죽어서 제후들과 회합하지 못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공자 위는 돌아가서 겹오郟敖를 시해하고 그를 대신하였다.


역주
역주1 : 先은 두 사람에게 창을 잡고 앞에 있으면서 인도하게 함을 말한다.
역주2 : 美는 服飾이 성대함을 말한다.
역주3 子皮 : 罕虎.
역주4 子家 : 歸生.
역주5 虎賁 : 천자를 앞뒤에서 호위하고 따르는 군사.
역주6 旅賁 : 周官의 이름. 창과 창을 들고 諸侯를 호위하는 군사.
역주7 貳車 : 副車.
역주8 陪乘 : 수레 오른쪽에 타는 호위 무사. 車右.
역주9 奔走 : 使令이다.
역주10 有其心 : 나라를 찬탈하려는 마음이 있음이다.
역주11 將不入矣 : 만일 토벌당하지 않으면 반드시 찬탈하리니, 다시 들어가서 대부가 되지 않는다.
역주12 夫服心之文也 : 마음에 좋아하는 바를 몸에 반드시 복식으로 한다.
역주13 不合諸侯矣 : 다시 대부로서 제후들과 회합하지 못한다.
역주14 郟敖 : 楚康王의 아들 麇. 麇이 병이 있자, 圍가 목을 졸라 시해하고, 그를 郟에 묻었기 때문에 그를 郟敖라고 하고 諡號가 없다. 敖는 초나라에서 시호가 없는 귀족을 일컫는 말이다.
역주15 : 겹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