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8. 衛文公不禮重耳
[大義]晉나라 公子 重耳가 衛나라를 지나갈 때 衛文公이 중이를 예우하지 않자, 중이가 천하의 패자가 될 것을 알아본 寗莊子가 문공에게 禮로 중이를 대하라고 권면함.
過衛할새 衛文公이라
言於公曰 夫禮 國之紀也
國無紀 不可以終이요 民無結이면 不可以固 德無建이면 不可以立이니
此三者 君之所愼也어늘 今君棄之하니 無乃不可乎잇가
晉公子 善人也 君不禮焉이면
臣故云하니 君其圖之하소서
하니將在武族하리니
苟姬未絶周室이면 而俾守天 必武
武族 唯晉實昌하고 晉胤 公子實德하니이다
晉仍無道하야 天胙有德하니 晉之守祀 必公子也
若復而修其德하고 鎭撫其民이면 必獲諸侯하야 以討無禮하리니 君弗蚤圖 衛而在討리이다
小人是懼하니 敢不盡心가한대 公弗聽하니라


108. 위문공衛文公중이重耳에게 를 갖추지 않다
중이重耳가〉 나라를 지나갈 때 위문공衛文公에 대비함이 있어서 능히 로 대하지 못하였다.
영장자寗莊子가 문공에게 말하기를 “는 나라의 기강이고 친척을 친하게 대하는 것은 백성을 결속하게 하는 것이고 한 사람을 선히 여기는 것은 덕을 세우는 것입니다.
나라에 기강이 없으면 잘 마칠 수 없고 백성의 결속이 없으면 견고할 수가 없으며 덕을 세움이 없으면 설 수가 없습니다.
이 세 가지는 임금께서 신중히 해야 하는 것인데 지금 임금께서 그것을 버리시니, 옳지 않은 것이 아닙니까?
나라 공자公子중이重耳는 선한 사람이고 나라는 친족이니, 임금께서 그를 예로 대하지 않으면 세 가지 덕을 버리는 것입니다.
제가 그렇기 때문에 말씀드리는 것이니, 임금께서는 잘 생각하십시오!
강숙康叔문왕文王이고 당숙唐叔무왕武王입니다.
주나라의 큰 공이 무왕에게 있으니, 하늘에서 복을 주는 것이 장차 무왕의 후손에게 있을 것입니다.
진실로 희성姬姓들이 나라를 단절하지 않는다면 하늘이 주는 재물과 백성을 지키게 할 자는 반드시 무왕의 후손일 것입니다.
무왕의 후손 중에 오직 나라만이 실제로 창성하고 진나라의 자손 중에 공자公子중이重耳가 실제 덕이 있습니다.
진나라는 자주 도가 없어서 하늘이 덕 있는 이에게 복을 주려고 하니, 진나라의 제사를 지킬 사람은 반드시 공자 중이일 것입니다.
만약 귀국하여 그 덕을 닦고 그 백성들을 어루만진다면 반드시 제후들을 얻어서 예의가 없는 사람을 정벌할 것이니, 임금께서 일찍 생각하지 않는다면 나라가 토벌을 당하게 될 것입니다.
저는 이것을 두려워하니, 감히 마음을 다하지 않겠습니까?”라고 하였으나, 위문공衛文公은 따르지 않았다.


역주
역주1 有邢翟之虞 不能禮焉 : 衛文公은 宣公의 손자이며 昭伯 頑의 아들인 燬이다. 虞는 대비한다[備]는 뜻이다. 이해는 魯僖公 18년인데 겨울에 邢나라 군인들과 翟나라 군인들이 衛나라를 공격해서 菟圃를 포위하니, 衛文公이 訾婁에서 군사를 일으키고 싸워서 퇴각시켰다. 이 때문에 禮로 重耳를 대우하지 못했다.
역주2 寗莊子 : 衛나라 正卿. 穆仲靜의 아들 寗速.
역주3 親民之結也 : 임금이 그 친척을 친히 하는 것은 민심을 결속시켜 서로 친하게 하는 것이다.
역주4 善德之建也 : 능히 선한 사람을 선하게 여기는 것은 덕을 세우는 것이다.
역주5 而衛親也 : 晉나라 조상 唐叔은 武王의 아들이요 衛나라 조상 康叔은 文王의 아들이므로, 親이라고 한 것이다.
역주6 三德 : 손님을 예로 대하는 것[禮賓], 친척을 친히 하는 것[親親], 선한 이를 선하게 여기는 것[善善]이다.
역주7 康叔 文之昭也 唐叔 武之穆也 : 神主는 조상으로부터 내려오면서 하나는 昭가 되고 하나는 穆이 된다. 그러므로 康叔은 文王의 昭가 되고 唐叔은 武王의 穆이 된다. 昭ㆍ穆은 太祖 또는 始祖 앞에 두 줄로 나열된 신주의 차례로, 昭는 왼쪽(동쪽)에 穆은 오른쪽(서쪽)에 나열한다.
역주8 周之大功 在武 : 紂를 쳐서 천하를 평정한 것을 말한다.
역주9 : 四部備要本에는 ‘祚’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역주10 : 財物과 百姓.
역주11 : 嗣(후손)이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