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9. 藍尹亹避昭王而不載
[大義]전쟁에서 패배한 왕의 피난길을 도와주지 않음으로써 왕의 잘못을 경계하고 잘못된 신하의 前轍을 밟지 않도록 간함.
하니 昭王出奔하야 濟於할새載其孥하고 王曰 載予하라 對曰 自先王莫
其國이어늘
하니 君之過也로소이다 遂去王하다
王歸 又求見王이어늘
欲執之한대曰 請聽其辭하소서
夫其有故리이다 王使謂之曰 成臼之役 而棄不穀이러니 今而敢來 何也
昔瓦唯長舊怨하야 以敗於柏擧 故君及此어늘
今又效之하시니 無乃不可乎잇가
臣避於成臼 以儆君也 庶悛而更乎 今之敢見 觀君之德也
曰 庶懼而鑒前惡乎인저
君若不鑒而長之하시면 君實有國而不愛 臣何有於死리오
死在니이다 唯君圖之하소서
子西曰 使復其位하사 以無忘前敗하소서 王乃見之하다


219. 남윤미藍尹亹소왕昭王을 회피하여 배에 태워 주지 아니하다
나라 군대가 나라를 침공해 들어오니 초소왕楚昭王이 달아나서 성구成臼나루를 건너려 하였는데, 남윤미藍尹亹가 그의 처자妻子를 배에 태우는 것을 보고, 왕이 “나를 태워 주라.” 하니, 〈남윤미藍尹亹〉가 대답하였다.
선왕先王 때로부터 우리나라를 잃은 적이 없었습니다.
현재 임금의 시대를 당해서 망하게 되었으니 임금 당신의 잘못입니다.”라 하고는 소왕昭王을 버리고 떠났다.
뒤에 소왕昭王이 돌아왔을 적에 남윤미藍尹亹가 다시 소왕昭王을 뵙기를 요청하였다.
소왕昭王이 그를 체포하려고 하자, 자서子西가 말하기를 “그의 말을 들어 보십시오.
필시 까닭이 있을 것입니다.” 하니, 소왕昭王이 사람을 시켜 말하기를, “성구成臼의 사건에서 네가 나를 버리고 가더니 지금 네가 와서 뵙자는 것은 어쩐 일인가?” 하니, 대답하였다.
“옛날에 자상子常이 지난날의 원망을 자꾸 쌓아 가다가 백거柏擧에서 패하였기 때문에 군주君主께서 이번 일을 당하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군주君主께서 또 자상子常의 행위를 본받고 계시니 옳지 않은 일이 아니겠습니까?
성구成臼에서 군주君主를 피했던 것은 군주君主를 경계하려고 했던 것이니 행여 잘못을 고쳐서 바꿀 것이라고 생각했었고, 지금 군주君主를 뵙고자 한 것은 군주君主덕행德行을 살펴보려는 것입니다.
내 생각에 지금의 실패를 두렵게 생각하여 전일前日의 잘못을 거울로 삼고 계실 거라고 생각해서였습니다.
군주君主께서 이를 거울로 삼지 않으시고 예전의 원망을 자꾸 쌓아 간다면 군주君主께서는 실제로 나라를 소유하고 있기는 하나 사랑하는 것은 아니니, 이 죽는 데에 무슨 애석함이 있겠습니까.
죽이는 일은 사패司敗가 맡고 있으니 군주君主께서는 저의 죽음과 삶에 대하여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자서子西가 말하기를 “그의 벼슬을 복직시켜서 전날의 실패를 잊지 않도록 하십시오.”라고 하니, 소왕昭王이 그를 만났다.


역주
역주1 吳人入楚 : 魯定公 4년(기원전 506년)에 吳나라와 楚나라가 楚邑 柏擧에서 벌인 전투. 이 전투에서 楚나라 군대가 크게 패하여 吳나라 군대가 楚나라의 수도 郢을 점령하였다. 吳人은 吳王 闔閭를 이른다.
역주2 成臼 : 나라 이름. 지금의 湖北省 京山縣과 鍾祥縣 일대에 있다. 일명 臼成河.
역주3 藍尹亹 : 楚나라의 大夫. 이름은 亹.
역주4 : 四部備要本에는 ‘墜’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5 當君之世而亡之 : 四部備要本에는 ‘當君而亡之’로 되어 있다.
역주6 : 四部備要本에는 ‘王’자가 없다.
역주7 子西 : 당시 楚나라의 令尹. 公子 申으로 楚平王의 아들이고, 楚昭王의 庶兄이다.
역주8 : 四部備要本에는 ‘對’자가 없다.
역주9 〈憶〉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0 司敗 : 刑獄을 맡은 官員. 楚나라에서는 司寇를 司敗라 하였다.
역주11 〈在〉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