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7. 寺人勃鞮求見文公
[大義]文公을 죽이려 했던 내시 勃鞮가 군신의 도리를 논하자, 文公이 받아들여 화를 면함.
獻公 使하니 文公 踰垣이어늘 勃鞮斬其袪하니라
及入하야 勃鞮求見한대
辭焉하고 曰 驪姬之讒于屛內하고 困余於蒲城하야 斬余衣袪하고
하니 干二命하야 以求殺余
余於伯楚 屢困이나 何舊怨也
退而思之하고 異日見我하라 對曰 이어늘 又將出矣리라
事君不貳 是謂臣이요 好惡不易 是謂君이라
君君臣臣 是謂明訓이니 明訓能終이라야 民之主也니이다
除君之 唯力所及이니 何貳之有리이까
今君 卽位이까
爲明王하고 管仲桓公而卒以爲侯伯
하니로대 而無怨言하고 佐相以終하야成令名이니이다
今君之德宇 何不寬裕也
君實不能明訓하야
戾之人也 又何患焉이리오
且不見我 君其無悔乎이까하니라
於是하야 謀作亂하야
將以으로 焚公宮하고 出救火 而遂러니
伯楚知之 求見公하니하야見之하고 曰 豈不如女言
이나 是吾 吾請去之하노라
伯楚以呂之謀 告公하니하야하야 告之亂故하니라
及己丑하야 公宮火어늘 二子求公不獲하고 遂如河上하니 秦伯 誘而殺之하니라


117. 시인寺人발제勃鞮문공文公을 뵙기를 구하다
당초에 헌공獻公시인寺人발제勃鞮를 시켜서 문공文公중이重耳포성蒲城에서 치게 하였더니, 문공이 담을 넘어가거늘 발제가 그 소맷자락을 잘랐었다.
〈중이가〉 귀국하게 되자 발제가 뵙기를 요구하였는데,
문공이 거절하고 말하기를, “여희驪姬의 참소로 네가 나를 병풍 안에서 쏘아 겨냥하였고, 나를 포성蒲城에서 곤궁하게 하여 나의 옷소매를 잘랐고
또 혜공을 위하여 나를 위빈渭濱에서 추적했을 적에 〈혜공이〉 명령하기를 3일 만에 해치우라고 하였거늘 네가 하룻밤만 자고 이르렀으니, 너는 〈헌공ㆍ혜공〉 두 임금의 명령을 어기면서까지 나를 죽이려고 했다.
내가 백초伯楚 너에게 자주 곤액을 당했는데 무슨 옛날의 원한이 있었는가!
물러가 생각해 보고 뒷날 나를 보도록 하라.” 하니, 대답하기를, “나는 임금께서 이미 임금과 신하의 도리를 알았기 때문에 귀국했다고 생각했는데, 아직도 임금과 신하의 도리를 알지 못했다면 또한 장차 내쫓길 것입니다.
임금을 섬기되 두마음을 갖지 않는 것을 신하의 도리라 하고, 좋아하며 싫어함을 바꾸지 않는 것을 임금의 도리라 합니다.
임금이 임금답고 신하가 신하다운 것을 밝은 가르침이라 하는 것이니, 밝은 가르침을 끝까지 잘해야 백성의 주인입니다.
〈헌공ㆍ혜공〉 두 임금의 시대에 포인蒲人적인翟人을 내가 〈죽이지 않을〉 무슨 의리가 있었겠습니까!
임금이 미워하는 바를 제거하기를 오직 힘이 미치는 대로 할 것이니, 무슨 두마음이 있겠습니까!
지금 임금께서 즉위하고서 같은 사람이 없겠습니까!
이윤伊尹태갑太甲을 내쳤었으나 끝내 밝은 임금을 만들었고, 관중管仲환공桓公을 해쳤었어도 끝내 제후의 패자를 만들었습니다.
건시乾時의 전쟁에서 〈관중의〉 신손申孫 화살이 환공의 허리띠쇠를 맞혔는데, 허리띠쇠는 소매보다 〈몸에 위험하게〉 가까우나 〈환공의〉 원망하는 말이 없었고, 재상을 삼아 일생을 마치게 하여 능히 훌륭한 이름을 이루었습니다.
지금 임금의 도량은 어찌 관대하지 못하십니까!
그 좋아할 사람을 미워한다면 오래갈 수 있겠습니까!
임금께서는 실제로 능히 밝은 교훈을 실행하지 못해서, 백성의 주인이 되는 도리를 버리는 것입니다.
나는 죄를 받은 환관이니, 또 무엇을 걱정하겠습니까!
장차 나를 만나 보지 않으시면 임금께서는 뉘우침이 없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이에 여생呂甥기예冀芮가 핍박을 당할까 두려워하고 문공文公을 들어오게 한 일을 뉘우쳐서, 난리를 꾀하였다.
장차 기축일己丑日공궁公宮을 불사르고, 공이 나와서 불을 끄면 마침내 시해하려고 하였다.
백초伯楚가 이를 알았으므로 공을 뵙기를 구하니, 공이 두려워하여 급히 만나 보고 말하기를, “어찌 네 말과 같이 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내게 〈너를 보지 않으려는〉 언짢은 마음이 있으니, 청컨대 언짢은 내 마음을 없애 주도록 하라.”고 하였다.
백초가 여생과 극예郤芮의 음모를 공에게 고하니, 공이 두려워하여 역마를 타고 샛길로 몰래 달아나 왕성王城에 가서 진백秦伯을 만나서 난리를 고하였다.
기축일己丑日이 되자 공궁公宮에 불이 나거늘, 〈여생呂甥기예冀芮〉 두 사람이 공을 찾았으나 잡지 못하고 마침내 하상河上으로 가니, 진백이 유인하여 그들을 죽였다.


역주
역주1 寺人勃鞮 : 寺人 披. 자는 伯楚.
역주2 伐公於蒲城 : 포성을 정벌한 것은 魯僖公 5년의 일이다.
역주3 爾射予于屛內 : 射은 겨냥하여 쏨. 諸侯는 內屛(문 안에 설치한 병풍)이고 天子는 外屛(문 밖에 설치한 병풍)을 쓴다.
역주4 : 四部備要本에는 ‘余’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5 又爲惠公 從余于渭濱 : 濱은 물가. 重耳가 翟나라에 있을 때 翟의 임금을 따라 위빈에서 사냥을 하니, 勃鞮가 惠公을 위하여 와서 죽이려고 하였다.
역주6 命曰三日 若 宿而至 : 명령하여 3일에 하게 하였는데, 〈급히 하여〉 하룻밤 자고 이르렀다. 若은 汝(너)의 뜻.
역주7 吾以君爲已知之矣 : 임금된 도리와 신하된 도리를 아는 것이다. 入은 나라로 다시 돌아온 것이다.
역주8 猶未之知〈也〉 又將出矣 : 아직도 그것을 알지 못했다면 장차 다시 나라를 잃어 도망나갈 것이다.
역주9 〈也〉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0 二君之世……余何有焉 : 獻公과 惠公의 시대를 당해서 당신 중이는 蒲人과 翟人일 뿐이라, 두 임금이 미워하는 바이니, 나에게 무슨 의리가 있어 당신을 죽이지 않을 것인가!
역주11 : 四部備要本에는 ‘所’자가 없다.
역주12 其無蒲翟乎 : 두려워 싫어하기를 蒲ㆍ翟과 같이 할 자가 유독 없겠는가!
역주13 伊尹 放太甲而卒以爲明王 : 太甲은 湯의 손자이며 太丁의 아들이다. 명석하지 못하여 伊尹이 桐宮에 내쳤는데 3년 만에 태갑이 잘못을 고치자 이윤이 그를 복위시켜서 끝내 명철한 임금이 되었다.
역주14 : 四部備要本에는 ‘以’자가 없는데 있어야 옳다.
역주15 : 子糾를 위해서 桓公을 겨냥하여 쏜 것을 말한다.
역주16 乾時之役 申孫之矢集於桓鉤 : 乾時의 전투는 魯莊公 9년에 있었다. 申孫은 화살의 이름이고, 鉤는 혁대의 고리이다.
역주17 鉤近於袪 : 近은 해로움이 가까운 것이다. 鉤는 배에 있고, 袪는 손에 있다.
역주18 〈克〉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9 惡其所好 其能久矣 : 자기가 충신이어서 임금은 당연히 좋아해야 할 사람인데 도리어 미워하니, 오래 임금 노릇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한 것이다.
역주20 棄民主 : 백성의 주인이 되는 도리를 버리는 것이다.
역주21 余 辠戾之人也 : 勃鞮는 閹士이므로, 辠戾之人이라고 하였다.
역주22 : 四部備要本에는 ‘罪’로 되어 있는데 ‘辠’는 罪의 古字이다. 아래도 같다.
역주23 呂甥冀芮畏偪……謀作亂 : 呂甥과 冀芮는 본래 惠公의 黨與였다. 핍박과 해를 당할까 두려워하였으므로 난을 일으키기를 꾀한 것이다.
역주24 〈文〉 : 四部備要本에는 다음에 ‘文’자가 더 있는데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는 없어야 옳다고 하였다.
역주25 己丑 : 魯僖公 24년 3월 초하루이나, 그때는 2월 그믐이었다.
역주26 : 四部備要本에는 ‘弑’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역주27 : 四部備要本에는 다음에 ‘出’자가 더 있는데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는 없어야 한다고 하였다.
역주28 惡心 : 마음이 악함이니, 용서하지 않음을 말한다.
역주29 : 冀芮. 본명은 郤芮. 冀를 食邑으로 하였으므로, 冀芮라고 일컬었다.
역주30 乘馹自下 脫會秦伯於王城 : 馹은 역말이고, 自는 부터이며, 下는 샛길이고, 脫會는 숨어 가서 몰래 도망한다는 말이고, 王城은 秦나라 河上의 邑이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