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傳義(上)

주역전의(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전의(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 履 序卦 物畜然後有禮 故受之以履라하니라 夫物之聚 則有大小之別, 高下之等, 美惡之分하니 是物畜然後有禮 履所以繼畜也 禮也 人之所履也 爲卦 天上澤下하니 天而在上하고 澤而處下 上下之分 尊卑之義 理之當也 禮之本也 常履之道也 故爲履 踐也, 藉也 履物爲踐이요 履於物爲藉 以柔藉剛이라 故爲履也 不曰剛履柔而曰柔履剛者 剛乘柔 常理 不足道 故易中 唯言柔乘剛하고 不言剛乘柔也 言履藉於剛하니 乃見卑順說應之義
10. 履 ䷉
履虎尾라도 不咥人이라니라
[傳] 履 人所履之道也 天在上而澤處下하니 以柔履藉於剛하여 上下各得其義하니 事之至順이요 理之至當也 人之履行 如此 雖履至危之地 亦无所害 故履虎尾而不見咥嚙하니 所以能亨也
彖曰 履 柔履剛也ㅣ니
說而應乎乾이라 是以履虎尾不咥人亨이라
[傳] 兌以陰柔 履藉乾之陽剛 柔履剛也 兌以說順으로 應乎乾剛而履藉之 下順乎上, 陰下承乎陽이니 天下之至[一作正]理也 所履如此 至順至當하니 雖履虎尾 亦不見傷害 以此履行이면 其亨 可知
剛中正으로 履帝位야 而不疚ㅣ면 光明也ㅣ라
[傳] 九五以陽剛中正으로 尊履帝位하여 苟无疚病이면 得履道之至善光明者也 謂疵病이니 夬履是也 光明 德盛而輝光也
象曰 上天下澤 君子야 辨上下야 定民志니라
[傳] 天在上하고 澤居下 上[一作天]下之正理也 人之所履 當如是 故取其象而爲履 君子觀履之象하여 以辨別上下之分하여 以定其民志하나니 夫上下之分明然後 民志有定하고 民志定然後 可以言治 民志不定이면 天下不可得而治也 古之時 公卿大夫而下 位各稱其德하여 終身居之하니 得其分也 位未稱德이면 則君擧而進之하나니 士修其學하여 學至而君求之 皆非有預於己也 農工商賈勤其事而所享有限이라 故皆有定志而天下之心 可一이러니 後世 自庶士 至于公卿 日志于尊榮하고 農工商賈 日志于富侈하여 億兆之心 交騖於利하여 天下紛然하니 如之何其可一也리오 欲其不亂이나 難矣 由上下无定志也 君子觀履之象而分辨上下하여 使各當其分하여 以定民之心志也하나니라
初九 素履면 无咎ㅣ리라
[傳] 履不處者 行之義 初處至下하니 素在下者也로되 而陽剛之才 可以上進하니 若安其卑下之素而往이면 則无咎矣 夫人不能自安於貧賤之素 則其進也 乃貪躁而動하여 求去乎貧賤耳 非欲有爲也 旣得其進이면 驕溢必矣 故往則有咎 賢者則安履其素하여 其處也樂하고 其進也將有爲也 故得其進이면 則有爲而无不善하니 乃守其素履者也
象曰 素履之往 獨行願也ㅣ라
[傳] 安履其素而往者 非苟利也 獨行其志願耳 專也 若欲貴之心與行道之心 交戰于中이면 豈能安履其素也리오
九二 履道 坦坦니 幽人이라리라
[傳] 九二居柔하여 寬裕得中하니 其所履 坦坦然平易之道也 雖所履 得坦易之道 亦必幽靜安恬之人處之라야 則能貞固而吉也 九二 陽志上進이라 故有幽人之戒
象曰 幽人貞吉 中不自亂也ㅣ라
[傳] 履道在於安靜하니 其中恬正이면 則所履安裕어니와 中若躁動이면 豈能安其所履리오 故必幽人則能堅固而吉이니 盖其中心安靜하여 不以利欲自亂也
六三 眇能視 跛能履 履虎尾야 咥人이니고 武人 爲于大君이로다
[傳] 三 以陰居陽하여 志欲剛而體本陰柔하니 安能堅其所履리오 故如盲眇之視하여 其見不明하고 跛躄之履하여 其行不遠이라 才旣不足而又處不得中하고 履非其正이며 以柔而務[一作勝]剛하니 其履如此 履於危地 故曰履虎尾 以不善履 履危地하니 必及禍患이라 故曰咥人凶이라 武人爲于大君 如武暴之人而居人上하여 肆其躁率而已 非能順履而遠到也 不中正而志剛하여 乃爲群陽所[一有不字]與 是以 剛躁蹈危而得凶也
象曰 眇能視 不足以有明也ㅣ오 跛能履 不足以與行也ㅣ오
[傳] 陰柔之人 其才不足하여 視不能明하고 行不能遠이어늘 而乃務剛하니 所履如此 其能免於害乎
咥人之凶 位不當也ㅣ오 武人爲于大君 志剛也ㅣ라
[傳] 以柔居三하여 履非其正이니 所以致禍害하여 被咥而凶也 以武人爲喩者 以其處陽하여 才弱而志剛也일새라 志剛則妄動하여 所履不由其道하니 如武人而爲大君也
九四 履虎尾 愬愬이면 終吉이리라
[傳] 九四陽剛而乾體 雖居四 剛勝者也 在近君多懼之地하여 无相得之義하고 五復剛決之過 故爲履虎尾 愬愬 畏懼之貌 若能畏懼則當終吉이라 蓋九雖剛而志柔하고 四雖近而不處 故能兢愼畏懼 則終免於危而獲吉也
象曰 愬愬終吉 志行也ㅣ라
[傳] 能愬愬畏懼則終得其吉者 志在於行而不處也 去危則獲吉矣 陽剛 能行者也 居柔 以順自處者也
九五 夬履이라도리라
[傳] 夬 剛決也 五以陽剛乾體 居至尊之位하여 任其剛決而行者也 如此則雖得正이나 猶危厲也 古之聖人 居天下之尊하여 明足以照하고 剛足以決하고 勢足以專이나 然而未嘗不盡天下之議하여 雖芻蕘之微라도 必取하니 乃其所以爲聖也 履帝位而光明者也 若自任剛明하여 決行不顧 雖使得正이나 亦危道也 可固守乎 有剛明之才라도 苟專自任이면 猶爲危道어든 況剛明不足者乎 易中云貞厲 義各不同하니 隨卦可見이라
象曰 夬履貞厲 位正當也라
[傳] 戒夬履者 以其正當尊位也 居至尊之位하고 據能專之勢하여 而自任剛決하고 不復畏懼하면 雖使得正이나 亦危道也
上九 視履야 考祥호 其旋이면 元吉이리라
[傳] 上處履之終하니 於其終 視其所履行하여 以考其善惡禍福호되 若其旋이면 則善且吉也 謂周旋完備하여 无不至也 人之所履 考視其終하여 若終始周完无疚 善之至也 是以元吉이라 人之吉凶 係其所履하니 善惡之多寡 吉凶之小大也
象曰 元吉在上 大有慶也니라
[傳] 上 履之終也 人之所履 善而吉하고 至其終하여 周旋无虧 乃大有福慶之人也 人之行 貴乎有終이라
周易正義(주역정의(1)) 周易兼義 上經 需傳 卷第二> 10. 履(兌下乾上)
履虎尾라도 不咥人이라하니라
범의 꼬리를 밟더라도 사람을 물지 않아서 형통하다.
[疏]正義曰:履卦之義, 以六三爲主.
정의왈正義曰:이괘履卦의 뜻은 육삼六三을 주체로 삼는다.
, 猶如履虎尾, 爲危之甚.
육삼六三음유陰柔로서 구이九二의 강함을 밟고 있어서 위태로움을 밟고 있는 자이니, 마치 범의 꼬리를 밟는 것과 같아서 위태로움의 심함이 된다.
‘不咥人 亨’者, 以六三在兌體, 兌爲和, 而應乾剛.
[不咥人 亨]육삼六三에 있으니, 화설和說함이 되어서 에 응한다.
雖履其危, 而不見害, 故得亨通, 猶若履虎尾不見咥齧于人.
비록 위태로움을 밟고 있으나 상해傷害를 당하지 않으므로 형통함을 얻는 것이니, 마치 범의 꼬리를 밟으나 사람을 물지 않는 것과 같다.
此假物之象, 以喩人事.
이는 물건의 을 빌려서 사람의 일을 비유한 것이다.
彖曰
단전彖傳〉에 말하였다.
柔履剛也 說而應乎乾이라
을 밟고 있는 것이니, 기뻐하면서 에게 응한다.
是以 履虎尾라도 不咥人하여이라
이 때문에 범의 꼬리를 밟더라도 사람을 물지 않아서 형통한 것이다.
[注]凡彖者 言乎一卦之所以爲主也 成卦之體 在六三也
모든 은 한 의 주체가 된 이유를 말한 것이니, 성괘成卦의 주체가 육삼六三에 있다.
履虎尾者 言其危也 三爲履主하여 以柔履剛하니 履危者也
범의 꼬리를 밟음은 그 위태로움을 말한 것이니, 육삼六三이괘履卦의 주체가 되어서 로서 을 밟고 있으니, 위태로움을 밟고 있는 자이다.
履虎尾라도 有不見咥者 以其說而應乎乾也 剛正之德者也
범의 꼬리를 밟더라도 물림을 당하지 않는 것은 기뻐하여 에 응하기 때문이니, 강정剛正을 가진 자이다.
不以說行夫佞邪하고 而以說應乎乾하니 宜其履虎尾라도 不見咥而亨이라
기뻐함으로써 아첨하고 간사한 사람에게 행하지 않고 기뻐함으로써 에 응하니, 범의 꼬리를 밟더라도 물림을 당하지 않아 형통한 것이 당연하다.
[疏]‘彖曰履柔履剛也’至‘不咥人亨’
의 [彖曰履柔履剛也]에서 [不咥人亨]까지
○正義曰:‘履 柔履剛’者, 言履卦之義, 是柔之履剛, 六三陰爻, 在九二陽爻之上, 故云“柔履剛”也.
정의왈正義曰:[履 柔履剛]이괘履卦의 뜻이 바로 을 밟고 있는 것임을 말한 것이니, 음효陰爻육삼六三양효陽爻구이九二의 위에 있으므로 “을 밟고 있다.[柔履剛]”라고 말한 것이다.
履謂履踐也, 此釋履卦之義.
’는 밟음을 이르니, 이는 이괘履卦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說而應乎乾 是以履虎尾 不咥人 亨’者, 釋不咥人亨之義,
[說而應乎乾 是以履虎尾 不咥人 亨] ‘사람을 물지 않아서 형통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六三在兌體, 兌爲和說, 應於上九, 上九在乾體, 兌自和說, 應乎乾剛, 以說應剛, 无所見害,
육삼六三에 있으니 화설和說함이 되어서 상구上九에 응하고, 상구上九에 있는데 가 스스로 화설和說하여 에 응하니, 기뻐함으로써 에 응하여 상해傷害를 받는 바가 없다.
是以履踐虎尾, 不咥害于人, 而得亨通也.
이 때문에 범의 꼬리를 밟더라도 사람을 물어 해치지 않아서 형통함을 얻는 것이다.
若以和說之行, 而應於陰柔, 則是邪佞之道, 由以說應於剛, 得吉也.
만약 화설和說의 행실을 가지고 음유陰柔에 응하면 이는 간사하고 아첨하는 방도인데, 기뻐함을 가지고 에 응하기 때문에 길함을 얻은 것이다.
剛中正으로 履帝位하여 而不疚 光明也
강중정剛中正으로 황제의 지위를 밟아서 하자가 없음은 광명光明한 것이다.”
[注]言五之德이라
구오九五을 말한 것이다.
[疏]正義曰:‘剛中正 履帝位’者, 謂九五也.
정의왈正義曰:[剛中正 履帝位]구오九五를 말한 것이다.
以剛處中, 得其正位, 居九五之尊, 是剛中正, 履帝位也.
으로서 에 처하여 정위正位를 얻었고 구오九五의 높은 지위에 거하였으니, 이것이 ‘강중정剛中正으로 황제의 지위를 밟는 것[剛中正 履帝位]’이다.
‘而不疚光明’者, 能以剛中而居帝位, 不有疚病, 由德之光明故也.
[而不疚光明]강중剛中으로서 황제의 지위에 거하여 하자와 병폐가 있지 않음은 광명光明하기 때문이다.
此一句, 贊明履卦德義之美, 於經无所釋也.
이 한 이괘履卦덕의德義의 아름다움을 찬양하고 밝혔으니, 경문經文에는 해석한 바가 없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上天下澤이니 君子以辯上下하여 定民志하니라
“위는 하늘이고 아래는 못인 것이 이괘履卦이니, 군자君子가 보고서 상하上下분변分辯하여 백성의 뜻(마음)을 안정시킨다.”
[疏]正義曰:天尊在上, 澤卑處下, 君子法此履卦之象, 以分辯上下尊卑, 以定正民之志意, 使尊卑有序也.
정의왈正義曰:하늘은 높게 위에 있고 못은 낮게 아래에 있으니, 군자가 이 이괘履卦을 본받아서 상하上下의 높고 낮음을 분변分辯하여 백성의 의지意志를 안정시켜 그들로 하여금 높고 낮음에 차례가 있게 하는 것이다.
但此履卦名合二義, 若以爻言之, 則在上履踐於下, 六三履九二也, 若以二卦上下之象言之, 則履禮也, 在下以禮承事於上.
다만 이 이괘履卦의 이름에 두 가지 뜻이 합해 있어서, 만약 를 가지고 말하면 위에 있으면서 아래를 밟는 것이니 육삼六三구이九二를 밟는 것이요, 만약 두 의 상하의 을 가지고 말하면 이니 아래에 있으면서 로써 윗사람을 받들어 섬기는 것이다.
此象之所言, 取上下二卦卑承尊之義,
이 〈상전象傳〉에서 말한 것은 위아래에 있는 두 가 낮은 이가 높은 이를 받드는 뜻을 취하였다.
故云“上天下澤履.”
그러므로 “위는 하늘이고 아래는 못인 것이 이괘履卦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但易萬象, 反覆取義, 不可定爲一體故也.
다만 《주역周易》은 만 가지 을 포함하고 있어서 반복하여 뜻을 취하니, 정하여 한 가지 로 삼을 수 없기 때문이다.
初九 素履往이면 无咎리라
초구初九는 검소한 행함으로 가면 허물이 없으리라.
[注]處履之初하여 爲履之始하니 履道 素乃无咎
의 처음에 처하여 의 시초가 되니, 는 화려함을 싫어하므로 검소하면 마침내 허물이 없는 것이다.
處履以素 何往不從이리오
에 처하기를 검소함으로써 하면 어디로 간들 따르지 않겠는가.
必獨行其願하여 物无犯也
반드시 홀로 그 소원을 행하므로 남들이 범하지 않는 것이다.
[疏]正義曰:處履之始, 而用質素,
정의왈正義曰:의 시초에 처하여 질박함과 검소함을 사용한다.
故往而无咎.
그러므로 가면 허물이 없는 것이다.
若不以質素, 則有咎也.
만약 질박함과 검소함을 사용하지 않으면 허물이 있을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素履之往 獨行願也
“검소한 행함으로 감은 홀로 자기가 원하는 것을 행하는 것이다.”
[疏]正義曰:‘獨行願’者, 釋素履之往, 它人尙華, 己獨質素, 則何咎也.
정의왈正義曰:[獨行願] ‘검소한 행함으로 감’을 해석한 것이니, 다른 사람은 화려함을 숭상하더라도 자기가 홀로 질박하고 검소하면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故獨行所願, 則物无犯也.
그러므로 홀로 자기가 원하는 바를 행하면 남이 범하지 않는 것이다.
九二 履道坦坦하니 幽人하여하니라
구이九二는 이행하는 가 평탄하니, 유인幽人하여 길할 것이다.
[注]履道尙謙하여 不喜處盈하고 務在致誠하니 夫外飾者也어늘
는 겸손함을 숭상하여 가득함에 처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힘씀이 정성을 다하는 데에 있으니, 밖으로 꾸밈을 싫어하는 자이다.
而二以陽處陰하니 履於謙也
그런데 구이九二으로서 의 자리에 처하였으니, 겸손함을 행하는 것이다.
居內履中하여 隱顯同也 履道之美 於斯爲盛이라
안에 거하고 가운데를 밟고 있어서 숨음과 드러남이 똑같으니, 의 아름다움이 이에 성함이 된다.
履道坦坦하여 无險厄也 在幽而貞하니 宜其吉이라
그러므로 가 평탄하여 험함과 곤액이 없는 것이요, 에 있으면서 하니 길함이 마땅하다.
[疏]‘九二’至‘幽人貞吉’
의 [九二]에서 [幽人貞吉]까지
○正義曰:‘履道坦坦’者, 坦坦, 平易之貌.
정의왈正義曰:[履道坦坦] ‘탄탄坦坦’은 평이한 모양이다.
九二以陽處陰, 履於謙退, 己能謙退, 故履道坦坦 , 无險難也.
구이九二으로서 의 자리에 처하여 겸손함을 이행하니, 자기가 능히 겸손하기 때문에 가 평탄하고 평이해서 험난함이 없는 것이다.
‘幽人貞吉’者, 旣无險難, 故在幽隱之人, 守正得吉.
[幽人貞吉] 이미 험난함이 없기 때문에 그윽하고 숨겨진 곳에 있는 사람이 정도正道를 지켜 길함을 얻는 것이다.
[疏]○注‘履道尙謙’至‘宜其吉’
의 [履道尙謙]에서 [宜其吉]까지
○正義曰:‘履道尙謙’者, 言履踐之道, 貴尙謙退, 然後乃能踐物, 履又爲禮, 故尙謙也.
정의왈正義曰:[履道尙謙] 이행하는 는 겸손함을 귀하게 여기고 숭상함을 말한 것이니, 이렇게 한 뒤에야 물건을 밟을 수 있는 것이요, 는 또 가 되기 때문에 겸손함을 숭상하는 것이다.
‘居內履中 隱顯同’者, 履道尙謙, 不喜處盈然, 以陽處陰, 尙於謙德.
[居內履中 隱顯同]가 겸손함을 숭상하여, 가득한 자리에 처함을 좋아하지 않으니, 으로서 의 자리에 처함은 겸손한 을 숭상하는 것이다.
居內履中, 以信爲道, 不以居外爲榮, 處內爲屈, 若居在外, 亦能履中謙退, 隱之與顯, 在心齊等, 故曰“隱顯同也.”
거내리중居內履中’은 로 삼아서 밖에 있는 것을 영화榮華로 삼지 않고 안에 있는 것을 굽힘으로 삼지 않아서, 만약 거처함이 밖에 있더라도 을 밟고 겸손하여 숨음과 드러남을 자기 마음속에 똑같이 생각하므로 “숨음과 드러남이 똑같다.[隱顯同]”라고 말한 것이다.
‘在幽而貞 宜其吉’者, 以其在內卦之中, 故云“在幽”也, 謙而得中, 是貞正也, 在幽能行此正, 故曰“宜其吉.”
[在幽而貞 宜其吉]내괘內卦에 있기 때문에 “에 있다.[在幽]”라고 말한 것이요, 겸손하면서 을 얻음이 바로 정정貞正한 것이니, 에 있으면서 능히 이 바름을 행하기 때문에 “길함이 마땅하다.[宜其吉]”라고 말한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幽人貞吉 中不自亂也
유인幽人하여 길함은 에 있어서 스스로 어지럽지 않기 때문이다.”
[疏]正義曰:‘中不自亂’者, 釋幽人貞吉, 以其居中, 不以危險而自亂也.
정의왈正義曰:[中不自亂] ‘유인幽人하여 길함[幽人貞吉]’을 해석한 것이니, 에 거하였기 때문에 위험으로써 스스로 어지럽지 않은 것이다.
旣能謙退幽居, 何有危險自亂之事.
이미 겸손하여 그윽히 거처하면 어찌 위험하여 스스로 어지러운 일이 있겠는가.
六三 眇能視 跛能履
육삼六三은 애꾸눈이 잘 본다고 여기며 절름발이가 잘 걷는다고 여기는 것이다.
履虎尾하여 咥人하여이니 武人爲于大君이로다
범의 꼬리를 밟아서 사람을 물어 흉하니, 무인武人대군大君이 된 것이다.
[注]居履之時하여 以陽處陽 猶曰不謙이온 而況以陰居陽하고 以柔乘剛者乎
의 때에 거하여 으로서 의 자리에 처하여도 오히려 겸손하지 않다고 말하는데, 하물며 으로서 의 자리에 거하고 로서 을 탄 자에 있어서랴.
以此爲明 眇目者也 以此爲行 跛足者也 以此履危 見咥者也
그러므로 이것을 밝다고 여김은 애꾸눈이고, 이것을 잘 걷는다고 여김은 절름발이이며, 이로써 위태로움을 밟음은 물림을 당하는 자인 것이다.
志在剛健하여 不修所履하고 欲以陵武於人하여 爲于大君하여 行未能免於凶하고 而志存于五하니 頑之甚也
뜻이 강건함에 있어서 이행하는 바를 닦지 않고 남에게 능멸과 무력을 가하여 대군大君이 되려고 해서 행실이 흉함을 면치 못하고 뜻이 구오九五에 있으니, 이는 완악함이 심한 것이다.
[疏]‘六三眇能視’至‘武人爲于大君’
의 [六三眇能視]에서 [武人爲于大君]까지
○正義曰:‘眇能視 跛能履’者, 居履之時, 當須謙退, 今六三以陰居陽, 而又失其位, 以此視物, 猶如眇目, 自爲能視, 不足爲明也, 以此履踐, 猶如跛足, 自爲能履, 不足與之行也.
정의왈正義曰:[眇能視 跛能履]의 때에 거하여 모름지기 겸손해야 하는데, 지금 육삼六三으로서 의 자리에 거하여 또 정위正位를 잃었으니, 이러한 방도로써 물건을 보면 마치 애꾸눈이 스스로 잘 본다고 여기지만 밝음이 되지 못하는 것과 같고, 이러한 방도로써 걸어가면 마치 절름발이가 스스로 잘 간다고 여기지만 그와 함께 갈 수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
‘履虎尾 咥人凶’者, 以此履虎尾, 咥齧於人, 所以凶也.
[履虎尾 咥人凶] 이러한 방도로써 범의 꼬리를 밟으면 사람을 무니, 이 때문에 흉한 것이다.
‘武人爲于大君’者, 行此威武, 加陵於人, 欲自爲於大君, 以六三之微, 欲行九五之志, 頑愚之甚.
[武人爲于大君] 이 위엄과 무력을 행하여 남에게 능멸을 가해서 스스로 대군大君(帝王)이 되고자 하는 것이니, 육삼六三의 미천함으로서 구오九五의 뜻을 행하고자 하면 이는 완악하고 어리석음이 심한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眇能視 不足以有明也 跛能履 不足以與行也 咥人之凶 位不當也 武人爲于大君 志剛也
“애꾸눈이 잘 본다고 여김은 밝음이 되지 못하고, 절름발이가 잘 걷는다고 여김은 함께 갈 수 없는 것이요, 사람을 물어 흉함은 자리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요, 무인武人대군大君이 됨은 뜻이 강한 것이다.”
[疏]‘象曰眇能視’至‘武人爲于大君志剛也’
의 [象曰眇能視]에서 [武人爲于大君志剛也]까지
○正義曰:‘不足以有明’者, 釋眇能視物, 目旣隆眇, 假使能視, 无多明也.
정의왈正義曰:[不足以有明] ‘애꾸눈이 물건을 잘 본다고 여김’을 해석한 것이니, 눈이 이미 애꾸가 되었으면 가령 잘 보더라도 많이 밝지 못한 것이다.
‘不足以與行’者, 解跛能履, 足旣蹇跛, 假使能履, 行不能遠,
[不足以與行] ‘절름발이가 잘 걷는다고 여김’을 해석한 것이니, 발을 이미 절면 가령 잘 가더라도 감이 멀리 가지 못한다.
故云“不足以與行也.”
그러므로 “함께 갈 수 없는 것이다.[不足以與行]”라고 말한 것이다.
‘位不當’者, 釋咥人之凶, 所以被咥見凶者, 緣居位不當, 爲以陰處陽也.
[位不當] ‘사람을 물어 흉함’을 해석한 것이니, 물려서 흉함을 당한 까닭은 거한 자리가 마땅하지 않아서 으로서 의 자리에 처하였기 때문이다.
‘志剛’者, 釋武人爲于大君, 所以陵武加人, 欲爲大君, 以其志意剛猛, 以陰而處陽, 是志意剛也.
[志剛] ‘무인武人대군大君이 됨’을 해석한 것이니, 능멸과 무력을 남에게 가하여 대군이 되고자 하는 것은 그 뜻이 강하고 사납기 때문이니, 으로서 의 자리에 처함은 바로 뜻이 강한 것이다.
九四 履虎尾 이면 終吉이리라
구사九四는 범의 꼬리를 밟은 것이니, 조심하고 조심하면 끝내 길하리라.
[注]逼近至尊하고 以陽承陽하여 處多懼之地
지존至尊의 자리에 매우 가깝고 으로서 을 받들고 있어서 두려움이 많은 자리에 처하였다.
曰 履虎尾 愬愬也라하니라
그러므로 “범의 꼬리를 밟으니 조심하고 조심한다.” 한 것이다.
然以陽居陰하고 以謙爲本하니 雖處危懼 終獲其志
그러나 으로서 의 자리에 처하고 겸손함을 근본으로 삼아서 비록 위태롭고 두려운 자리에 처하였으나 끝내 그 뜻을 얻는다.
故終吉也
그러므로 끝내 길한 것이다.
[疏]正義曰:‘履虎尾 愬愬’者, 逼近五之尊位, 是履虎尾, 近其危也, 以陽承陽, 處嫌隙之地, 故愬愬危懼也.
정의왈正義曰:[履虎尾 愬愬]구오九五존위尊位에 매우 가까우니, 이는 범의 꼬리를 밟아서 그 위태로움에 가까운 것이요, (九四)으로서 (九五)을 받들어서 혐의스러운 자리에 처하였으므로 조심하고 조심하여 위태롭게 여기고 두려워하는 것이다.
‘終吉’者, 以陽居陰, 意能謙退, 故終得其吉也.
[終吉](九)으로서 의 자리(四)에 거하여 마음이 겸손하기 때문에 끝내 그 길함을 얻는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愬愬終吉 志行也
“조심하고 조심하면 끝내 길함은 뜻이 행해지는 것이다.”
[疏]正義曰:‘志行’者, 釋愬愬終吉, 初雖愬愬, 終得其吉, 以謙志得行, 故終吉也.
정의왈正義曰:[志行] ‘조심하고 조심하면 끝내 길함’을 해석한 것이니, 처음에는 비록 조심하고 조심하나 끝내 그 길함을 얻는 까닭은 겸손한 뜻이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끝내 길한 것이다.
九五 夬履 貞厲
구오九五는 결단하여 이행하니, 바르더라도 위태롭다.
[注]得位處尊하여 以剛決正이라
정위正位를 얻고 높은 지위에 처하여 으로써 바름을 결단한다.
曰 夬履貞厲也라하니라
그러므로 “쾌하게 이행하니 바르더라도 위태롭다.”고 말한 것이다.
履道 이어늘 而五處尊하니 是以危
는 가득한 것을 싫어하는데 구오九五존위尊位에 처하였으니, 이 때문에 위태로운 것이다.
[疏]正義曰:‘夬履’者, 夬者, 決也.
정의왈正義曰:[夬履] ‘’는 결단함이다.
得位處尊, 以剛決正, 履道行正,
정위正位를 얻고 높은 지위에 처하여 으로써 바름을 결단하여 이행하는 가 바름을 행한다.
故夬履也.
그러므로 ‘결단하여 이행하는[夬履]’ 것이다.
‘貞厲’者, 厲, 危也.
[貞厲] ‘’는 위태로움이다.
履道惡盈, 而五以陽居尊, 故危厲也.
이행하는 는 가득한 것을 싫어하는데, 구오九五으로서 존위尊位에 거하였기 때문에 위태로운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夬履貞厲 位正當也
“‘결단하여 이행하니 바르더라도 위태로움’은 자리가 바로 그 지위에 당했기 때문이다.”
[疏]正義曰:‘位正當’者, 釋夬履貞厲之義,
정의왈正義曰:[位正當] ‘결단하여 이행하니 바르더라도 위태로움’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所以夬履貞厲者, 以其位正當處在九五之位, 不得不決斷其理, 不得不有其貞厲, 以位居此地故也.
결단하여 이행해서 바르더라도 위태로운 까닭은 그 지위가 바로 구오九五의 지위에 처해 있어서 그 이치를 결단하지 않을 수 없고 ‘바르더라도 위태로움’이 없을 수 없기 때문이니, 이는 지위가 이러한 자리에 거하였기 때문이다.
上九 視履하여 考祥이니 其旋이면 元吉이리라
상구上九는 이행하는 것을 살펴보아 상서로움을 상고하는 것이니, 돌아오면 크게 길하리라.
[注]禍福之祥 生乎所履 處履之極하여 履道成矣
징상徵祥(징조)이 이행하는 바에서 생겨나니, 에 처하여 가 이루어졌다.
可視履而考祥也
그러므로 이행하는 바를 살펴보아 징상徵祥을 상고할 수 있는 것이다.
居極應說하여 高而不危하니 是其旋也
에 거하여 화열和悅함에 응하므로 높아도 위태롭지 않으니, 이것이 ‘돌아오는 것’이다.
履道大成이라 元吉也
가 크게 이루어졌으므로 ‘크게 길한 것’이다.
[疏]正義曰:‘視履考祥’者, 祥謂徵祥, 上九處履之極, 履道已成,
정의왈正義曰:[視履考祥] ‘’은 상서祥瑞을 이르니, 상구上九에 처하여 이행하는 가 이미 이루어졌다.
故視其所履之行善惡得失, 考其禍福之徵祥.
그러므로 이행하는 바의 행실의 선악善惡득실得失을 살펴보아 그 징상徵祥을 상고하는 것이다.
‘其旋元吉’者, ,
[其旋元吉] ‘’은 돌아옴을 이른다.
上九處履之極, 下應兌說, 高而不危, 是其不墜於履, 而能旋反行之, 履道大成,
상구上九에 처하고 아래로 의 기뻐함에 응하여 높아도 위태롭지 않으니, 이는 이행함을 실추하지 않아서 능히 돌아와 행하여 이행하는 가 크게 이루어진 것이다.
故元吉也.
그러므로 ‘크게 길한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元吉在上 大有慶也
“크게 길함으로 위에 있음은 크게 복경福慶이 있는 것이다.”
[疏]正義曰:‘大有慶’者, 解元吉在上之義, 旣以元吉而在上九, 是大有福慶也.
정의왈正義曰:[大有慶] ‘크게 길함으로 위에 있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이미 크게 길함으로서 상구上九의 자리에 있으면, 이는 크게 복경福慶이 있는 것이다.
以有福慶, 故在上元吉也.
복경福慶이 있기 때문에 위에 있어 크게 길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六三以陰柔履踐九二之剛 履危者也 : 王弼과 孔穎達은 ‘履虎尾’를 六三이 九二를 밟고 있는 것으로 보아 〈彖傳〉의 ‘柔履剛也’ 역시 ‘柔가 剛을 밟고 있다.’로 해석하였다. 반면에 程伊川은 履卦를 上卦와 下卦로 나누어 보아 乾卦의 아래에 兌卦가 있는 것으로 ‘履虎尾’를 해석하여 “하늘은 위에 있고 못은 아래에 처하였으니, 柔가 剛에게 밟히고 깔려서 上下가 각각 그 義를 얻었다.[天在上而澤處下 以柔履藉於剛 上下各得其義]”고 풀이하였다.
역주2 : 열
역주3 (无)[故] : 저본에는 ‘无’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 〈校勘記〉에 “살펴보건대, 无는 ‘故’자의 譌字이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故’로 바로잡았다.
역주4 (合)[含] : 저본에는 ‘合’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含’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5 : 오
역주6 : 오
역주7 (者)[平] : 저본에는 ‘者’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 〈校勘記〉에 “살펴보건대, 위 글의 ‘坦坦’은 平易한 모양이니, 이 ‘者’자는 ‘平’이 되어야 한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平’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 : 이
역주9 愬愬 : 색색
역주10 : 오
역주11 旋謂旋反也 : 注에는 ‘是其旋也’라 하여 旋의 뜻이 분명하지 않는데, 孔穎達은 ‘旋反’이라 하여 돌아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程伊川과 朱子는 모두 ‘周旋’으로 보아, 程伊川은 “旋은 周旋함이 완비하여 지극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旋 謂周旋完備 无不至也]”라 하였고, 朱子는 “周旋함이 이지러짐이 없는 것[周旋无虧]”으로 註를 내었다. 여기에서의 ‘周旋’은 행동거지를 말한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