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9. 陽鳥 攸居로다
陽鳥 隨陽之鳥 謂雁也 今惟彭蠡洲渚之間 千百爲群하니 記陽鳥所居 猶夏小正 記雁北鄕(向)也 言澤水旣豬하여 洲渚旣平하니 而禽鳥亦得其居止하여 而遂其性也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彭蠡旣豬하니 陽鳥攸居로다
彭蠡旣豬하니 陽鳥攸居로다
彭蠡에 이미 물이 모이니 陽鳥(기러기)가 사는 곳이 되었다.
[傳]彭蠡 澤名이라 隨陽之鳥 鴻雁之屬이니 冬月所居於此澤이라
彭蠡는 못 이름이다. 〈陽鳥는〉 陽氣를 따르는 새로 鴻雁의 등속이니, 겨울에 이 못에서 산다.
○蠡 張勃吳錄云 今名洞庭湖라하니 案今在九江郡界
○蠡는 張勃의 ≪吳錄≫에 “지금의 이름은 洞庭湖이다.”라고 하였는데, 상고해보면 지금 九江郡의 경계에 있다.
[疏]‘揚州’
經의 [揚州]
○傳‘彭蠡’至‘此澤’
○傳의 [彭蠡]에서 [此澤]까지
○正義曰:彭蠡, 是江‧漢合處, 下云 “導漾水, 南入于江, 東匯爲彭蠡.” 是也.
○正義曰:‘彭蠡’는 江水와 漢水가 합쳐지는 곳이니, 아래에 “漾水를 인도하시어 남쪽으로 江水에 들어가게 하시며, 동쪽으로 꺾어져 돌아 모여서 彭蠡가 되게 하시며”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日之行也, 夏至漸南, 冬至漸北. 鴻雁之屬, 九月而南, 正月而北, 左思蜀都賦所云 “木落南翔, 氷泮北徂.” 是也.
해의 운행이 夏至에는 점점 남쪽으로 옮겨가고, 冬至에는 점점 북쪽으로 옮겨간다. 鴻雁의 등속은 9월에는 남쪽으로 옮겨가고 정월에는 북쪽으로 옮겨가니, 左思의 〈蜀都賦〉에 이른바 “나뭇잎이 떨어질 때에는 남쪽으로 날아가고 얼음이 얼 때에는 북쪽으로 간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日, 陽也. 此鳥南北與日進退, 隨陽之鳥, 故稱陽鳥. 冬月所居, 於此彭蠡之澤也.
日은 陽의 뜻이다. 이 새(기러기)가 남쪽과 북쪽으로 가는 것을 해와 함께 進退하니, 陽氣를 따르는 새이기 때문에 ‘陽鳥’라고 일컬은 것이다. 겨울에 사는 곳은 그래서 彭蠡의 못이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