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詩經集傳(上)

시경집전(상)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鶴鳴〉
鶴鳴于九皐어든니라
魚潛在淵하나或在于渚니라
彼之園爰有樹하니其下維이니라
他山之石可以爲이니라
比也 鳥名이니 長頸, 竦身, 高脚이요 頂赤, 身白하고 頸尾黑하니 其鳴高亮하여 聞八九里 澤中水溢出所爲坎이니 從外數至九 喩深遠也 落也 礪石也
○ 此詩之作 不可知其所由 然必陳善納誨之辭也 蓋鶴鳴于九皐而聲聞于野 言誠之不可揜也 魚潛在淵而或在于渚 言理之無定在也 園有樹檀而其下維蘀 言愛當知其惡也 他山之石而可以爲錯 言憎當知其善也 由是四者하여 引而伸之하고 觸類而長之하면 天下之理 其庶幾乎뎌
鶴鳴于九皐어든聲聞于이로다
魚在于渚하나或潛在이니라
樂彼之園爰有樹檀하니其下維穀이니라
他山之石可以攻玉이니라
比也 一名楮이니 惡木也 錯也
○ 程子曰 玉之溫潤 天下之至美也 石之麤厲 天下之至惡也이나 兩玉相磨 不可以成器 以石磨之然後 玉之爲器 得以成焉하니 猶君子之與小人處也 橫逆侵加然後 脩省畏避하고 動心忍性하여 增益豫防하여 而義理生焉하고 道德成焉하니 吾聞諸邵子云이로라
鶴鳴二章이니 章九句
[毛序] 鶴鳴 誨宣王也
彤弓之什 十篇 四十章이요 二百五十九句
疑脫兩句하니 當爲二百六十一句
역주
역주1 : 音問
역주2 : 叶上與反
역주3 : 音洛
역주4 : 叶徒沿反
역주5 : 音託
역주6 : 七落反
역주7 : 叶鐵因反
역주8 : 叶一均反

시경집전(상)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