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 伊尹 乃言曰 先王 昧爽 丕顯샤 坐以待旦시며 旁求俊彦샤 啓迪後人시니 無越厥命샤 以自覆쇼셔
明也 昧爽云者 欲明未明之時也 大也 顯亦明也 先王 於昧爽之時 洗濯澡雪하여 大明其德하여 坐以待旦而行之也 旁求者 求之非一方也 美士也 言湯 孜孜爲善하여 不遑寧處如此 而又旁求俊彦之士하여 以開導子孫하시니 太甲 毋顚越其命하여 以自取覆亡也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8권 商書> 太甲上 第五> 伊尹이 乃言曰 先王은 昧爽에 丕顯하사 坐以待旦하시며
伊尹 乃言曰 先王 昧爽 丕顯하사 坐以待旦하시며
伊尹이 또 아뢰었다. “先王께서는 이른 새벽에 德을 크게 밝히시어 앉은 채로 아침을 기다리셨고,
[傳]爽顯 皆明也 言先王 昧明 思大明其德하여 坐以待旦而行之
爽과 顯은 다 明의 뜻이다. 先王은 이른 새벽에 그 德을 크게 밝힐 것을 생각하여 앉은 채로 아침이 되기를 기다렸다가 행하였다는 말이다.
旁求俊彦하사 啓迪後人하시니
준걸하고 어진 선비들을 사방으로 찾아서 後人(자손)을 開導하게 하셨으니
[傳]旁 非一方이라 美士曰彦이라 開道後人 言訓戒
旁은 한 방면뿐만이 아니다. 아름다운 선비를 ‘彦’이라 한다. ‘후인을 개도하게 하셨다.’란 것은 訓戒함을 말한 것이다.
○俊 本亦作畯이라
○俊은 어떤 本에는 또한 畯으로 되어 있다.
無越厥命하사 以自覆하소서
그 命을 실추시켜 스스로 〈나라를〉 전복시키지 마소서.
[傳]越 墜失也 無失亡祖命而不勤德하여 以自顚覆이라
越은 墜失하다의 뜻이다. 조상의 命을 亡失하고 덕을 열심히 닦지 않아 스스로 顚覆하지 말라는 것이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