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下)

서경집전(하)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하)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13. 王曰 嗚呼 念之哉어다 伯父 伯兄 仲叔 季弟 幼子 童孫 皆聽朕言라 庶有格命니라 今爾罔不由慰日勤니 爾罔或戒不勤라 天齊于民이라 俾我一日이시니 非終惟終 在人니 爾尙敬逆天命야 以奉我一人야 雖畏(威) 勿畏며 雖休 勿休야 惟敬五刑야 以成三德면 一人有慶며 兆民賴之야 其寧惟永리라
告同姓諸侯也 至也 參錯訊鞠하여 極天下之勞者 莫若獄이니 苟有毫髮怠心이면 則民有不得其死者矣 罔不由慰日勤者 爾所用以自慰者 無不以日勤이라 職擧而刑當也 爾罔或戒不勤者 刑罰之用 一成而不可變者也 苟頃刻之不勤이면 則刑罰失中하여 雖深戒之 而已施者亦無及矣 戒固善心也 而用刑 豈可以或戒也哉 且刑獄 非所恃以爲治也 天以是整齊亂民하여 使我爲一日之用而已 非終 卽康誥大罪非終之謂 言過之當宥者 惟終 卽康誥小罪惟終之謂 言故之當辟者 非終惟終 皆非我得輕重이요 惟在夫人所犯耳 爾當敬逆天命하여 以承我一人이라 畏威 古通用이니 辟之也 宥之也 我雖以爲辟이라도 爾惟勿辟하며 我雖以爲宥라도 爾惟勿宥하고 惟敬乎五刑之用하여 以成剛柔正直之德이면 則君慶於上하고 民賴於下하여 而安寧之福 其永久而不替矣리라

서경집전(하)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