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詩經集傳(上)

시경집전(상)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終南〉
終南何有有條有ㅣ로다
君子至止하시니錦衣狐삿다
顔如하시니其君也삿다
興也 終南 山名이니 在今京兆府南이라 山楸也 皮葉白, 色亦白하며 材理好하여 宜爲車板이라 君子 指其君也 至止 至終南之下也 錦衣狐裘 諸侯之服也 玉藻曰君衣狐白裘하고 錦衣以裼之라하니라 漬也 其君也哉 言容貌衣服 稱其爲君也 秦人美其君之詞 亦車鄰駟驖之意也
終南何有有紀有堂이로다
君子至止하시니 衣繡裳이로다
佩玉將하시니壽考不忘이로다
興也 山之廉角也 山之寬平處也 黻之狀 兩己相戾也 刺繡也 將將 佩玉聲也 壽考不忘者 欲其居此位, 服此服하여 長久而安寧也
終南二章이니 章六句
[毛序] 終南 戒襄公也 能取周地하여 始爲諸侯하여 受顯服하니 大夫美之 作是詩以戒勸之하니라
역주
역주1 : 叶莫悲反
역주2 : 叶渠之反
역주3 : 於角反
역주4 : 叶將黎反
역주5 : 音弗
역주6 : 七羊反

시경집전(상)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