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曰 嗚呼 天難諶 命靡常이니 常厥德면 保厥位고 厥德 靡常면 九有以亡리이다
信也 天之難信 以其命之不常也 然天命雖不常이나 而常於有德者하니 君德有常이면 則天命亦常하여 而保厥位矣 君德不常이면 則天命亦不常하여 而九有以亡矣 九有 九州也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8권 商書> 咸有一德 第八> 曰 嗚呼라 天難諶(심)은 命靡常이니
曰 嗚呼 天難諶 命靡常이니
“아! 하늘을 믿기 어려운 것은 하늘의 命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니,
[傳]以其無常이라 難信이라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믿기 어렵다는 것이다.
常厥德하면 保厥位하고 厥德 匪常하면 九有以亡하리이다
그 德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그 지위를 보존할 수 있을 것이고, 그 德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면 九有(九州의 諸侯)가 망하게 될 것입니다.
[傳]人能常其德이면 則安其位 九有 諸侯 桀不能常其德하니 湯伐而兼之
사람이 능히 그 德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그 자리를 편안히 할 수 있는 것이다. 九有는 諸侯이다. 桀이 능히 그 德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니, 湯임금이 쳐서 겸병하였다.
[疏]‘九有以亡’
經의 [九有以亡]
○正義曰:毛詩傳云 “九有, 九州也.” 此傳云 “九有, 諸侯.” 謂九州所有之諸侯.
○正義曰:≪毛詩≫의 傳에 “九有는 九州이다.”라고 하였는데, 이곳의 傳에서 “九有는 諸侯이다.”라고 함은 九州에 있는 諸侯를 이른 것이다.
伊尹此言, 泛說大理, 未指夏桀. 但傳顧下文比桀, 爲此言之驗, 故云 “桀不能常其德, 湯伐而兼之.”
伊尹의 이 말은 대체적인 이치를 범연하게 말한 것이고 夏桀을 지칭한 것이 아니다. 다만 傳에서는 아랫글에 桀과 비교한 것이 이 말의 징험이 됨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桀이 능히 그 德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니, 湯임금이 쳐서 겸병하였다.”라고 했을 뿐이다.
역주
역주1 [也] : 저본에는 ‘也’자가 없으나, “古本에는 ‘九有諸侯’ 아래에 ‘也’자가 있다. 살펴보건대 여기에 ‘也’자를 더해야 또한 뜻을 전달할 수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 (凡)[汎] : 저본에는 ‘凡’으로 되어 있으나, 文義로 보아 ‘汎’으로 바로잡았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