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 左不攻于左면 汝不恭命이며 右不攻于右면 汝不恭命이며 御非其馬之正이면 汝不恭命이니라
車左 車右也 治也 古者 車戰之法 甲士三人 一居左하여 以主射하고 一居右하여 以主擊刺하고 御者居中하여 以主馬之馳驅也 左傳宣公十二年 楚許伯 御樂伯하고 攝叔爲右하여 以致晉師할새 樂伯曰 吾聞致師者 左射以菆라하니 是車左主射也 攝叔曰 吾聞致師者 右入壘하여 折馘執俘而還이라하니 是車右主擊刺也 御非其馬之正 猶王良所謂詭遇也 蓋左右不治其事 與御非其馬之正 皆足以致敗 各指其人하여 以責其事하여 而欲各盡其職而不敢忽也니라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7권 夏書> 甘誓 第二> 左不攻于左하면 汝不恭命이며
左不攻于左하면 汝不恭命이며
車左(수레의 왼편에 타는 사람)가 왼편에서 해야 할 일을 잘 수행하지 않으면 너는 명령을 받드는 것이 아니며,
[傳]左 車左 左方主射 治其職이라
左는 車左이니, 왼쪽에서 활 쏘는 일을 주로 한다. ‘攻’은 治의 뜻이니, 그 職事를 다스리는 것이다.
右不攻于右하면 汝不恭命이며
車右(수레의 오른편에 타는 사람)가 오른편에서 해야 할 일을 잘 수행하지 않으면 너는 명령을 받드는 것이 아니며,
[傳]右 車右 勇力之士 執戈矛以退敵이라
右는 車右이니, 〈오른쪽에서는〉 용력 있는 군사가 과창과 모창을 가지고 적을 물리친다.
御非其馬之正하면 汝不恭命이니라
御者(중앙에서 말을 모는 사람)가 말을 바르게 몰지 않으면 너는 명령을 받드는 것이 아니다.
[傳]御 以正馬爲政 三者有失하면 皆不奉我命이니라
御는 말을 바르게 모는 것으로 政事(職事)를 삼는 자이다. 세 사람(車左‧車右‧御者)에게 실착이 있으면 모두 나(王)의 명령을 제대로 받들지 않은 것이다.
역주
역주1 (絶)[攻] (之)[治] : 저본에는 ‘絶之’라고 되어 있으나, 완각본에 “毛本에는 ‘絶之’가 ‘攻治’라고 되어 있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攻治’로 바로잡았다. 淸代 王夫之는 ‘攻’을 擊의 뜻으로 보았다. ≪尙書稗疏≫
역주2 [者也] : 저본에는 없으나, “古本에는 ‘者也’ 2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