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詩經集傳(上)

시경집전(상)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匏有苦葉〉
匏有苦葉이어늘濟有深涉이로다
深則厲淺則니라
比也 瓠也 匏之苦者 不可食이요 特可佩以渡水而已이나 今尙有葉이면 則亦未可用之時也 渡處也 行渡水曰涉이라 以衣而涉曰厲 褰衣而涉曰揭
○ 此刺淫亂之詩 言匏未可用이어늘 而渡處方深하니 行者 當量其淺深而後可渡하여 以比男女之際 亦當量度禮義而行也
濟盈이어雉鳴이로다
濟盈不濡하며雉鳴求其牡ㅣ로다
比也 水滿貌 雌雉聲이라 車轍也 飛曰雌雄이요 走曰牝牡
○夫濟盈이면 必濡其轍이요 雉鳴 當求其雄이니 此常理也어늘 今濟盈而曰不濡軌하고 雉鳴而反求其牡하니 以比淫亂之人 不度禮義하여 非其配耦어늘 而犯禮以相求也
雝雝鳴 日始旦이니라
士如歸妻인댄迨冰未泮이니라
賦也 雝雝 聲之和也 鳥名이니 似鵝하고 畏寒하여 秋南春北이라 日初出貌 昏禮 納采用雁하며 親迎以昏하고 而納采請期以旦이라 歸妻 以冰泮하고 而納采請期 迨冰未泮之時니라
○ 言古人之於婚姻 其求之不暴而節之以禮如此하여 以深刺淫亂之人也
人涉호라
人涉卬否卬須我니라
比也 招招 號召之貌 舟子 舟人이니 主濟渡者 我也
○ 舟人招人以渡 人皆從之어늘 而我獨否者 待我友之招而後從之也 以比男女必待其配耦而相從하여 而刺此人之不然也
匏有苦葉四章이니 章四句
[毛序] 匏有苦葉 刺衛宣公也 公與夫人 並爲淫亂하니라
역주
역주1 : 苦例反
역주2 : 彌爾反
역주3 : 以小反
역주4 : 居美叶居有反
역주5 : 叶魚旰反
역주6 : 許玉反
역주7 : 照遙反
역주8 : 叶獎里反
역주9 : 五郞反
역주10 : 叶補美反
역주11 : 叶羽軌反

시경집전(상)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