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詩經集傳(上)

시경집전(상)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鴻鴈〉
鴻鴈于飛하니肅肅其羽ㅣ로다
之子于征하니 勞于ㅣ로다
爰及하니(이)哀此鰥ㅣ로다
興也 大曰鴻이요 小曰鴈이라 肅肅 羽聲也 之子 流民自相謂也 行也 劬勞 病苦也 憐也 老而無妻曰鰥이요 老而無夫曰寡
○ 舊說 周室中衰하여 萬民離散이러니 而宣王能勞來還定安集之 流民喜之而作此詩 追敍其始而言曰 鴻鴈于飛하니 則肅肅其羽矣 之子于征하니 則劬勞于野矣ㅣ로다 且其劬勞者 皆鰥寡可哀憐之人也이나 今亦未有以見其爲宣王之詩하니 後三篇放此하니라
鴻鴈于飛니集于中이로다
之子于니皆作이로다
雖則劬勞其究安이로다
興也 中澤 澤中也 一丈爲板이요 五板爲堵 終也
○ 流民 自言鴻鴈集于中澤하여 以興己之得其所止而築室以居하니 今雖勞苦 而終獲安定也
鴻鴈于飛니哀鳴嗸ㅣ로다
維此哲人謂我劬勞어늘
維彼愚人謂我宣驕ㅣ라다
比也 流民以鴻鴈哀鳴自此而作此歌也 示也 知者 聞我歌하고 知其出於劬勞어늘 不知者 謂我閒暇而宣驕也 韓詩云 勞者歌其事라하고 魏風亦云 我歌且謠어늘 不我知者 謂我士也驕라하니 大抵歌多出於勞苦로되 而不知者常以爲驕也
鴻鴈三章이니 章六句
[毛序] 鴻鴈 美宣王也 萬民離散하여 不安其居어늘 而能勞來還定安集之하여 至于矜(鰥)寡에도 無不得其所焉하니라
역주
역주1 : 其俱反
역주2 : 叶上與反
역주3 : 棘冰反
역주4 : 叶果五反
역주5 : 叶徒洛反
역주6 : 音袁
역주7 : 丁古反
역주8 : 叶達各反
역주9 : 五刀反

시경집전(상)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