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 嗚呼 尙克時忱이라사 乃亦有終리라
信也 歎息言 庶幾能於是而忱信焉이라야 乃亦有終也 吳氏曰 此 兼人己而言이니라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8권 商書> 湯誥 第三> 嗚呼라 尙克時忱이라사 乃亦有終하리라
嗚呼 尙克時忱이라사 乃亦有終하리라
아! 부디 이 성실한 도리를 잘 하여야 또한 영원한 아름다움이 있을 것이다.”
[傳]忱 誠也 庶幾能是誠道라야 乃亦有終世之美
忱은 誠의 뜻이다. 부디 이 성실한 도리를 잘 하여야 이에 또한 영원한 아름다움이 있을 것이란 말이다.
咎單 作明居
咎單이 〈明居〉를 지었다.
[傳]咎單 臣名이니 主土地之官이라 一篇이러니이라
咎單은 신하의 이름이니, 土地를 주관한 관원이었다. 〈明居民法〉 한 篇을 지었는데, 망실되었다.
[疏]‘咎單 作明居’
書序의 [咎單 作明居]
○正義曰:百篇之序, 此類有四, 伊尹作咸有一德, 周公作無逸‧作立政, 與此篇. 直言其所作之人, 不言其作者之意,
○正義曰:100편의 書序 중에 이런 종류가 네 가지가 있으니, 伊尹이 지은 〈咸有一德〉과 周公이 지은 〈無逸〉‧〈立政〉은 이 편과 함께 단지 그 저작한 사람만 말하고 그 저작한 뜻은 말하지 않았는데,
蓋以經文分明, 故略之. 馬融云 “咎單爲湯司空.” 傳言‘主土地之官’, 蓋亦爲司空也.
아마 經文이 분명하기 때문에 생략하였을 것이다. 馬融은 “咎單은 湯임금의 司空이 되었다.”라고 하였고, 孔傳에서는 “土地를 주관한 관원이었다.”라고 하였으니, 아마 또한 司空이 되었을 것이다.
역주
역주1 作明居民法 : 書序에서는 ‘作明居’라고 하였는데, 傳에서는 ‘作明居民法’이라고 하였으니,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