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湯誥
湯伐夏歸亳하시니 諸侯率職來朝어늘 湯作誥하사 以與天下更始하시니 今文無, 古文有하니라
1. 王 歸自克夏샤 至于亳샤 誕告萬方시다
大也 湯所都 在宋州穀熟縣이라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8권 商書> 湯誥 第三> 湯旣黜夏命하고
湯誥 第三
孔氏 傳 孔穎達 疏
湯旣黜夏命하고
湯임금이 이미 夏나라의 天命을 퇴출시키고
[傳]黜 退也 退其王命이라
黜은 퇴출시킨다는 뜻이니, 〈夏나라〉 王의 天命을 퇴출시킨 것이다.
復歸於亳하시니 作湯誥
다시 亳으로 돌아오시니 〈史官이 그 일을 기록하여〉 〈湯誥〉를 지었다.
湯誥
[傳]以伐桀大義 告天下
桀을 친 大義를 天下에 誥示하였다.
[疏]‘湯旣’至‘湯誥’
書序의 [湯旣]에서 [湯誥]까지
○正義曰:湯旣黜夏王之命, 復歸於亳, 以伐桀大義誥示天下, 史錄其事, 作湯誥. 仲虺在路作誥, 此至亳乃作, 故次仲虺之下.
○正義曰:湯임금이 이미 夏나라 王의 天命을 퇴출시키고 다시 亳으로 돌아와서 桀을 친 大義를 천하에 誥示하니, 史官이 그 일을 기록하여 〈湯誥〉를 지은 것이다. 仲虺는 오는 도중에 誥를 지었고, 이것은 亳에 이르러서 지었기 때문에 차례를 〈仲虺之誥〉의 아래에 놓은 것이다.
歸自克夏하사 至于亳하사 誕告萬方하시다
王께서 夏나라를 정복하고 돌아와 亳에 이르러 萬方에 크게 고하셨다.
[傳]誕 大也 以天命大義 告萬方之衆人이라
誕은 크다는 뜻이다. 天命과 大義로써 萬方의 뭇사람들에게 고한 것이다.
[疏]‘王歸自克夏’
經의 [王歸自克夏]
○正義曰:湯之伐桀, 當有諸侯從之, 不從行者必應多矣. 旣已克夏, 改正名號, 還至於亳,
○正義曰:湯임금이 桀을 칠 때에 응당 諸侯들이 따랐을 것이나 따라가지 않은 제후들도 반드시 응당 많았을 것이다. 이미 夏나라를 정복한 뒤에 名號를 개정하고 亳으로 돌아오니,
海內盡來, 猶如武成篇所云 ‘庶邦冢君暨百工, 受命于周’也. 湯於此時, 大誥諸侯以伐桀之義, 故云 “誕告萬方.”
천하가 모두 복종해오기를 마치 〈武成〉편에서 이른바 “여러 나라의 제후와 여러 관리들이 周나라에서 政命을 받았다.”란 것과 같았다. 湯임금이 이때에 제후들에게 桀을 친 뜻을 가지고 크게 고했기 때문에 “萬方에 크게 고하셨다.”라고 한 것이다.
‘誕 大’, 釋詁文. 萬者, 擧盈數. 下云 ‘凡我造邦’, 是誥諸侯也.
[誕 大] ≪爾雅≫ 〈釋詁〉의 글이다. 萬은 盈數를 든 것이다. 아래에 ‘모든 우리 새로 출발하는 나라들은’이란 것이 바로 제후들에게 고한 말이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