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原注
爲書之首篇이라 所記多務本之意하니 乃入道之門이요 積德之基 學者之先務也 凡十六章이라
1. 子[ㅣ] 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學之爲言 效也 人性皆善이나 而覺有先後하니 後覺者必效先覺之所爲라야 乃可以明善而復其初也 鳥數飛也 學之不已 如鳥數飛也 喜意也 旣學而又時時習之 則所學者熟而中心喜說하여 其進 自不能已矣리라 程子曰 習 重習也 時復思繹하여 浹洽於中이면 則說也니라 又曰 學者 將以行之也 時習之 則所學者在我이니라 謝氏曰 時習者 無時而不習이니 坐如尸 坐時習也 立如齊 立時習也니라
[언해] 子ㅣ 샤 學학고 時로 習면  깃브디 아니랴
[James Legge] The Master said, “Is it not pleasant to learn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
1. 공자(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수시로 익히면 기쁘지 않겠는가.
有朋[이] 自遠方來 不亦樂乎
同類也 自遠方來 則近者可知니라 程子曰 以善及人하여 而信從者衆이라 可樂이니라 又曰 說 在心하고 主發散이니 在外니라
[James Legge] Is it not delightful to have friends coming from distant quarters?
벗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온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人不知而不慍이면 不亦君子乎
含怒意 君子 成德之名이라 尹氏曰 學 在己하고 知不知 在人하니 何慍之有리오 程子曰 雖樂於及人이나 不見是而無悶이라야 乃所謂君子니라 愚謂 及人而樂者 順而易하고 不知而不慍者 逆而難이라 惟成德者能之이나 德之所以成 亦由學之正, 習之熟, 說之深而不已焉耳니라
○ 程子曰 樂 由說而後得이니 非樂이면 不足以語君子니라
[James Legge] Is he not a man of complete virtue, who feels no discomposure though men may take no note of him?
남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하지 않는다면 군자(君子)답지 않겠는가?”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