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6. 滎波旣豬로다
滎波 二水名이라 濟水 自今孟州溫縣入河하고 潛行絶河하여 南溢爲滎하니 在今鄭州滎澤縣西五里敖倉東南하니 敖倉者 古之敖山也 按今濟水 但入河하고 不復過河之南하며 滎瀆水受河水 有石門하니 謂之滎口石門也 鄭康成謂 滎 今塞爲平地로되 滎陽民 猶謂其處爲滎澤이라하니라 酈道元曰 禹塞淫水하여 於滎陽下 引河東南하여 以通淮泗濟水하여 分河東南流러니 漢明帝使王景으로 卽滎水故瀆하여 東注浚儀하고 謂之浚儀渠 漢志 謂滎陽縣 有狼蕩渠하니 首受濟者 是也 南曰狼蕩이요 北曰浚儀 其實 一也 波水 周職方 豫州 其川滎雒이요 其浸波溠라하고 爾雅云 水自洛出爲波라하며 山海經曰 婁之山 波水出其陰하여 北流注于穀이라하여 二說不同하니 未詳孰是 孔氏以滎波爲一水者 非也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滎波旣豬로다
旣豬로다
滎澤의 출렁이는 물이 이미 막혀 못을 이루었다.
[傳]滎澤波水 已成遏豬
滎澤의 출렁이는 물이 이미 막혀 못을 이룬 것이다.
○滎 澤也 馬本又播 滎播 澤名이라
○滎은 澤이다. 馬本에는 또 播로 되어 있으니, 滎播는 못 이름이다.
[疏]傳‘滎澤’至‘遏豬’
傳의 [滎澤]에서 [遏豬]까지
○正義曰:沇水入河而溢爲滎, 滎是澤名. 洪水之時, 此澤水大, 動成波浪.
○正義曰:沇水가 황하로 들어가 넘쳐서 滎이 되었으니, 滎은 못 이름이다. 홍수 때에 이 못은 물이 많아서 출렁이며 波浪을 이루었다.
此澤其時波水已成遏豬, 言壅遏而爲豬, 畜水而成澤, 不濫溢也.
이 못은 그 당시 출렁이는 물이 이미 막혀서 못을 이루었다는 것은 막혀 豬가 되었는데, 물을 가둬 澤을 이루어 넘치지 않게 했음을 말한 것이다.
鄭云 “今塞爲平地, 滎陽民猶謂其處爲滎澤, 在其縣東.” 言在滎澤縣之東也.
鄭玄은 “지금은 메워져 평지가 되었는데도 滎陽 사람들은 아직 그 곳을 ‘滎澤’이라 이르는데, 그 縣 동쪽에 위치해 있었다.”라고 하였으니, 滎澤縣의 동쪽에 위치해 있음을 말한 것이다.
馬‧鄭‧王本皆作‘滎播’, 謂此澤名‘滎播’. 春秋閔二年, 衛侯及狄人戰于滎澤, 不名播也.
馬本‧鄭本‧王本에 모두 滎播로 되어 있으니, 이 못 이름이 ‘滎播’임을 이른 것이다. ≪春秋≫ 閔公 2년 조에 衛侯가 狄人과 滎澤에서 싸웠는데, ‘播’라고 명칭하지 않았다.
鄭玄謂“衛狄戰在此地.” 杜預云 “此滎澤當在河北.” 以衛敗方始渡河, 戰處必在河北, 蓋此澤跨河南北多 而得名耳.
鄭玄은 “衛와 狄이 이곳에서 싸웠다.”라 하였고, 杜預는 “이 滎澤은 응당 황하 북쪽에 있었을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衛나라가 패전해서 비로소 황하를 건넜기 때문에 싸움터는 반드시 황하 북쪽에 있었을 것인데, 아마 이 滎澤이 황하의 남쪽과 북쪽에 걸쳐있어 많은 지대를 차지해서 〈여러 곳에서 ‘滎澤’이란〉 이름을 얻었을 뿐이리라.
역주
역주1 滎波 : ≪史記≫ 〈夏本記〉에는 ‘滎播’로 되어 있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