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9. 導黑水샤 至于三危샤 入于南海시다
黑水 地志 出犍爲郡南廣縣汾關山이라하고 水經 出張掖鷄山하여 南至燉煌하고 過三危山하여 南流入于南海라하고 唐樊綽云 西夷之水 南流入于南海者凡四 曰區江, 曰西珥河, 曰麗水, 曰瀰渃江이니 皆入于南海 其曰麗水者 卽古之黑水也 三危山 臨峙其上이라하니라 按梁雍二州 西邊 皆以黑水爲界하니 是黑水自雍之西北而直出梁之西南也 中國 山勢岡脊 大抵皆自西北而來하니 積石西傾岷山岡脊以東之水 旣入于河漢岷江하고 其岡脊以西之水 卽爲黑水하여 而入于南海 地志, 水經, 樊氏之說 雖未詳的實이나 要是其地也 程氏曰 樊綽 以麗水爲黑水者 恐其狹小하여 不足爲界 其所稱西珥河者 却與漢志葉楡澤으로 相貫이요 廣處可二十里 旣足以界別二州 其流又正趨南海하며 又漢滇池 卽葉楡之地 武帝初開滇嶲時 其地 古有黑水舊祠하니 夷人不知載籍하여 必不能附會 而綽及道元 皆謂此澤以楡葉所積得名이라하니 則其水之黑 似楡葉積漬所成이라 且其地乃在蜀之正西하고 又東北距宕昌 不遠하니 宕昌 卽三苗種裔 與三苗之敍于三危者 又爲相應하니 其證驗 莫此之明也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導黑水하여 至於三危하고 入于南海라
導黑水하여 至於三危하고 入于南海
黑水를 유도하여 三危山에 이르고 南海로 들어가게 하셨다.
[傳]黑水自北而南하여 經三危하고 過梁州하여 入南海
黑水는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흘러서 三危山을 경유하고 梁州를 지나 南海로 들어가게 했다는 것이다.
[疏]傳‘黑水’至‘南海’
傳의 [黑水]에서 [南海]까지
○正義曰:地理志益州郡計在蜀郡西南三千餘里, 故滇王國也. 武帝元封二年, 始開爲郡.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의하면 益州郡은 계산상으로 蜀郡 서남쪽 3천여 리의 지점에 있으니, 예전의 滇王國이었다. 武帝 元封 2년(B.C.109)에 처음으로 개척하여 郡으로 만들었다.
郡內有滇池縣, 縣有黑水祠, 止言有其祠, 不知水之所在. 鄭云 “今中國無也.” 傳之此言, 順經文耳.
郡 안에는 滇池縣이 있고, 縣에는 黑水祠가 있다. 그 祠가 있는 것만 말했으니, 물의 소재처는 알 수가 없다. 鄭玄은 “지금 中國에는 없다.”라고 하였다. 孔傳의 이 말은 經文을 따랐을 뿐이다.
案酈元水經“黑水出張掖雞山, 南流至燉煌, 過三危山, 南流入于南海.”
酈道元의 ≪水經≫을 살펴보면 “黑水는 張掖郡 雞山에서 나와 남쪽으로 흘러 燉煌郡에 이르고 三危山을 지나 남쪽으로 南海로 흘러들어간다.”라고 하였다.
然張掖‧燉煌竝在河北, 所以黑水得越河入南海者, 河自積石以西皆多伏流, 故黑水得越而南也.
그러나 張掖郡과 燉煌郡은 모두 황하 북쪽에 있는데, 黑水가 황하를 넘어 南海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은, 황하가 積石山 서쪽으로는 모두 伏流가 많기 때문에 黑水가 〈황하를〉 넘어서 남쪽으로 흐를 수 있는 것이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