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 嗚呼 先王 肇修人紀샤 從諫弗咈시며 先民 時若시며 居上克明시며 爲下克忠시며 與人不求備시며 檢身若不及샤 以至于有萬邦시니 玆惟艱哉니이다
人紀 三綱五常이니 孝敬之實也 上文 欲太甲立其愛敬이라 此言成湯之所修人紀者하니 如下文所云也 綱常之理 未嘗泯沒이로되 桀廢棄之러니 而湯始修復之也 逆也 先民 猶前輩舊德也 從諫不逆, 先民是順 非誠於樂善者 不能也 居上克明 言能盡臨下之道 爲下克忠 言能盡事上之心이라
○ 呂氏曰 湯之克忠 最爲難看이라 湯放桀하여 以臣易君하니 豈可爲忠이리오 不知湯之心 最忠者也 天命未去하고 人心未離 事桀之心 曷嘗斯須替哉리오 與人之善하여 不求其備하고 檢身之誠 有若不及하니 其處上下人己之間 又如此 是以 德日以盛하고 業日以廣하여 天命歸之하고 人心戴之하여 由七十里而至于有萬邦也 積累之勤 玆亦難矣 伊尹 前旣言夏失天下之易하고 此又言湯得天下之難하니 太甲 可不思所以繼之哉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8권 商書> 伊訓 第四> 嗚呼라 先王이 肇修人紀하사 從諫弗咈하시며 先民을 時若하시며
嗚呼 先王
하사 從諫弗咈하시며 時若하시며
아! 先王(成湯)께서 비로소 人紀를 닦으시어, 신하들의 간하는 말을 따르고 어기지 않으셨으며, 덕이 있는 先民을 이에 순종하셨으며,
[傳]言湯始修爲人綱紀하여 有過則改하고 從諫如流하며 必先民之言是順이라
湯임금이 비로소 사람이 되는 綱紀를 닦아 과오가 있으면 고치고 諫言을 따르기를 물이 흐르듯이 하였으며, 반드시 先民의 말을 이에 순종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疏]‘先民時若’
經의 [先民時若]
○正義曰:賈逵注周語云 “先民, 古賢人也.” 魯語云 “古曰在昔, 昔曰先民.” 然則先民在古昔之前, 遠言之也.
○正義曰:賈逵가 ≪國語≫ 〈周語〉에 注를 달기를 “先民은 옛날 賢人이다.”라고 하였고, 〈魯語〉에 “古를 在昔이라 하고, 昔을 先民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先民은 古昔 이전에 이미 존재한 셈이니 멀리 소급해서 말한 것이다.
遠古賢人, 亦是民內之一人, 故以民言之. 先民之言, 於是順從, 言其動皆法古賢也.
먼 옛날의 賢人도 역시 民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러므로 民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先民의 말을 이에 순종했다는 것은 걸핏하면 모두 옛날 현인을 법 받았음을 말한 것이다.
居上克明하시며
윗자리에 있을 때에는 능히 밝게 보시고,
[傳]言理恕
이치로 헤아림을 말한 것이다.
[疏]‘居上克明’
經의 [居上克明]
○正義曰:見下之謂明, 言其以理恕物, 照察下情, 是能明也.
○正義曰:〈윗자리에 거하여〉 아래를 살펴보는 것을 ‘明’이라 이르니, 이치로 사물을 헤아림을 말한다. 아랫사람의 實情을 비추어 살피는 것이 능히 밝게 보는 것이다.
爲下克忠하시며
아랫사람이 되었을 때에는 능히 충성을 다하셨으며,
[傳]事上竭誠이라
윗사람을 섬길 때에는 성심을 다했다는 것이다.
與人不求備하시며 檢身若不及하사
남을 대할 때에는 완벽하게 구비하기를 요구하지 않으시고, 자기를 단속할 때에는 항상 미치지 못할 듯이 하시어,
[傳]使人必器之하고 常如不及하여 恐有過니라
사람을 부림은 반드시 그릇에 맞게 하고, 〈자신을 단속함은〉 항상 미치지 못할 듯이 하여 행여 과오가 있을까 두려워하였다는 것이다.
[疏]‘檢身若不及’
經의 [檢身若不及]
○正義曰:檢謂自攝斂也. 檢勅其身, 常如不及, 不自大以卑人, 不恃長以陵物也.
○正義曰:‘檢’은 스스로 단속함을 이른다. 자신을 단속하여 항상 미치지 못할 듯이 하면 스스로 큰 체하여 남을 낮추어 보지 않고, 자신이 君長임을 믿고 남을 능멸하지 않는다.
以至于有萬邦하시니 玆惟艱哉니이다
萬邦을 소유하기에 이르렀으니, 이렇게 하기가 어렵습니다.
[傳]言湯操心常危懼하고 動而無過하여 以至爲天子하니 此自立之難이라
湯임금은 마음가짐을 항상 위태롭고 두렵게 하였으며 행동함에 과오가 없이 하여 天子가 되기에 이르렀으니, 이처럼 자립하기가 어려웠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肇修人紀……敷求哲人 : 洪奭周는 “肇는 開創의 뜻이고, 成湯은 創業한 임금이다. 그러므로 ‘비로소 人紀를 닦았다.’고 한 것인데, 蔡傳에서는 ‘桀은 廢棄하였으나 湯임금은 비로소 닦아 회복했기 때문에 「肇」라고 했다.’는 식으로 말하였다. ≪詩經≫에서 말한 ‘先民有言’이나 ‘先民有作’은 모두 古人을 이른 것이다. 孔疏에서는 ‘先民時若’을 ‘걸핏하면 옛 현인을 법 받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蔡傳에서는 ‘先民’을 前輩나 舊德이라고 하였다. 敷란 布의 뜻을 말한 것이다. 孔傳에서는 ‘敷求哲人’을 ‘布求賢智’로 풀이하였으니, ‘布求’라고 하면 그 구하는 범위가 정말 넓다. 그러나 蔡傳에서는 곧장 ‘廣’으로 ‘敷’를 해석하였으니, 訓詁의 例가 아니다. 蔡氏의 說이 義理에 장점을 가진 것은 진실로 先儒보다 월등하게 뛰어난 것이 많지만, 이와 같은 것은 또한 舊說을 그대로 순종하는 것만 못하다.”라고 하였다. ≪尙書補傳≫
역주2 肇修人紀 : 蔡傳에서는 “桀은 폐기하였으나, 湯임금은 비로소 닦아 회복시켰다.[桀廢棄之 而湯始修復之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先民 : 蔡傳에서는 ‘前輩’와 ‘舊德’ 같은 것으로 보았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