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傳義(上)

주역전의(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전의(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 蠱 序卦 以喜隨人者 必有事 故受之以蠱라하니 承二卦之義하여 以爲次也 夫喜悅以隨於人者 必有事也 无事則何喜何隨리오 蠱所以次隨也 事也 蠱非訓事 蠱乃有事也 爲卦 山下有風하니 風在山下하여 遇山而回則物亂하니 是爲蠱象이니 蠱之義 壤亂也 在文 爲蟲皿하니 皿之有蟲 蠱壞之義 左氏傳云 風落山하고 女惑男이라하니 以長女下於少男 亂其情也 風遇山而回 物皆撓亂하니 是爲有事之象이라 故云蠱者事也 旣蠱而治之 亦事也 以卦之象言之하면 所以成蠱也 以卦之才言之 所以治蠱也
18. 蠱 ䷑
元亨니 利涉大川이니
[傳] 旣蠱則有復治之理 自古治必因亂하고 亂則開治하니 理自然也 如卦之才以治蠱 則能致元亨也 蠱之大者 濟時之艱難險阻也 故曰 利涉大川이라
先甲三日며 後甲三日이니라
[傳] 甲 數之首 事之始也 如辰之甲乙 皆謂首也 事之端也 治蠱之道 當思慮其先後三日이니 蓋推原先後하여 爲救弊可久之道 先甲 謂先於此 究其所以然也 後甲 謂後於此 慮其將然也 一日二日 至於三日이니 言慮之深, 推之遠也 究其所以然則知救之之道 慮其將然則知備之之方이니 善救則前弊可革이요 善備則後利可久 此古之聖王 所以新天下而垂後世也 後之治蠱者 不明聖人先甲後甲之誡하여 慮淺而事近이라 故勞於救世而亂不革하고 功未及成而弊已生矣 甲者 事之首 庚者 變更之首 制作政敎之類則云甲하니 擧其首也 發號施令之事則云庚하니 猶更也 有所更變也
彖曰 蠱 剛上而柔下고 巽而止ㅣ라
[傳] 以卦變及二體之義而言이라 剛上而柔下 謂乾之初九 上而爲上九하고 坤之上六 下而爲初六也 陽剛 尊而在上者也어늘 今往居於上하고 陰柔 卑而在下者也어늘 今來居於下 男雖少而居上하고 女雖長而在下하여 尊卑得正하고 上下順理하니 治蠱之道也 由剛之上, 柔之下하여 變而爲艮巽하니 止也 順也 下巽而上止 止於巽順也 以巽順之道 治蠱 是以元亨也
元亨야 而天下 治也ㅣ오
[傳] 治蠱之道 如卦之才 則元亨而天下治矣 夫治亂者 苟能使尊卑上下之義正하여 在下者巽順하고 在上者能止齊安定之하여 事皆止於順이면 則何蠱之不治也리오 其道大善而亨也 如此則天下治矣
利涉大川 往有事也ㅣ오
[傳] 方天下壞亂之際하여 宜涉艱險以往而濟之하니 是往有所事也
先甲三日後甲三日 終則有始 天行也ㅣ라
[傳] 夫有始則必有終하고 旣終則必有始 天之道也 聖人知終始之道 故能原始而究其所以然하고 要終而備其將然하여 先甲後甲而爲之慮하니 所以能治蠱而致元亨也
象曰 山下有風ㅣ니 君子야 며 育德니라
[傳] 山下有風하니 風遇山而回하면 則物皆散亂이라 故爲有事之象이라 君子觀有事之象하여 以振濟於民하며 養育其德也 在己則養德하고 於天下則濟民하니 君子之所事 无大於此二者니라
初六 幹父之蠱ㅣ니 有子ㅣ면 无咎리니야 終吉이리라
[傳] 初六 雖居最下 成卦由之하여 有主之義 居內在下而爲主하니 子幹父蠱也 子幹父蠱之道 能堪其事 則爲有子而其考得无咎 不然則爲父之累 故必惕厲則得終吉也 處卑而尸尊事 自當兢畏 以六之才 雖能巽順이나 體乃陰柔 在下无應而主幹하여 非有能濟之義하니 若以不克幹而[一无而字]言이면 則其義甚小 故專言爲子幹蠱之道하니 必克濟則不累其父하고 能厲則可以終吉하니 乃備見爲子幹蠱之大法也
象曰 幹父之蠱 意承考也ㅣ라
[傳] 子幹父蠱之道 意在承當於父之事也 故祇敬其事하여 以置父於无咎之地하여 常懷惕厲 則終得其吉也 盡誠於父事 吉之道也
九二 幹母之蠱ㅣ니 不可貞이니라
[傳] 九二陽剛으로 爲六五所應하니 以陽剛之才 在下而幹夫在上陰柔之事也 故取子幹母蠱爲義하니 以剛陽之臣으로 輔柔弱之君 義亦相近이라 巽體而處柔하여 順義爲多하니 幹母之蠱之道也 夫子之於母 當以柔巽輔導之하여 使得於義 [一有母字]不順而致敗蠱 則子之罪也 從容將順 豈无道乎 以婦人言之 則陰柔可知 若伸己剛陽之道하여 遽然矯拂則傷恩하여 所害大矣 亦安能入乎 在乎屈己下意하고 巽順將承하여 使之身正事治而已 故曰不可貞이니 謂不可貞固하여 盡其剛直之道 如是乃中道也 又安能使之爲甚高之事乎 若於柔弱之君 盡誠竭忠하여 致之於中道則可矣 又安能使之大有爲乎 且以周公之聖으로 輔成王 成王非甚柔弱也 然能使之爲成王而已하여 守成不失道則可矣 固不能使之爲羲黃堯舜之事也 二巽體而得中하니 是能巽順而得中道하여 合不可貞之義하니 得幹母蠱之道也
象曰 幹母之蠱 得中道也ㅣ라
[傳] 二得中道而不過剛하니 幹母蠱之善者也
九三 幹父之蠱ㅣ니 小有悔 无大咎ㅣ리라
[傳] 三以剛陽之才 居下之上하여 主幹者也 子幹父之蠱也 以陽處剛而不中하니 剛之過也 然而在巽體하여 雖剛過而不爲无順이니 事親之本也 又居得正이라 故无大過 以剛陽之才 克幹其事하니 雖以剛過而有小小之悔 終无大過咎也 然有小悔하니 已非善事親也
象曰 幹父之蠱 終无咎也ㅣ니라
[傳] 以三之才 幹父之蠱하니 雖小有悔 終无大咎也 蓋剛斷能幹하고 不失正而有順하니 所以終无咎也
六四 裕父之蠱ㅣ니면 見吝리라
[傳] 四以陰居陰하니 柔順之才也 所處得正이라 故爲寬裕以處其父事者也 夫柔順之才而處正이면 僅能循常自守而已 若往幹過常之事 則不勝而見吝也 以陰柔而无應助하니 往安能濟리오
象曰 裕父之蠱 未得也ㅣ라
[傳] 以四之才 守常하니 居寬裕之時則可矣어니와 欲有所往則未得也 加其所任則不勝矣리라
六五 幹父之蠱ㅣ니 用譽리라
[傳] 五居尊位하여 以陰柔之質 當人君之幹而下應於九二하니 是能任剛陽之臣也 雖能下應剛陽之賢而倚任之 然己實陰柔 故[一作固]不能爲創始開基之事 承其舊業則可矣 故爲幹父之蠱 夫創業垂統之事 非剛明之才則不能이요 繼世之君 雖柔弱之資라도 苟能[一有信字]任剛賢이면 則可以爲善繼而成令譽也 太甲, 成王 皆以臣而用譽者也
象曰 幹父用譽 承以德也ㅣ라
[傳] 幹父之蠱而用有令譽者 以其在下之賢 承輔之以剛中之德也일새라
上九 不事王侯고 高尙其事ㅣ로다
[傳] 上九居蠱之終하여 无係應於下하고 處事之外하여 无所事之地也 以剛明之才 无應援而處无事之地하니 賢人君子不偶於時而高潔自守하여 不累於世務者也 故云 不事王侯高尙其事라하니라 古之人有行之者하니 伊尹, 太公望之始 曾子, 子思之徒是也 不屈道以徇時하여 旣不得施設於天下 則自善其身하고 尊高敦尙其事하여 守其志節而已 有懷抱道德하고 不偶於時而高潔自守者하며 有知止足之道하고 退而自保者하며 有量能度分하고 安於不求知[一无知字]者하며 有淸介自守하여 不屑天下之事하고 獨潔其身者하니 所處雖有得失小大之殊 皆自高尙其事者也 象所謂志可則者 進退合道者也
象曰 不事王侯 志可則也ㅣ라
[傳] 如上九之處事外하여 不累於世務하고 不臣事於王侯하면 蓋進退以道하고 用捨隨時 非賢者 能之乎 其所存之志可爲法則也
역주
역주1 갑제갑령(甲第甲令) : 갑제(甲第)는 과거(科擧)의 장원(狀元)이니 최고의 저택을 가리키며, 갑령(甲令)은 법률의 첫 번째 조항을 가리킨다.
역주2 : 賑
역주3 사지자고상(士之自高尙) 역비일도(亦非一道) : 사계(沙溪)는 이에 대하여 “고결자수(高潔自守)는 이윤(伊尹)와 태공(太公)이고 퇴이자보(退而自保)는 장량(張良)과 소광(疏廣)이고 불구지독결(不求知獨潔)은 엄광(嚴光)과 주당(周黨)과 같은 자이다.”하였다.
周易正義(2)(주역정의(2)) 周易兼義 上經 隨傳 卷第三> 18. 蠱䷑ 巽下艮上
元亨하고 利涉大川이니 先甲三日이요 後甲三日이라
蠱는 크게 형통하고 大川을 건넘이 이로우니, 甲보다 3일을 먼저하고 甲보다 3일을 뒤에 한다.
[疏]‘蠱元亨’至‘後甲三日’
經의 [蠱元亨]에서 [後甲三日]까지
○正義曰:‘蠱’者, 事也. 有事營爲, 則大得亨通. 有爲之時, 利在拯難, 故利涉大川也.
○正義曰:[蠱] 일이다. 일이 있어 경영하면 크게 형통함을 얻으며, 훌륭한 일을 하는 때에는 이로움이 어려움을 구제함에 있기 때문에 大川을 건넘이 이로운 것이다.
‘先甲三日 後甲三日’者, 甲者, 創制之令, 旣在有爲之時, 不可因仍舊令.
[先甲三日 後甲三日] ‘甲’은 創制한(처음으로 만든) 법령이니, 이미 훌륭한 일을 하는 때에 있으면 옛 법령을 그대로 인습할 수가 없다.
今用創制之令, 以治於人, 人若犯者, 未可卽加刑罰,
이제 創制한 법령을 사용하여 사람을 다스릴 적에 사람들이 만약 법령을 범하면 즉시 형벌을 가할 수가 없으니,
以民未習, 故先此宣令之前三日, 殷勤而語之, 又如此宣令之後三日, 更丁寧而語之, 其人不從, 乃加刑罰也.
백성들이 아직 〈새로운 법령을〉 익히지 않았기 때문에 이 법령을 선포하기 3일 전에 간곡히 말해주고 또 이와 같이 법령을 선포한 3일 뒤에 다시 丁寧히 말해주어서, 그런데도 그 사람이 따르지 않으면 비로소 형벌을 가하는 것이다.
褚氏(褚仲都), 何氏(何妥), 周氏(周宏正) 등은 모두 鄭玄의 뜻과 같이 하여, “甲은 새로운 법령을 창제하는 날이니, 甲의 전 3일은 허물을 고쳐 스스로 새로워짐을 취하므로 辛을 쓰는 것이요, 甲의 뒤 3일은 丁寧한 뜻을 취하므로 丁을 쓴다.” 하였다.
今案輔嗣注“甲者創制之令”, 不云“創制之日”, 又巽卦九五“先庚三日, 後庚三日”,
지금 살펴보면 王輔嗣(王弼)의 注에 “甲은 創制한 명령이다.” 하고 “創制한 날이다.”라고 하지 않았으며, 또 巽卦 九五 爻辭에 “先庚三日이요 後庚三日이다.”라고 하였는데,
輔嗣注“申命令謂之庚”, 輔嗣又云“甲庚皆申命之謂”, 則輔嗣不以甲爲創制之日, 而諸儒不顧輔嗣注旨, 妄作異端, 非也.
王輔嗣의 注에 “거듭 명령을 내리는 것을 庚이라 한다.” 하였고, 王輔嗣가 또 이르기를 “甲과 庚은 모두 거듭 명령을 내림을 말한다.” 하였으니, 그렇다면 王輔嗣는 甲을 創制하는 날로 여기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여러 학자들이 王輔嗣의 注의 뜻을 돌아보지 않고 함부로 異端의 說을 만들어내었으니, 잘못이다.
彖曰 蠱 剛上而柔下하고
〈彖傳〉에 말하였다. “蠱는 剛이 위에 있고 柔가 아래에 있으며,
[注]上剛 可以斷制 下柔 可以施令이라
위의 剛은 결단하여 制裁할 수 있고, 아래의 柔는 법령을 배포할 수 있다.
巽而止 蠱
공손하고 그침이 蠱이다.
[注]旣巽又止하여 不競爭也 有事而无競爭之患이라 可以有爲也
이미 공손한데 또 그쳐서 다투지 않으니, 일이 있으면서 다투는 근심이 없으므로 훌륭한 일을 할 수 있는 것이다.
[疏]‘彖曰’至‘止蠱’
經의 [彖曰]에서 [止蠱]까지
○正義曰:‘剛上而柔下 巽而止蠱’者, 此釋蠱卦之名, 幷明稱蠱之義也. 以上剛能制斷, 下柔能施令, 巽順止靜, 故可以有爲也.
○正義曰:[剛上而柔下 巽而止蠱] 이는 蠱卦의 이름을 해석하고 아울러 蠱라고 칭하는 뜻을 밝힌 것이다. 위의 剛은 制裁하여 결단할 수 있고 아래의 柔는 법령을 배포할 수 있으며, 공손하고 순하고 그치고 고요하므로 훌륭한 일을 할 수 있는 것이다.
褚氏云“蠱者, 惑也, 物旣惑亂, 終致損壞, 當須有事也, 有爲治理也,
褚氏가 말하기를 “蠱는 惑함이니, 물건이 이미 혹하고 어지러워서 끝내 損壞를 이루면 모름지기 일이 있어야 하니, 다스리는 일을 하는 것이다.
故序卦云‘蠱者, 事也’, 謂物蠱, 必有事, 非謂訓蠱爲事.” 義當然也.
그러므로 〈序卦傳〉에 ‘蠱는 일이다.’라고 하였으니, 물건이 파괴되면[蠱] 반드시 일이 있음을 이른 것이요, 蠱를 訓하여 일이라고 말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으니, 의리상 당연하다.
元亨而天下治也
蠱는 크게 형통하여 천하가 다스려지고,
[注]有爲而大亨하면 非天下治而何也
훌륭한 일을 하여 크게 형통하면 천하가 다스려지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疏]正義曰:釋元亨之義. 以有爲而得元亨, 是天下治理也.
正義曰:‘元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훌륭한 일을 하여 크게 형통함을 얻으면 이는 천하가 다스려지는 것이다.
利涉大川 往有事也 先甲三日, 後甲三日 終則有始 天行也
‘大川을 건넘이 이로움’은 가면 일이 있는 것이요, ‘甲보다 3일을 먼저하고, 甲보다 3일을 뒤에 함’은 끝나면 시작이 있음이 하늘의 운행인 것이다.”
[注]蠱者 有事而待能之時也 可以有爲 其在此時矣 物已說隨하면 則待夫作制하여 以定其事也
蠱는 일이 있어 능한 이를 기다리는 때이니, 훌륭한 일을 할 수 있는 것이 이때에 있다. 물건이 이미 기뻐하여 따르면 制作하기를 기다려 그 일을 정해야 한다.
進德修業하니 往則亨矣 元亨하고 利涉大川也 甲者 創制之令也 創制 不可責之以舊
德을 진전하고 業을 닦았으니, 가면 형통하다. 그러므로 크게 형통하고 大川을 건넘이 이로운 것이다. 甲은 創制한(처음으로 만든) 법령이니, 創制할 때에는 옛 법령으로 책망할 수 없다.
先之三日하고 後之三日 使令而後 乃誅也 因事申令하여 終則復始 若天之行 用四時也
그러므로 3일 전과 3일 후에 명령하여 흡족히 젖어든 뒤에 주벌하는 것이다. 일을 인하여 법령을 거듭하여 끝마치면 다시 시작하는 것은 하늘의 운행이 四時를 사용하는 것과 같다.
[疏]正義曰:‘利涉大川 往有事也’者, 釋利涉大川也.
正義曰:[利涉大川 往有事也] ‘大川을 건넘이 이로움’을 해석한 것이다.
蠱者, 有爲之時, 拔拯危難, 往當有事, 故利涉大川. 此則假外象, 以喻危難也.
蠱는 일이 있는 때이니, 위태로움과 어려움을 구제할 적에 가면 마땅히 일이 있다. 그러므로 大川을 건넘이 이로운 것이다. 이는 外物의 상을 빌려서 위태로움과 어려움을 비유한 것이다.
‘先甲三日 後甲三日 終則有始 天行’者, 釋先甲三日後甲三日之義也.
[先甲三日 後甲三日 終則有始 天行] ‘甲보다 3일을 먼저하고 甲보다 3일을 뒤에 함[先甲三日 後甲三日]’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民之犯令, 告之已終, 更復從始, 告之殷勤不已, 若天之行, 四時旣終, 更復從春爲始. 象天之行, 故云“天行”也.
백성이 법령을 범할 적에 고함이 이미 끝나면 다시 처음부터 해서 고하기를 간곡히 하여 그치지 않으니, 마치 하늘의 운행이 四時가 이미 끝나면 다시 봄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다. 하늘의 운행을 형상하였으므로 “하늘의 운행[天行]”이라고 한 것이다.
[疏]○注‘蠱者’至‘四時也’
○注의 [蠱者]에서 [四時也]까지
○正義曰:‘蠱者 有事待能之時’者, 物旣蠱壞, 須有事營爲, 所作之事, 非賢能不可, 故經云“幹父之蠱”, 幹則能也.
○正義曰:[蠱者 有事待能之時] 물건이 이미 파괴되면 모름지기 일이 있어 경영하여야 하니, 제작하는 일은 어진 이와 능한 이가 아니면 불가하다. 그러므로 經文에 “아버지의 일을 주간한다[幹].” 하였으니, ‘幹’은 바로 능함이다.
‘甲者 創制之令’者, 甲爲十日之首, 創造之令, 爲在後諸令之首, 故以創造之令, 謂之爲甲.
[甲者 創制之令] 甲은 10일의 머리가 되니, 創制한 명령이 뒤의 여러 법령의 머리에 있으므로 창제한 명령을 일러 甲이라고 한 것이다.
故漢時謂令之重者, 謂之甲令, 則此義也.
그러므로 漢나라 때에 법령의 重한 것을 甲令이라 하였으니, 바로 이 뜻이다.
‘創制 不可責之以舊’者, 以人有犯令而致罪者, 不可責之舊法, 有犯則刑,
[創制 不可責之以舊] 사람이 법령을 범하여 죄를 지은 자가 있을 경우, 옛 법령으로 책망하여 범함이 있으면 형벌할 수가 없다.
故須先後三日, 殷勤語之, 使曉知新令, 而後乃, 誅謂兼通責讓之罪, 非謂誅殺也.
그러므로 모름지기 전후 3일에 걸쳐 간곡히 말해주어서 백성들로 하여금 새 법령을 분명히 알게 한 뒤에 비로소 誅罰하는 것이니, ‘誅’는 責讓(꾸짖음)의 죄를 겸하여 통함을 말한 것이지 오로지 誅殺만을 말한 것이 아니다.
象曰 山下有風 君子以振民育德하니라
〈象傳〉에 말하였다. “산 아래에 바람이 있는 것이 蠱卦이니, 君子가 보고서 백성을 구제하여 德으로 길러준다.”
[注]蠱者 有事而待能之時也 君子以濟民養德也
蠱는 일이 있어 능한 이를 기다리는 때이다. 그러므로 군자가 보고서 백성을 구제하여 德으로 길러주는 것이다.
正義曰:반드시 “산 아래에 바람이 있다.”고 말한 것은, 바람은 멀리서 동하여 윤택함을 펼 수 있으니, 지금 ‘산 아래에 바람이 있음’은 君子가 능히 은택을 가지고 아래로 백성을 구제하여 德으로 길러줌을 취한 것이다.
振民, 象山下有風, 育德, 象山在上也.
‘백성을 구제함’은 산 아래에 바람이 있음을 형상하였고, ‘德으로 길러줌’은 산이 위에 있음을 형상한 것이다.
初六 幹父之蠱 有子 考无咎하리니하나 終吉하리라
初六은 아버지의 일을 주간함이니, 훌륭한 자식이 있으면 아버지가 허물이 없으리니, 위태로우나 끝내 길하리라.
[注]處事之首하니 始見任者也 以柔巽之質 幹父之事하여 能承先軌하여 堪其任者也 故曰 有子也
일의 첫머리에 처하였으니, 처음으로 임무를 받은 자이다. 柔巽한 자질로 아버지의 일을 주간하여 능히 옛 軌範을 받들어서 그 임무를 감당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훌륭한 자식이 있다.”고 말한 것이다.
任爲事首하여 能堪其事하면 考乃无咎也 故曰 有子 考无咎也라하니라 當事之首하니 是以危也 能堪其事 故終吉이라
임무를 맡아 일의 시작이 되어서 능히 그 일을 감당하면 아버지가 비로소 허물이 없다. 그러므로 “훌륭한 자식이 있으면 아버지가 허물이 없다.”고 말한 것이다. 일의 첫머리에 당하였으니 이 때문에 위태로운 것이요, 능히 그 일을 감당하기 때문에 끝내 길한 것이다.
[疏]‘初六’至‘厲終吉’
經의 [初六]에서 [厲終吉]까지
○正義曰:‘幹父之蠱’者, 處事之首, 以柔巽之質, 幹父之事, 堪其任也.
○正義曰:[幹父之蠱] 일의 첫머리에 처하여, 柔巽한 자질로 아버지의 일을 주간하여 그 임무를 감당하는 것이다.
‘有子 考无咎’者, 有子旣能堪任父事, 考乃无咎也, 以其處事之初, 若不堪父事, 則考有咎也.
[有子 考无咎] 훌륭한 자식이 있어서 이미 아버지의 일을 감당하여 맡을 수 있으면 아버지가 비로소 허물이 없는 것이니, 일의 처음에 처하여 만약 아버지의 일을 감당하지 못하면 아버지가 허물이 있는 것이다.
[厲 終吉] ‘厲’는 위태로움이다. 이미 일의 처음이 되었으니 이 때문에 위태로운 것이요, 능히 그 일을 감당하니 이 때문에 끝내 길한 것이다.
象曰 幹父之蠱 意承考也
〈象傳〉에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주간함은 마음으로만 아버지를 받드는 것이다.”
[注]幹事之首 時有損益하여 不可盡承이라 意承而已
일의 첫머리를 주간할 적에는 때때로 덜고 더함이 있어 모두 받들 수가 없다. 그러므로 마음으로만 받드는 것이다.
正義曰:‘아버지의 일을 주간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무릇 아버지의 일을 감당하여 주간할 적에는 작게 하고 크게 함과 덜고 더함을 한결같이 아버지의 명령을 따를 수가 없고, 마땅히 일을 헤아려 마땅하게 만들어서 마음으로만 아버지를 받들 뿐이다.
對文父沒稱考, 若散而言之, 生亦稱考. 若康誥云“大傷厥考心”, 是父在稱考. 此避幹父之文, 故變云考也.
對를 맞추어 쓴 글에는 아버지가 죽었을 때 ‘考’라고 칭하나 만약 넓게 말하면 살아 있을 때에도 考라고 칭한다. 예컨대 ≪書經≫ 〈康誥〉에 “그 아버지[考]의 마음을 크게 상한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아버지가 살아 있을 때에도 考라고 칭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幹父’의 글을 피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바꾸어 ‘考’라고 말한 것이다.
九二 幹母之蠱 不可貞이니라
九二는 어머니의 일을 주간함이니, 貞正해서는 안 된다.
[注]居於內中하여 宜幹母事 故曰 幹母之蠱也
內卦의 가운데에 거하여 마땅히 어머니의 일을 주간해야 하기 때문에 “어머니의 일을 주간한다.”고 말한 것이요,
婦人之性 難可全正하여 宜屈己剛하니 旣幹且順이라 故曰 不可貞也라하니라 幹不失中 得中道也
부인의 성품은 바름을 온전히 하기가 어려워서 마땅히 자기의 剛함을 굽혀야 하니, 이미 주간하고 순하기 때문에 “貞正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 것이다. 주간하면서 中을 잃지 않음은 中道를 얻은 것이다.
[疏]正義曰:居內處中, 是幹母事也.
正義曰:內卦에 거하고 中에 처하였으니, 이는 어머니의 일을 주간하는 것이다.
‘不可貞’者, 婦人之性, 難可全正, 宜屈己剛, 不可固守貞正, 故云“不可貞”也.
[不可貞] 부인의 성품은 바름을 온전히 하기가 어려워서 마땅히 자기의 剛함을 굽혀야 하니, 貞正함을 굳게 지켜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貞正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한 것이다.
象曰 幹母之蠱 得中道也
〈象傳〉에 말하였다. “어머니의 일을 주간함은 中道를 얻은 것이다.”
[疏]正義曰:‘得中道’者, 釋幹母之蠱義, 雖不能全正, 猶不失在中之道, 故云“得中道”也.
正義曰:[得中道] ‘어머니의 일을 주간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비록 바름을 온전히 하지는 못하나 그래도 中에 있는 道를 잃지 않았기 때문에 “中道를 얻었다.”라고 말한 것이다.
九三 幹父之蠱 小有悔 无大咎
九三은 아버지의 일을 주간함이니, 다소 후회가 있으나 큰 허물이 없다.
[注]以剛幹事而无其應이라 有悔也 履得其位하여 以正幹父하니 雖小有悔 終无大咎
剛으로 일을 주간하면서 應이 없기 때문에 후회가 있는 것이요, 밟음이 正位를 얻어서 바름으로 아버지의 일을 주간하니 비록 다소 후회가 있으나 끝내 큰 허물이 없는 것이다.
[疏]正義曰:‘幹父之蠱 小有悔’者, 以剛幹事而无其應, 故小有悔也.
正義曰:[幹父之蠱 小有悔] 剛으로 일을 주간하면서 應이 없기 때문에 다소 후회가 있는 것이다.
‘无大咎’者, 履得其位, 故終无大咎也.
[无大咎] 밟음이 正位를 얻었으므로 끝내 큰 허물이 없는 것이다.
象曰 幹父之蠱 終无咎也
〈象傳〉에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주간함은 끝내 허물이 없는 것이다.”
六四 裕父之蠱하면 見吝하리라
六四는 아버지의 일을 여유롭게 하는 것이니, 가면 부끄러움을 당하리라.
[注]體柔當位하여 幹不以剛하고 而以柔和하니 能裕先事者也 然无其應하여 往必不合이라 曰 往見吝이라
體가 柔하면서 지위를 담당하여 주간하기를 剛으로써 하지 않고 柔和로써 하니, 능히 先代의 일을 여유롭게 하는 자이다. 그러나 應이 없어서 가면 반드시 합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가면 부끄러움을 당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疏]‘象曰’至‘見吝’
經의 [象曰]에서 [見吝]까지
○正義曰:‘裕父之蠱’者, 體柔當位, 幹不以剛, 而以柔和, 能容裕父之事也.
○正義曰:[裕父之蠱] 體가 柔하면서 지위를 담당하여 주간하기를 剛으로써 하지 않고 柔和로써 해서 능히 아버지의 일을 여유롭게 할 수 있다.
[往見吝] 應이 없으므로 가는 곳에서 鄙吝함을 당한다. 이 때문에 가면 얻지 못하는 것이다.
象曰 裕父之蠱 往未得也
〈象傳〉에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여유롭게 함은 가면 얻지 못하는 것이다.”
六五 幹父之蠱 用譽리라
六五는 아버지의 일을 주간함이니, 명예가 있으리라.
[注]以柔處尊하여 用中而應하니 承先以斯하면 用譽之道也
柔로서 尊位에 처하여 中을 써서 응하니, 선친을 받들기를 이로써 하면 명예를 받는 방도이다.
[疏]‘象曰’至‘用譽’
經의 [象曰]에서 [用譽]까지
○正義曰:‘幹父之蠱 用譽’者, 以柔處尊, 用中而應, 以此承父, 用有聲譽.
○正義曰:[幹父之蠱 用譽] 柔로서 尊位에 처하여 中을 써서 응하니, 이로써 아버지를 받들면 훌륭한 명예가 있을 것이다.
象曰 幹父用譽 承以德也
〈象傳〉에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여 명예가 있음은 德으로써 받드는 것이다.”
[注]以柔處中하여 不任威力也
柔로서 中에 처하여 위엄과 무력에 맡기지 않는 것이다.
[疏]正義曰:釋幹父用譽之義, 奉承父事, 唯以中和之德, 不以威力, 故云“承以德也.”
正義曰:‘아버지의 일을 주관하여 명예가 있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아버지의 일을 받들 적에 오직 中和의 德으로써 하고 위엄과 무력으로써 하지 않으므로 “德으로써 받는다.”고 말한 것이다.
上九 不事王侯하고 高尙其事로다
上九는 王侯를 섬기지 않고 그 일을 고상히 한다.
[注]最處事上하여 而不累於位하니 不事王侯하고 高尙其事也
일의 가장 위에 처하여 지위에 얽매이지 않으니, 王侯를 섬기지 않고 그 일을 고상히 하는 것이다.
[疏]正義曰:最處事上, 不復以世事爲心, 不係累於職位, 故不承事王侯, 但自尊高慕尙其淸虛之事, 故云“高尙其事”也.
일의 가장 위에 처하여 다시 세상일을 마음에 두지 않고 직책과 지위에 얽매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王侯를 받들어 섬기지 않고, 다만 스스로 자기의 淸虛한 일을 높이고 사모하고 고상히 하기 때문에 “그 일을 고상히 한다.”고 말한 것이다.
象曰 不事王侯 志可則也
〈象傳〉에 말하였다. “王侯를 섬기지 않음은 뜻이 본받을 만한 것이다.”
[疏]正義曰:釋不事王侯之義, 身旣不事王侯, 志則淸虛高尙, 可法則也.
正義曰:‘王侯를 섬기지 않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몸이 이미 王侯를 섬기지 않아 뜻이 淸虛하고 고상해서 법칙으로 삼을 만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其褚氏何氏周氏等竝同鄭義……非也 : 王弼은 ‘甲’을 ‘처음으로 만든 법령’의 뜻으로 본 반면, 鄭玄 등은 ‘甲’을 ‘법령을 처음 만든 날’의 뜻으로 본 것이다. 鄭玄 등은, 天干에 있어 辛은 甲으로부터 거슬러 세 번째이고 丁은 甲으로부터 뒤로 세 번째이며, 辛은 改新의 뜻이고 丁은 丁寧의 뜻이 있다 하여 이렇게 주장한 것이다.
한편 程伊川은 “制作과 政敎 따위를 甲이라고 말하니, 첫 번째를 든 것이다.[制作政敎之類則云甲 擧其首也]”라고 하여 王弼과 상통하며, 朱子는 “甲보다 앞서 3일은 辛이요 甲보다 뒤에 3일은 丁이니, 앞의 일이 中을 지나 장차 파괴되려 하면 스스로 새롭게 하여 뒷일의 단서를 만들어서 크게 파괴됨에 이르지 않게 하고, 뒷일이 막 시작되어 새로우나 다시 丁寧한 뜻을 지극히 하여 앞일의 잘못을 거울삼아 속히 파괴됨에 이르지 않게 하여야 한다.[先甲三日 辛也 後甲三日 丁也 前事過中而將壞 則可自新以爲後事之端 而不使至於大壞 後事方始而尙新 然更當致其丁寧之意 以監其前事之失 而不使至於速壞]”라고 하여 鄭玄의 說을 따랐다.
역주2 (治)[洽] : 저본에는 ‘治’로 되어 있으나, 岳本ㆍ宋本ㆍ古本ㆍ足利本에 의거하여 ‘洽’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3 (專)[誅] : 저본에는 ‘專’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誅’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4 (尊)[專] : 저본에는 ‘尊’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專’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5 風能遙動……育養以德 : 孔穎達은 바람의 動함을 ‘은택이 베풀어짐’으로 해석하여 바로 ‘振民’과 연결시켰으나, 程伊川은 “바람이 산을 만나 돌면 물건이 다 흩어져 혼란해진다. 그러므로 일이 있는 象이 된 것이다.[風遇山而回 則物皆散亂 故爲有事之象]”라고 하여, 바람의 動함을 물건이 흩어지고 파괴됨의 뜻으로 보았는바, 이는 朱子도 같다. 따라서 程伊川과 朱子는 ‘振民’과 ‘育德’을 이러한 혼란의 시기에 군자가 반드시 해야 할 두 가지 큰 일로 보았다.
‘育德’을 王弼은 분명히 밝히지 않았으나, 孔穎達은 ‘育養以德’이라고 부연 설명하였는바, ‘育德’을 ‘군자가 백성을 자신의 德으로 길러줌’으로 해석한 것이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育德’을 ‘군자가 자신의 德을 기름’의 뜻으로 보았다.
역주6 厲……所以危也 : 王弼과 孔穎達은 初六이 일의 처음이기 때문에 위태로운 것이라고 하였으나, 程伊川은 자식이 위태롭게 여겨 조심해야 한다는 뜻으로 보았으며, 朱子 역시 “위태로움을 알아 능히 경계하면 끝내 길하다.[知危而能戒 則終吉也]”고 하였다. 程伊川과 朱子의 해석에 따르면 ‘厲終吉’은 “厲하여야 終吉이리라”로 현토해야 한다.
역주7 凡堪幹父事……以意承考而已 : 王弼과 孔穎達은 ‘意承考’를 ‘자식이 아버지의 일을 주간할 적에 아버지의 명령을 모두 따르지는 않고 마음으로만 아버지를 받드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은 “자식이 아버지의 일을 주간하는 도리는 뜻이 아버지의 일을 받들어 담당함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일을 공경하여 아버지를 허물이 없는 처지에 두어서 항상 두려워하고 위태로운 생각을 품으면 끝내 길함을 얻는 것이다. 아버지의 일에 정성을 다함은 길한 방도이다.[子幹父蠱之道 意在承當於父之事也 故祇敬其事 以置父於无咎之地 常懷惕厲 則終得其吉也 盡誠於父事 吉之道也]”라고 하여, ‘意承考’를 ‘자식이 아버지의 일에 정성을 다하여 그 일을 받들려는 것에 뜻을 둠’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역주8 往見吝者……故往未得也 : 王弼과 孔穎達은 ‘往見吝’을 六四가 應이 없기 때문에 가면 부끄러움을 당하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는바, 蠱卦의 初爻는 陰爻이기 때문에 六四가 應이 없는 것이다. 반면 朱子는 “〈六四가〉 陰으로 陰位에 거하여 훌륭한 일을 하지 못하니, 寬裕로써 혼란함을 다스리는 象이다. 이와 같으면 혼란함이 장차 날로 깊어지므로 가면 부끄러움을 당하는 것이다.[以陰居陰 不能有爲 寬裕以治蠱之象也 如是 則蠱將日深 故往則見吝]”라고 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