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2. 岷山 導江샤 東別爲沱며 又東至于澧며 過九江야 至于東陵며 東迆北會야 爲匯며 東爲中江야 入于海니라
江之別流於梁者也 水名이라 水經 出武陵充縣하여 西至長沙下雋縣하여 西北入江이라하고 鄭氏云 經 言道言會者 水也 言至者 或山或澤也 宜山澤之名이라하니라 按下文九江 澧水旣與其一하니 則非水明矣 九江 見荊州하니라 東陵 巴陵也 今岳州巴陵縣也 地志 在廬江西北者 非是 會匯, 中江 見上章하니라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岷山에 導江하사 東別爲沱하시며
岷山 導江하사 東別爲沱하시며
岷山에서 江水를 유도하시어 동쪽으로 별도로 沱水가 되게 하시며,
[傳]江 東南流하고 東行이라
江水는 동남쪽으로 흐르고, 沱水는 동쪽으로 흘러간다.
[疏]傳‘江東’至‘東行’
傳의 [江東]에서 [東行]까지
○正義曰:以上云‘浮于江‧沱‧潛‧漢’, 其次自南而北, 江在沱南, 知‘江東南流而沱東行’.
○正義曰:위에서 ‘江水‧沱水‧潛水‧漢水에 배를 띄워’라고 하였는데, 그 순서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고, 江水는 沱水의 남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江水는 동남으로 흐르고, 沱水는 동쪽으로 흘러감’을 안 것이다.
又東至于澧하시며
또 동쪽으로 澧水에 이르게 하시며,
[傳]澧 水名이라
澧는 물 이름이다.
[疏]傳‘澧 水名’
傳의 [澧 水名]
○正義曰:鄭玄以此經自‘導弱水’已下, 言‘過’言‘會’者, 皆是水名, 言‘至于’者, 或山或澤, 皆非水名, 故以‘合黎’爲山名, ‘澧’爲陵名.
○正義曰:鄭玄은 이 經文의 ‘導弱水’로부터 이하에서 ‘過’라고 말하고 ‘會’라고 말한 것(곧 지나는 대상과 모이는 대상)은 모두 물 이름이고, ‘至于’라고 말한 것(곧 이르는 대상)은 혹은 산, 혹은 못으로 모두 물 이름이 아니었기 때문에 合黎는 산 이름으로, 澧는 구릉 이름으로 여겼다.
鄭玄云 “今長沙郡有澧陵縣.” 其以陵名爲縣乎. 孔以‘合黎’與‘澧’皆爲水名, 弱水餘波入于流沙, 則本源入合黎矣,
그래서 鄭玄은 “지금 長沙郡에 澧陵縣이 있다.”라고 하였으니, 어찌 구릉 이름으로 고을을 이름할 수 있겠는가. 孔安國은 合黎와 澧를 모두 물 이름으로 여겼는데, 弱水의 남은 물결이 流沙로 들어갔으면 本源이 合黎로 들어갈 것이다.
合黎得容弱水, 知是水名. 楚辭曰 “余佩兮澧浦.” 是澧亦爲水名.
合黎가 弱水를 수용하게 된 셈이니, 이래서 물 이름임을 안 것이다. ≪楚辭≫에 “나의 패옥을 澧浦에 풀어 놓았다.”라고 하였으니, 이 澧 또한 물 이름이다.
過九江하여 至于東陵하시며
九江을 지나 東陵에 이르게 하시며,
[傳]江分爲九道하니 在荊州 東陵 地名이라
江水가 나뉘어 아홉 길이 되니, 荊州에 있다. 東陵은 땅 이름이다.
[疏]傳‘江分’至‘地名’
傳의 [江分]에서 [地名]까지
○正義曰:九江之水, 禹前先有其處. 禹今導江, 過歷九江之處, 非是別有九江之水.
○正義曰:九江의 물은 禹 이전에 이미 그 곳이 있었다. 禹가 지금 江水를 유도하여 九江의 곳을 지나가는 것이지, 따로 九江의 물이 있는 것은 아니다.
東迆北會하시며
동쪽으로 넘쳐 북쪽으로 모여 彭蠡[匯]가 되게 하시며,
[傳]迆 溢也 東溢分流라가 都共北會爲彭蠡
迆는 溢의 뜻이다. 동쪽으로 넘쳐 나뉘어져 흐르다가 모두 함께 북쪽으로 모여 彭蠡가 된다.
○迆 馬云 靡也
○迆는 馬融이 “靡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疏]傳‘迆溢’至‘彭蠡’
傳의 [迆溢]에서 [彭蠡]까지
○正義曰:‘迆’, 言靡迆. 邪出之言, 故爲溢也. 東溢分流, 又都共聚合, 北會彭蠡, 言散流而復合也.
○正義曰:‘迆’는 구불구불하게 흘러감을 말한다. 비스듬하게 나감을 말하였기 때문에 ‘溢’의 뜻이라 한 것이다. 동쪽으로 넘쳐 나뉘어져 흐르다가 또 모두 함께 모여서 합쳐져 북쪽으로 彭蠡에 모임은 흩어져 흐르다가 다시 합쳐짐을 말한 것이다.
鄭云 “東迆者爲南江.” 孔意或然. ‘至’之與‘會’, 史異文耳.
鄭玄은 “동쪽으로 넘친 것은 南江이 되었다.”라고 하였으니, 孔安國의 생각도 혹 그랬을 것이다. ‘至’와 ‘會’는 史官이 문체를 다르게 한 것일 뿐이다.
東爲中江하여 入于海하시다
동쪽으로 中江이 되어 바다로 들어가게 하셨다.
[傳]有北하고 有中하니 可知
北이 있고 中이 있으니, 南이 있음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疏]傳‘有北有中 南可知’
傳의 [有北有中 南可知]
○正義曰:地理志云 “南江, 從會稽吳縣南, 東入海,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南江은 會稽郡 吳縣 남쪽에서부터 동쪽으로 바다에 들어가고,
中江, 從丹陽湖縣西, 東至會稽陽羨縣, 東入海, 北江, 從會稽毗陵縣北, 入于海.”
中江은 丹陽郡 蕪湖縣 서쪽에서부터 동쪽으로 會稽郡 陽羨縣에 이르러 동쪽으로 바다에 들어가고, 北江은 會稽郡 毗陵縣 북쪽에서부터 동쪽으로 바다에 들어간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濯)[遺] : 저본에는 ‘濯’으로 되어 있으나, ≪楚辭≫에 의거하여 ‘遺’로 바로잡았다. 遺는 離의 뜻이다.
역주2 (于)[爲] : 저본에는 ‘于’로 되어 있으나, 孔傳과 大全本 등에 의거하여 ‘爲’로 바로잡았다.
역주3 (無)[蕪] : 저본에는 ‘無’로 되어 있으나, 福建本‧汲古閣本‧武英殿本‧薈要本에 의거하여 ‘蕪’로 바로잡았다.
역주4 [東] : 저본에는 없으나, ≪漢書≫ 〈地理志〉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