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 惟學 遜志 務時敏면 厥修乃來리니 允懷于玆면 道積于厥躬리이다
謙抑也 專力也 時敏者 無時而不敏也 遜其志하여 如有所不能하고 敏於學하여 如有所不及하여 虛以受人하고 勤以勵己 則其所修 如泉始達하여 源源乎其來矣리라 此也 篤信而深念乎此하면 則道積於身하여 不可以一二計矣 夫修之來하고 來之積하여 其學之得於己者如此니라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10권 商書> 說命下 第十四> 惟學遜志라 務時敏하면 厥修乃來하리니
務時敏하면 厥修乃來하리니
배워서 뜻을 순하게 하였기 때문에 민첩하기에 힘쓰면 그 德이 닦여짐이 저절로 자신에게 올 것이니,
[傳]學以順志 務是敏疾이면 其德之修
배워서 뜻을 순하게 하였기 때문에 민첩하기에 힘쓰면 德이 닦여짐이 저절로 자신에게 올 것이란 말이다.
[疏]‘惟學’至‘乃來’
經의 [惟學]에서 [乃來]까지
○正義曰:人志本欲求善. 欲學順人本志, 學能務是敏疾, 則其德之脩乃自來. 言務之旣疾, 則德自來歸己也.
○正義曰:사람의 뜻은 본래 善을 구하고 싶어 한다. 배우려 함은 사람의 본지를 순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니, 배움을 능히 민첩하기에 힘쓰면 그 德이 닦여짐이 저절로 올 것이다. 곧 힘쓰기를 이미 빨리하면 덕이 저절로 와서 자신에게 돌아올 것이란 말이다.
允懷于玆하면 道積于厥躬하리이다
진실로 이렇게 할 마음을 품는다면 바른 道가 그 몸에 쌓일 것입니다.
[傳]信懷此學志 則道積於其身이라
진실로 이처럼 배우려는 뜻을 품는다면 道가 그 몸에 쌓일 것이란 말이다.
역주
역주1 惟學遜志 : 蔡傳에서는 遜을 謙抑의 뜻으로 보아 “배움은 뜻을 겸손하게 가져야 한다.”로 풀이하였다.
역주2 乃來 : 蔡傳에는 ‘계속되는 것’으로 보았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