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 予若籲懷玆新邑 亦惟汝故 以丕從厥志니라
我所以招呼懷來于此新邑者 亦惟以爾民 蕩析離居之故 欲承汝俾汝康共하여 以大從爾志也 或曰 盤庚遷都 民咨胥怨이어늘 而此以爲丕從厥志 何也 蘇氏曰 古之所謂從衆者 非從其口之所不樂이요 而從其心之所不言而同然者 夫趨利而避害하고 捨危而就安 民心同然也 殷亳之遷 實斯民所利로되 特其一時 爲浮言搖動하여 怨咨不樂이니 使其卽安危利害之實而反求其心이면 則固其所大欲者矣니라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9권 商書> 盤庚中 第十> 予若籲懷玆新邑은 亦惟汝라 故以丕從厥志라
내가 도리를 따르고 너희와 화협하여 이 새 도읍으로 가려고 하는 것은 또한 너희들을 이롭게 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나의 뜻을 크게(흔쾌히) 따르도록 하라.
[傳]言 欲利汝衆이라 大從其志而徙之
내가 도리를 따르고 너희와 화협하여 이 새 도읍으로 가려고 하는 것은 너희들을 이롭게 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나의 본지를 크게 따라서 옮기자고 말한 것이다.
[疏]‘予若’至‘厥志’
經의 [予若]에서 [厥志]까지
○正義曰:盤庚言, 我順於道理, 和協汝衆, 歸懷此新邑者, 非直爲我王家, 亦惟利汝衆, 故爲此大從我本志而遷徙, 不有疑也.
○正義曰:盤庚이 말하기를 “내가 도리를 따르고 너희와 화협하여 이 새 도읍으로 가려고 하는 것은 단지 우리 王家만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 또한 너희들을 이롭게 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위하여 나의 본지를 크게 따라서 옮기려 하는 것이니 의심을 갖지 말도록 하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予若籲懷玆新邑……以丕從厥志 : 蔡傳에서는 “내가 너희들을 불러서 이 새 도읍으로 오게 한 까닭은 또한 너희 백성들이 침수피해로 흩어져 살고 있기 때문이니, 너희들을 경건히 떠받들어 너희들로 하여금 옮기게 해서 편안한 삶을 함께 누리기 위하여 너희들의 뜻을 크게 따른 것이다.[我所以招呼懷來于此新邑者 亦惟以爾民 蕩析離居之故 欲承汝俾汝康共 以大從爾志]”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我順和懷此新邑 : 兪樾은 “≪爾雅≫에 ‘「若」은 「汝」의 뜻이다.’ 하고, ≪說文解字≫에 ‘「籲」는 「呼」의 뜻이다.’고 하였으니, ‘予若籲’는 ‘予汝呼’로 ‘予呼汝’란 말과 같다. ≪詩經≫ 〈匪風〉의 ‘懷之好音’과 〈皇矣〉의 ‘予懷明德’에 대한 毛傳에서 모두 ‘「懷」는 「歸」의 뜻이다.’고 하였으니, ‘懷玆新邑’은 ‘歸此新邑’으로 ‘내가 너희를 불러 이 새 도읍으로 가는 것은 또한 너희들을 유리하게 하기 위한 때문이다.’고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群經平議≫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