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詩經集傳(上)

시경집전(상)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采蘋〉
于以采蘋南澗之濱이로다
于以采藻于彼行ㅣ로다
賦也 水上浮萍也 江東人謂之䕯 厓也 取藻也 生水底하고 莖如釵股하며 葉如蓬蒿 行潦 流潦也
○ 南國 被文王之化하여 大夫妻能奉祭祀하니 而其家人 敍其事以美之也
于以之維筐及ㅣ로다
于以湘之維ㅣ로다
賦也 方曰筐이요 圓曰筥 烹也 蓋粗熟而淹以爲菹也 釜屬이니 有足曰錡 無足曰釜
○ 此 足以見其循序有常하여 嚴敬整飭之意
于以奠之宗室牖ㅣ로다
誰其尸之季女ㅣ로다
賦也 置也 宗室 大宗之廟也 大夫士祭於宗室이라 牖下 室西南隅 所謂奧也 主也이요 少也 祭祀之禮 主婦主薦豆하니 實以菹醢 少而能敬하니 尤見其質之美하여 而化之所從來者遠矣
采蘋三章이니 章四句
[毛序] 采蘋 大夫妻能循法度也 能循法度 則可以承先祖共祭祀矣
역주
역주1 : 音老
역주2 : 音成
역주3 : 居呂反
역주4 : 宜綺反
역주5 : 符甫反
역주6 : 叶後五反
역주7 : 側皆反

시경집전(상)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