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2. 子[ㅣ] 曰 不仁者 不可以久處約이며 不可以長處樂이니 仁者 安仁고 知者 利仁이니라
窮困也 猶貪也 蓋深知篤好而必欲得之也 不仁之人 失其本心하여 久約必濫하고 久樂必淫이라 惟仁者則安其仁而無適不然하고 知者則利於仁而不易所守하니 蓋雖深淺之不同이나이나 皆非外物所能奪矣니라 ○ 謝氏曰 仁者 心無內外遠近精粗之間하여 非有所存而自不亡하고 非有所理而自不亂하니 如目視而耳聽하고 手持而足行也 知者 謂之有所見則可커니와 謂之有所得則未可하니 有所存이라야 斯不亡하고 有所理라야 斯不亂하여 未能無意也 安仁則一이요 利仁則二 安仁者 非顔閔以上去聖人爲不遠이면 不知此味也 諸子雖有卓越之才 謂之見道不惑則可커니와이나 未免於利之也니라
[언해] 子ㅣ 샤 仁티 아니 者쟈 可가히  오래 約약에 處쳐티 몯며 可가히  기리 樂락에 處쳐티 몯니 仁 者쟈 仁을 安안고 知디 쟈 仁에 利리히 너기니라
[James Legge] The Master said, “Those who are without virtue cannot abide long either in a condition of poverty and hardship, or in a condition of enjoyment. The virtuous rest in virtue; the wise desire virtue.”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仁)하지 못한 자는 곤궁함을 오래 견디지 못하고. 즐거움도 오래 누리지 못하니, 인자(仁者)는 인(仁)을 편안히 여기고, 지자(智者)는 인(仁)을 이롭게 여긴다.”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