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3. 厥土 赤埴墳이니 草木 漸包(苞)로다
土黏曰埴이라 膩也 黏泥如脂之膩也 周有摶埴之工하고 老氏言 埏埴以爲器라하니 惟土性黏膩細密이라 可摶可埏也 進長也 如易所謂木漸이니 言其日進於茂而不已也 叢生也 如詩之所謂如竹包矣 言其叢生而稹也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厥土는 赤埴墳이니 草木은 漸包로다
厥土 赤埴墳이니 草木 漸包로다
그 토질은 붉으면서 차지고 부풀어 올랐으니, 초목이 점점 우북하게 난다.
[傳]土黏曰埴이라 進長이요 叢生이라
흙이 차진 것을 埴이라고 한다. 漸은 자라나가는 것이고, 包는 떨기로 난 것이다.
○漸 本又作蔪이니 草之相包裹也 字或作苞 非叢生也 馬云 相包裹也
○漸은 어떤 본에는 또 蔪으로 되어 있으니, 풀이 서로 둘러싸는 것이다. 包는 글자가 혹 苞로 되어 있으니, 떨기로 난 것이 아니다. 馬融은 “서로 둘러싸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疏]傳‘土黏’至‘叢生’
傳의 [土黏]에서 [叢生]까지
○正義曰:戠‧埴, 音義同. 考工記用土爲瓦, 謂之摶埴之工. 是埴謂黏土, 故土黏曰埴.
○正義曰:戠과 埴은 음과 뜻이 같다. ≪周禮≫ 〈考工記〉에서 흙을 이용해서 기와를 만드는 이를 ‘진흙을 짓이기는 기술자’라고 하였으니, 埴은 차진 흙을 이르기 때문에 흙이 차진 것을 埴이라 한다.
易漸卦彖云 “漸, 進也.” 釋言云 “苞, 稹也.” 孫炎曰 “物叢生曰苞, 齊人名曰稹.” 郭璞曰 “今人呼叢緻者爲稹.”
≪周易≫ 漸卦 〈彖傳〉에 “漸은 進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爾雅≫ 〈釋言〉에 “苞는 稹의 뜻이다.”라고 하였는데, 孫炎은 “식물이 우북하게 난 것을 苞라고 하며, 齊나라 사람은 稹이라고 지칭한다.”라고 하였다. 郭璞은 “지금 사람은 우북하게 난 것을 稹이라 부른다.”라고 하였다.
‘漸苞’, 謂長進叢生, 言其美也.
[漸苞] 무럭무럭 자라 우북하게 나는 것을 이르니, 그 아름다움을 말한 것이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