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4. 曾子[ㅣ] 曰 吾 日三省吾身노니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애니라
曾子 孔子弟子 名參이요 字子輿 盡己之謂忠이요 以實之謂信이라 謂受之於師 謂熟之於己 曾子以此三者 日省其身하사 有則改之하고 無則加勉하여 其自治誠切 如此하시니 可謂得爲學之本矣 而三者之序 則又以忠信爲傳習之本也니라 ○ 尹氏曰 曾子守約이라 動必求諸身하시니라 謝氏曰 諸子之學 皆出於聖人이나 其後愈遠而愈失其眞이어늘 獨曾子之學 專用心於內 傳之無弊하니 觀於子思孟子 可見矣 惜乎 其嘉言善行 不盡傳於世也 其幸存而未泯者 學者其可不盡心乎
[James Legge] The philosopher Tsang said, “I daily examine myself on three points:-- whether, in transacting business for others, I may have been not faithful;-- whether, in intercourse with friends, I may have been not sincere;-- whether I may have not mastered and practiced the instructions of my teacher.”
[언해] 曾子ㅣ 샤 내 날로 세 가지로 내 몸을 피노니 사을 爲위야 謀모홈애 忠티 몯가 朋友우로 더브러 交교홈애 信신티 몯가 傳뎐코 習습디 몯개니라
4. 공자의 제자 증자(증자曾子, 증삼曾參)가 말하였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 일로 나 자신을 반성하니, 남을 위하여 일을 꾀하면서 진심을 다하지 않았는가, 벗과 사귀면서 진실하지 않았는가, 배운 것을 익히지 않았는가 하는 것이다.”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