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 故天 棄我샤 不有康食며 不虞天性며 不迪率典하나이다
이요 常法也 紂自絶於天이라 天棄殷하여 不有康食하여 饑饉荐臻也 不虞天性하여 民失常心也 不迪率典하여 廢壞常法也
역주
역주1 : 탁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10권 商書> 西伯戡黎 第十六> 故天이 棄我하사 不有康食하며 不虞天性하며 不迪率典하나이다
그러므로 하늘이 우리를 버리셔서 〈宗廟의 神이〉 편안히 흠향할 수 없는 형편이 되었건만, 〈王께서는〉 하늘의 性命이 있는 곳을 헤아려 알지 못하고, 常法을 따르지 않고 계십니다.
[傳]以紂自絕於先王이라 天亦棄之하여 宗廟不有安食於天下언만 而王不度知天性命所在하고 而所行不蹈循常法이니 言多罪
紂가 스스로 先王을 끊었기 때문에 하늘 또한 그를 버려서, 宗廟의 神이 天下에 편안히 흠향할 곳이 없게 되었건만, 王은 하늘의 性命이 있는 곳을 헤아려 알지 못하고 행하는 바가 常法을 따르지 않았다는 것이니, 곧 紂의 죄가 많음을 말한 것이다.
[疏]傳‘以紂’至‘多罪’
傳의 [以紂]에서 [多罪]까지
○正義曰:禮記稱‘萬物本於天, 人本於祖’, 則天與先王俱是人君之本. 紂既自絕於先王, 亦自絕於天.
○正義曰:≪禮記≫ 〈郊特牲〉에 “만물은 하늘을 근본으로 하고, 사람은 조상을 근본으로 한다.”라고 하였으니, 하늘과 先王은 모두 임금의 근본인 것이다. 그런데 紂는 이미 스스로 先王을 끊고, 또한 스스로 하늘을 끊었다.
上經言紂自絕先王, 此言天棄紂, 互明紂自絕, 然後天與先王棄絕之.
上經에서는 ‘紂가 스스로 先王을 끊은 것’을 말하고, 여기서는 ‘하늘이 紂를 버린 것’을 말하였으니, 상호적으로 紂가 스스로 끊은 연후에 하늘과 선왕이 그를 버리고 끊었음을 밝힌 것이다.
故傳申通其意, “以紂自絕先, 故天亦棄之.” ‘亦’者, 亦先王, 言先王與天俱棄之也.
그러므로 傳에서 거듭 그 뜻을 통하여 “紂가 스스로 先王을 끊었기 때문에 하늘 또한 그를 버렸다.”라고 한 것이다. ‘亦’자는 ‘또한 先王도’라고 할 수 있게끔 쓰인 것이니, 곧 先王과 하늘이 모두 그를 버렸음을 말한 것이다.
孝經言‘天子得萬國之歡心, 以事其先王, 然後祭則鬼享之.’
≪孝經≫에서 “天子는 萬國의 歡心을 얻어서 그 先王을 섬긴 연후에 제사를 지내면 귀신이 흠향한다.”라고 말하였다.
今紂既自絕於先王, 先王‘不有安食於天下’, 言紂雖以天子之尊事宗廟, 宗廟之神不得安食也.
그런데 지금 紂가 이미 스스로 先王을 끊어서 先王이 ‘천하에 편안히 흠향할 곳이 없다.’는 것은 紂가 비록 天子의 존엄으로 宗廟의 神을 섬기나 宗廟의 神이 편안히 흠향하지 못함을 말한다.
‘而王不度知天命所在’, 不知己之性命當盡也, 而 ‘所行不蹈循常法’, 動悉違法, 言多罪.
‘王은 하늘의 命이 있는 곳을 헤아려 알지 못한다.’는 것은 자기의 性命을 마땅히 다해야 할 것을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행하는 바가 常法을 따르지 않았다.’는 것은 행동이 모두 法을 어긴다는 것이니, 죄가 많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故天……不迪率典 : 鄭玄은 “紂는 백성을 학대하여 편안히 먹을 수 없게 하고 陰陽을 逆亂하여 天性을 헤아리지 않고 明德을 傲猂하여 敎法을 닦지 않은 사람이다.”라고 풀이하였는데, 蔡傳은 “紂가 스스로 천명을 끊었기 때문에 하늘이 殷나라를 버린 것이다. ‘不有康食’은 饑饉이 이른 것이고, ‘不虞天性’은 백성들이 常心을 잃은 것이고, ‘不迪率典’은 常法을 폐기한 것이다.”라고 풀이하였고, 陳師凱는 ‘不虞天性’을 “사람이 하늘에서 받은 性이 사욕에 가려져서 성찰할 수 없음을 이른다.”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王] : 저본에는 ‘王’이 없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3 (昔)[皆] : 저본에는 ‘昔’으로 되어 있으나, “元本에 ‘昔’으로 잘못되어 있는데, 마침내 ‘悉’로 잘못 고쳤다.”라고 한 盧文弨의 ≪群書拾補≫에 의거하여 ‘皆’로 바로잡았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