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傳義(上)

주역전의(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전의(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 大畜 序卦 有无妄然後可畜이라 故受之以大畜이라하니라 无妄則爲有實이라 故可畜聚 大畜所以次无妄也 爲卦艮上乾下하여 天而在於山中하니 所畜至大之象이라 爲畜止 又爲畜聚 止則聚矣 [一有又字]取天在山中之象則爲蘊畜이요 取艮之止乾則爲畜止 止而後有積이라 故止爲畜義니라
26. 大畜 ䷙
大畜 利貞니 不家食면니 利涉大川니라
[傳] 莫大於天而在山中하고 艮在上而止乾於下하니 皆蘊畜至大之象也 在人 爲學術道德 充積於內하니 乃所畜之大也 凡所畜聚皆是로되 專言其大者 人之蘊畜 宜得正道 故云利貞이니 若夫異端偏學 所畜至多而不正者 固有矣 旣道德充積於內 宜上在位하여 以(亨)[享]天祿하여 施爲於天下 則不獨於[一无於字]一身之吉이요 天下之吉也 若窮處而自食於家 道之否也 故不家食則吉이라 所畜旣大 宜施之於時하여 濟天下之艱險이니 乃大畜之用也 故利涉大川이라 只據大畜之義而言이요 更以卦之才德而言하며 諸爻則惟有止畜之義하니 蓋易 體道隨宜하여 取明且近者
彖曰 大畜 剛健 篤實 輝光야 日新其德이니
[傳] 以卦之才德而言也 乾體剛健하고 艮體篤實하니 人之才剛健篤實이면 則所畜能大하여 充實而有輝光하니 畜之不已 則其德日新也
剛上而尙賢고 能止健 大正也ㅣ라
[傳] 剛上 陽居上也 陽剛 居尊位之上하니 爲尙賢之義 止居健上하니 爲能止健之義 止乎健者 非大正則安能이리오 以剛陽在上與尊尙賢德 能止至健 皆大正之道也
不家食吉 養賢也ㅣ오
利涉大川 應乎天也ㅣ라
[傳] 大畜之人 所宜施其所畜하여 以濟天下 故不食於家則吉이니 謂居天位, 享天祿也 國家養賢하면 賢者得行其道也 利涉大川 謂大有蘊畜之人 宜濟天下之艱險也 更發明卦才하여 云所以能涉大川者 以應乎天也 六五 君也 下應乾之中爻 乃大畜之君 應乾而行也 所行 能應乎天이면 无艱險之不可濟어든 況其他乎
象曰 天在山中 大畜이니 君子야 多識前言往行야 以畜其德니라
[傳] 天爲至大而在山之中 所畜至大之象이니 君子觀象하여 以大其蘊畜이라 人之蘊畜 由學而大하나니 在多聞前古聖賢之言與行하여 考跡以觀其用하고 察言以求其心하여 識而得之하여 以畜成其德이니 乃大畜之義也
初九 有厲ㅣ리니 利已니라
[傳] 大畜 艮止畜乾也 故乾三爻 皆取被止[一作止之]爲義 艮三爻 皆取止之爲義 初以陽剛으로 又健體而居下하니 必上進者也로되 六四在上하여 畜止於己하니 安能敵在上得位之勢리오 若犯之而進則有危厲 故利在已而不進也 在他卦則四與初爲正應하여 相援者也로되 在大畜則相應 乃爲相止畜이라 上與三皆陽則爲合志 蓋陽 皆上進之物이라 故有同志之象이요 而无相止之義
象曰 有厲利已 不犯災也ㅣ라
[傳] 有危則宜已 不可犯災危而行也其勢而進이면 有災必矣
九二 이로다
[傳] 二爲六五所畜止하여 勢不可進也 五據在上之勢하니 豈可犯也리오 二雖剛健之體 然其處得中道 故進止无失하여 雖志於進이나 度其勢之不可하고 則止而不行하니 如車輿脫去[一有其字[輪輹이니 謂不行也
象曰 輿說輹이라 无尤也ㅣ라
[傳] 輿說輹而不行者 蓋其處得中道하여 動不失宜 故无過尤也 善莫善於剛中하니 柔中者 不至於過柔耳 剛中 中而才也 初九 處不得中이라 故戒以有危宜已 得中하여 進止自无過差 故但言輿說輹하니 謂其能不行也 不行則无尤矣 하니 時之盛衰 勢之强弱 學易者所宜深識也니라
九三 良馬逐이니 利艱貞니 閑輿衛 利有攸往리라
[傳] 三 剛健之極이요 而上九之陽 亦上進之物이며 又處畜之極而思變也하여 與三乃不相畜하고 而志同相應以進者也 三以剛健之才 而在上者與合志而進하여 其進 如良馬之馳逐이니 言其速也 雖其進之勢[一作志]速이나 不可恃其才之健 與上之應而忘備與愼也 故宜艱難其事而由貞正之道 輿者 用行之物이요 衛者 所以自防이니 當自[一无自字]日常閑習其車輿與其防衛 則利有攸往矣 三乾體而居正하니 能貞者也로되 當有銳進이라 故戒以知難與不失其貞[一作正]也 志旣銳於進이면 雖剛明이라도 有時而失하니 不得不誡也
象曰 利有攸往 合志也라
[傳] 所以利有攸往者 以與在上者合志也일새라 上九 陽性上進하고 且畜已極이라 故不下畜三而與[一有三字]合志上進也
六四 童牛之牿이니 元吉니라
[傳] 以位而言이면 則四下應於初하니 畜初者也 初居最下하여 陽之微者 微而畜之 則易制 猶童牛而加牿이니 大善而吉也 槪論畜道하면 則四艮體 居上位而得正하니 以正德으로 居大臣之位하여 當畜之任者也 大臣之任 上畜止人君之邪心하고 下畜止天下之惡人[一无人字]이니 人之惡 止於初則易하고 旣盛而後禁則扞格而難勝이라 故上之惡旣甚이면 則雖聖人救之라도 不能免違拂이요 下之惡旣甚이면 則雖聖人治之라도 不能免刑戮이니 莫若止之於初 如童牛而加牿則元吉也 牛之性 觝觸以角이라 故牿以制之 若童犢始角而加之以牿하여 使觝觸之性不發이면 則易而无傷이라 以況六四能畜止上下之惡於未發之前하니 則大善之吉也
象曰 六四元吉 有喜也ㅣ라
[傳] 天下之惡 已盛而止之 則上勞於禁制而下傷於刑誅 故畜止於微小之前이면 則大善而吉하여 不勞而无傷이라 故可喜也 四之畜初是也 上畜亦然하니라
六五 ㅣ니니라
[傳] 六五居君位하여 止畜天下之邪惡하니 夫以億兆之衆으로 發其邪欲之心 人君欲力以制之 雖密法嚴刑이라도 不能勝也 夫物有總攝하고 事有機會하니 聖人 操得其要하여 則視[一无視字]億兆之心 猶一心하여 道之斯行하고 止之則戢이라 故不勞而治하나니 其用 若豶豕之牙也 剛躁之物이요 而牙爲猛利하니 若强制其牙 則用力勞而不能止其躁猛이니 雖縶之維之라도 不能使之變也 若豶去其勢 則牙雖存而剛躁自止하니 其用如此 所以吉也 君子發豶豕之義하여 知天下之惡 不可以力制也하니 則察其機, 持其要하여 塞絶其本原이라 故不假刑法嚴峻而惡自止也 且如止盜하니 民有欲心하여 見利則動하나니 苟不知敎而迫於飢寒이면 雖刑殺日施라도 其能勝億兆利欲之心乎 聖人則知所以止之之道하여 不尙威刑而修政敎하여 使之有農[一作耕]桑之業하고 知廉恥之道하여 雖賞之라도 不竊矣 故止惡之道 在知其本, 得其要而已 不嚴刑於彼而修政於此 是猶患[豕]牙之利 不制其牙而豶其勢也
象曰 六五之吉 有慶也ㅣ라
[傳] 在上者 不知止惡之方하여 嚴刑以敵民欲이면 則其傷甚而无功하나니 若知其本하여 制之有道 則不勞无傷而俗革이니 天下之福慶也
上九 (何)天之衢ㅣ니니라
[傳] 予聞之胡先生하니 曰 天之衢亨 誤加何字라하니라 事極則反 理之常也 故畜極而亨이라 小畜 畜之小 故極而成이요 大畜 畜之大 故極而散이라 極旣當變이요 又陽性上行이라 故遂散也 天衢 天路也 謂虛空之中이니 雲氣飛鳥往來 故謂之天衢 天衢之亨 謂其亨通曠闊하여 无有蔽阻也 在畜道則變矣 變而亨이요 非畜道之亨也
象曰 何天之衢 大行也ㅣ라
[傳] 何以謂之天衢 以其无止礙하여 道路大通行也일새라 以天衢非常語 故象特設問曰 何謂天之衢 以道路大通行이라하니 取空豁之狀也 以象有何字 故爻下 亦誤加之하니라
역주
역주1 : 탁
역주2 여탈복(輿說輹) : 복(輹)은 복토(伏兎)로 수레와 굴대를 연결하는 나무이다.
역주3 초여이(初與二)……음유이능지(陰柔而能止) : 사계(沙溪)는 “초구(初九)와 구이(九二)가 비록 강건(剛健)하나 나아가지 못하는 까닭은 축지(畜止)의 때라서 나아감에 불리하고 또 초효(初爻)와 이효(二爻)가 모두 아래에 있어 형세가 나아갈 수 없기 때문이며, 육사(六四)와 육오(六五)가 비록 음유(陰柔)이나 건(健)을 저지하는 까닭은 축지(畜止)의 때라서 그침에 있고 또 사효(四爻)와 오효(五爻)가 모두 위에 있어 형세가 충분히 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니, 이러한 내용이 《근사록(近思錄)》 주(註)에 보인다.” 하였다. 《경서변의(經書辨疑)》
역주4 : 日
역주5 시소위복형자야(詩所謂楅衡者也) : 복형(楅衡) 역시 쇠뿔에 가로댄 나무로 《시경(詩經)》 〈노송(魯頌) 민궁(閟宮)〉에 보인다.
역주6 분시지아(豶豕之牙) : 퇴계(退溪)의 《경서석의(經書釋義)》와 언해(諺解)에 모두 ‘시(豕)의 아(牙)를 분(豶)하다’로 해석하였으나 현재의 문법(文法)에 모두 맞지 않으므로 위와 같이 의역(意譯)하였음을 밝혀둔다.
周易正義(2)(주역정의(2)) 周易兼義 上經 隨傳 卷第三> 26. 大畜䷙ 乾下艮上
大畜 利貞하니 不家食하면하고 利涉大川하니라
大畜은 貞함이 이로우니, 집에서 밥을 먹지 않으면 길하고, 大川을 건넘이 이롭다.
[疏]正義曰:謂之‘大畜’者, 乾健上進, 艮止在上, 止而畜之, 能畜止剛健, 故曰“大畜.”
正義曰:[大畜] 乾의 굳셈이 위로 나아가고 艮의 그침이 위에 있어서 그쳐 저지하여 능히 강건함을 저지한다. 그러므로 “大畜”이라 한 것이다.
彖云“能止健, 大正也.” 是能止健, 故爲大畜也.
〈彖傳〉에 “능히 굳셈을 저지함은 크게 바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능히 강건함을 저지하기 때문에 大畜이 된 것이다.
小畜則巽在乾上, 以其巽順, 不能畜止乾之剛, 故云小畜也. 此則艮能止之, 故爲大畜也.
小畜은 巽이 乾 위에 있으니 巽順하여 乾의 剛함을 저지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小畜’이라 이름한 것이고, 이것은 艮이 능히 乾을 저지하므로 ‘大畜’이라 한 것이다.
‘利貞’者, 人能止健, 非正不可, 故利貞也.
[利貞] 사람이 능히 굳셈을 저지함은 바름이 아니면 불가하다. 그러므로 貞함이 이로운 것이다.
賢人, 不使賢人在家自食, 如此乃吉也.
[不家食吉] 자기에게 大畜의 물자가 있으면 마땅히 賢人을 길러주고 넉넉히 하여 賢人으로 하여금 집에 있으면서 스스로 밥을 먹지 않게 하여야 하니, 이와 같이 하여야 비로소 길하다.
‘利涉大川’者, 豐則養賢, 應於天道, 不憂險難, 故利涉大川.
[利涉大川] 풍성하면 賢人을 길러서 天道에 응하여 험난함을 근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大川을 건넘이 이로운 것이다.
彖曰 大畜 剛健篤實하니 輝光하여 日新其德하나니라
〈彖傳〉에 말하였다. “大畜은 강건하고 독실하니, 빛나서 날로 그 德을 새롭게 한다.
[注]凡物旣厭而退者 弱也 旣榮而隕者 薄也 夫能輝光하여 日新其德者 唯剛健篤實也
모든 물건이 이미 만족하고서 물러가는 것은 약한 것이요, 이미 꽃이 피고서 떨어지는 것은 얇은 것이니, 능히 빛나서 날로 德을 새롭게 하는 것은 강건함과 독실함일 뿐이다.
[疏]正義曰:言‘大畜剛健篤實’者, 此釋大畜之義.
正義曰:[大畜剛健篤實] 이는 大畜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剛健, 謂乾也, 乾體剛性健, 故言剛健也. 篤實, 謂艮也, 艮體靜止, 故稱篤實也.
‘剛健’은 乾을 이르니, 乾은 體가 강하고 성질이 굳세므로 ‘剛健’이라 말하였다. ‘篤實’은 艮을 이르니, 艮은 體가 고요하고 그치므로 ‘篤實’이라 말하였다.
‘輝光 日新其德’者, 以其剛健篤實之故, 故能輝耀光榮, 日日增新其德.
[輝光 日新其德] 剛健하고 篤實하기 때문에 진실로 능히 빛나고 영광스러워서 날마다 德을 더하고 새롭게 하는 것이다.
若无剛健, 則劣弱也, 必旣厭而退, 若无篤實, 則虛薄也, 必旣榮而隕. 何能久有輝光, 日新其德乎.
만약 강건함이 없으면 용렬하고 약하니 반드시 이미 만족하면 물러가고, 만약 독실함이 없으면 허약하고 얇으니 반드시 이미 꽃을 피우면 떨어진다. 어찌 능히 오랫동안 빛나는 광채를 소유하여 날로 德을 새롭게 할 수 있겠는가.
[疏]○注‘凡物旣厭’至‘剛健篤實也’
○注의 [凡物旣厭]에서 [剛健篤實也]까지
○正義曰:‘凡物旣厭而退者 弱也’者, 釋經剛健也. 若不剛健, 則見厭被退, 能剛健, 則所爲日進, 不被厭退也.
○正義曰:[凡物旣厭而退者 弱也] 經文의 ‘剛健’을 해석한 것이다. 만약 강건하지 못하면 만족함을 보고 물러감을 당하나, 능히 강건하면 하는 바가 날로 나아가서 만족하여 물러감을 당하지 않는다.
‘旣榮而隕者 薄也’者, 釋經篤實也. 凡物暫時榮華而卽落者, 由體質虛薄也.
[旣榮而隕者 薄也] 經文의 ‘篤實’을 해석한 것이다. 모든 물건이 잠시 꽃이 피었다가 즉시 떨어지는 것은 체질이 허약하고 薄하기 때문이다.
若能篤厚充實, 則恒保榮美, 不有(損)[隕]落也.
만약 篤厚하고 충실하면 항상 영화와 아름다움을 보존하여 떨어짐이 있지 않은 것이다.
剛上而尙賢하고
剛이 위에 있으면서 賢人을 높이고,
[注]謂上九也 處上而大通하고 剛來而不距 尙賢之謂也
上九를 말한 것이니, 上에 처하여 크게 통하고, 剛이 와도 막지 않음은 賢者를 높임을 이른다.
[疏]‘剛上而尙賢’
經의 [剛上而尙賢]
○正義曰:剛上, 謂上九也, 乾剛向上, 上九不距, 是貴尙賢也.
○正義曰:‘剛上’은 上九를 이른다. 乾의 剛함이 위로 향하는데 上九가 막지 않으니, 이는 賢者를 귀하게 여기고 높이는 것이다.
[疏]○注‘謂上九’至‘尙賢之謂也’
○注의 [謂上九]에서 [尙賢之謂也]까지
○正義曰:[謂上九也] 上九의 德이 乾이 위로 나오는 것을 보고서 막거나 거스르지 않으니, 이는 賢人을 귀하게 여기고 높임을 말한 것이다.
‘處上而大通’者, 釋上九何天之衢亨, 是處上通也. 旣處於上, 下應於天, 有大通之德也.
[處上而大通] 上九의 “어찌 막겠는가. 하늘의 길거리가 형통하다.[何 天之衢亨]”를 해석한 것이니, 이는 上에 처하여 통한 것이다. 이미 上에 처하여 아래로 하늘에 응함은 大通의 德이 있는 것이다.
‘剛來而不距’者, 以有大通, 旣見乾來而不距逆, 是尙賢之義也.
[剛來而不距] 크게 통함이 있어서 이미 乾이 오는 것을 보고도 막거나 거스르지 않으니, 이는 賢人을 높이는 뜻이다.
能止健 大正也
능히 굳셈을 저지함은 크게 바르기 때문이다.
[注]健莫過乾이어늘 而能止之하니 非夫大正이면 未之能也
굳셈은 乾보다 더한 것이 없는데 능히 이를 저지하니, 크게 바름이 아니면 능하지 못하다.
[疏]正義曰:釋利貞義, 所以艮能止乾之健者, 德能大正, 故能止健也.
正義曰:‘貞함이 이로움’의 뜻을 해석하였으니, 艮이 乾의 굳셈을 능히 저지하는 까닭은 德이 크게 바르기 때문에 능히 굳셈을 저지하는 것이다.
不家食吉 養賢也 利涉大川 應乎天也
‘집에서 밥을 먹지 않으면 길함’은 賢者를 기르는 것이요, ‘大川을 건넘이 이로움’은 하늘에 응하는 것이다.”
[注]有大畜之實하고 以之養賢하여 令賢者 不家食이라야 乃吉也
大畜의 실제가 있고 이로써 賢者를 길러서 현자로 하여금 집에서 밥을 먹지 않게 하여야 비로소 길한 것이다.
尙賢制健하며 大正應天하여 不憂險難이라 利涉大川也
현자를 높이고 굳셈을 저지하며 크게 바름으로 하늘에 응하여 험난함을 근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大川을 건넘이 이로운 것이다.
[疏]‘不家食吉’至‘應乎天也’
經의 [不家食吉]에서 [應乎天也]까지
○正義曰:‘不家食吉 養賢’者, 釋不家食吉, 所以不使賢者在家自食而獲吉也.
○正義曰:[不家食吉 養賢] ‘집에서 밥을 먹지 아니하여 길함’을 해석한 것이니, 賢者로 하여금 집에 있으면서 스스로 밥을 먹지 않게 하므로 길함을 얻는 것이다.
以在上, 有大畜之實, 養此賢人, 故不使賢者在家自食也.
위에 있으면서 大畜의 실제가 있어서 이 賢人을 기른다. 그러므로 賢者로 하여금 집에 있으면서 스스로 밥을 먹지 않게 하는 것이다.
‘利涉大川 應乎天’者, 以貴尙賢人, 大正應天, 可踰越險難, 故利涉大川也.
[利涉大川 應乎天] 현인을 귀하게 여기고 높이며 크게 바름으로 하늘에 응하면 험난함을 넘어갈 수 있다. 그러므로 大川을 건넘이 이로운 것이다.
[疏]○注‘有大畜之實’至‘利涉大川也’
○注의 [有大畜之實]에서 [利涉大川也]까지
○正義曰:‘尙賢制健’者, 謂上九剛來不距, 尙賢之謂也, 艮能畜剛, 制健之謂也.
○正義曰:[尙賢制健] 上九가 剛이 와도 막지 않음은 賢者를 높임을 이름이요, 艮이 능히 剛을 저지함은 굳셈을 저지함을 이름을 말한 것이다.
故上經云“剛而尙賢”, 王注云“謂上九也”, 又云“能止健, 大正也”,
그러므로 위의 經文에 이르기를 “剛이 위에 있으면서 賢者를 높인다.”라고 하였는데, 王輔嗣(王弼)의 注에 이르기를 “上九를 이른다.”라고 하였고, 또 “능히 굳셈을 저지함은 크게 바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는데,
王注云“健莫過乾而能止之, 非夫大正, 未之能也”, 則是全論艮體. 明知尙賢謂上九也, 制健謂艮體也.
王輔嗣의 注에 “굳셈은 乾보다 더한 것이 없는데 능히 이를 저지하니 크게 바름이 아니면 능하지 못하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艮의 體를 全的으로 논한 것이다. 그러니 ‘賢者를 높임’은 上九를 이른 것이고, ‘굳셈을 제재함’은 艮의 體를 이른 것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大正應天’者, 謂艮也, 故前文云“能止健, 大正也”, 止健是艮也, 應天者, 上體之艮, 應下體之乾, 故稱應天也.
[大正應天] 艮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앞글에 이르기를 “능히 굳셈을 저지함은 크게 바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으니, ‘굳셈을 저지함’은 바로 艮이고, ‘하늘에 응함’은 上體의 艮이 下體의 乾에 응하므로 “하늘에 응한다.”고 말한 것이다.
此取上卦下卦而相應, 非謂一陰一陽而相應也.
이는 上卦와 下卦가 서로 응함을 취한 것이요, 한 陰과 한 陽이 서로 응함을 말한 것이 아니다.
象曰 天在山中 大畜이니 君子以多識前言往行하여 以畜其德하니라
〈象傳〉에 말하였다. “하늘이 산 가운데 있는 것이 大畜卦이니, 君子가 보고서 前代의 말씀과 지나간 행실을 많이 기억하여 그 德을 쌓는다.”
[注]物之可畜於懷하여 令德不散 盡於此也
물건을 가슴속에 쌓아서 德으로 하여금 흩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여기에서 다하였다.
[疏]‘象曰’至‘以畜其德’
經의 [象曰]에서 [以畜其德]까지
○正義曰:‘天在山中’者, 欲取德積於身中, 故云“天在山中也.”
○正義曰:[天在山中] 德이 몸 가운데에 쌓임을 취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하늘이 산 가운데에 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君子以多識前言往行 以畜其德’者, 君子則此大畜, 物旣大畜, 德亦大畜,
[君子以多識前言往行 以畜其德] 君子가 이 大畜卦를 본받으니, 물건이 이미 크게 쌓이면 德 또한 크게 쌓인다.
故多記識前代之言‧往賢之行, 使多聞多見, 以畜積己德, 故云“以畜其德”也.
그러므로 前代의 말씀과 지나간 先賢의 행실을 많이 기억하여 많이 듣고 많이 보아서 자기의 德을 축적한다. 그러므로 “그 德을 쌓는다.”라고 말한 것이다.
[疏]○注‘物之可畜’至‘盡於此也’
○注의 [物之可畜]에서 [盡於此也]까지
○正義曰:物之可畜於懷, 令其道德不有棄散者, 唯貯藏前言往行於懷, 可以令德不散也, 唯此而已, 故云“盡於此也.”
○正義曰:물건을 가슴속에 쌓아서 도덕으로 하여금 버려지고 흩어짐이 있지 않게 하는 것은, 오직 前代의 말씀과 지나간 행실을 가슴속에 저장하여 德으로 하여금 흩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니, 오직 이것뿐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다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初九 有厲 利已하니라
初九는 위태로움이 있으나 그침이 이롭다.
[注]四乃畜己하여 未可犯也 進則有厲 已則利也
六四가 마침내 자기(初九)를 저지하여 범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나아가면 위태로움이 있으나 그만두면 이로운 것이다.
[疏]正義曰:初九雖有應於四, 四乃抑畜於己, 己今若往, 則有危厲, 唯利休已, 不須前進, 則不犯禍凶也, 故象云“不犯災也.”
正義曰:初九가 비록 六四에 응하나 六四는 도리어 자기를 억제하고 저지하니, 자기가 지금 만약 가면 위태로움이 있을 것이요, 오직 그만두는 것이 이로우니, 굳이 전진하지 않으면 禍와 흉함을 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象傳〉에 “재앙을 범하지 않는다.”라고 한 것이다.
象曰 有厲利已 不犯災也
〈象傳〉에 말하였다. “‘위태로움이 있으나 그만둠이 이로움’은 재앙을 범하지 않는 것이다.”
[注]處健之始하여 未果其健者 能利已
健의 始初에 처하여 그 강건함을 결행하지 않는 자이다. 그러므로 그침이 이로울 수 있는 것이다.
九二 輿說輹이로다
九二는 수레바퀴 통이 빠졌도다.
[注]五處畜盛하여 未可犯也 遇斯而進이라 輿說輹也
六五가 저지함의 성함에 처하여 범할 수가 없으니, 이를 만나고도 나아가기 때문에 수레바퀴 통이 빠진 것이다.
居得其中하여 能以其中으로 하고 遇難能止 无尤也
거함이 中을 얻어서 능히 中道로써 ‘江河를 맨몸으로 건너서 죽어도 후회하지 않음’을 하지 않고, 難을 만나면 능히 그치므로 허물이 없는 것이다.
[疏]正義曰:九二雖與六五相應, 五處畜盛, 未可犯也, 若遇斯而進, 則輿說其輹, 車破敗也.
正義曰:九二가 비록 六五와 서로 응하나 九五가 저지함의 성함에 처하여 범할 수가 없으니, 만약 이를 만나고도 나아가면 수레바퀴 통이 빠져서 수레가 부서진다.
以其居中, 能遇難而止, 則无尤過. 故象云“中, 无尤也.” 以其居中, 能自止息, 故无尤也. 此輿說輹, 亦假象以明人事也.
그러나 中에 거하여 능히 難을 만나 그치면 허물이 없다. 그러므로 〈象傳〉에 “中에 있어 허물이 없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中에 거하여 능히 스스로 그치기 때문에 허물이 없는 것이다. 여기에 수레바퀴 통이 빠졌다는 것은 또한 象을 빌려서 사람의 일을 밝힌 것이다.
象曰 輿說輹하여 无尤也
〈象傳〉에 말하였다. “‘수레바퀴 통이 빠짐’은 中에 있어 허물이 없는 것이다.”
九三 良馬逐하고 利艱貞하니 曰閑輿衛하여 利有攸往하니라
九三은 좋은 말로 달려가며, 어렵게 여기고 바름이 이로우니, 수레를 가로막는다 해도 호위하여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注]凡物極則反이라 畜極則通이라 初二之進 值於畜盛이라 不可以升이요
모든 물건은 極에 이르면 뒤집어진다. 그러므로 저지함이 지극하면 통하는 것이다. 初九와 九二의 나아감은 저지함이 성함을 만났기 때문에 올라갈 수가 없고,
至於九三하여는 升于上九로되 而上九處天衢之亨하여 塗徑大通하여 進无違距하여 可以馳騁이라 曰 良馬逐也
九三에 이르러서는 上九로 올라가는데 上九가 天衢의 형통함에 처하여 길이 크게 통해서 나아감에 어기거나 막는 것이 없으므로 달려갈 수가 있다. 그러므로 “좋은 말로 달려간다.”라고 한 것이다.
履當其位하고 進得其時하여 在乎通路하여 不憂險厄이라 利艱貞也
밟은 것이 제자리에 합당하고 나아감이 제때를 얻어서 통한 길에 있어 험함과 막힘을 근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放心하기 쉬우므로) 어렵게 여기고 바름이 이로운 것이다.
閡也 護也 進得其時 雖涉艱難이나 而无患也 輿雖遇閑이나 而故衛也 與上合志 利有攸往也
‘閑’은 막음이요 ‘衛’는 호위이니, 나아감에 제때를 얻으면 비록 험난함을 건너가나 근심이 없고, 수레가 비록 가로막음을 만나나 진실로 호위가 되며, 上과 뜻이 합하기 때문에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이다.
[疏]正義曰:‘九三良馬逐’者, 初‧二之進, 值於畜盛, 不可以升,
正義曰:[九三良馬逐] 初九와 九二의 나아감은 저지함이 성한 때를 만나서 올라갈 수가 없고,
至於九三, 升于上九, 而上九處天衢之亨, 塗徑大通, 進无違距, 故九三可以良馬馳逐也.
九三에 이르러서는 上九로 올라가는데 上九가 天衢의 형통함에 처하여 길이 크게 통해서 나아감에 어기거나 막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九三이 좋은 말로 달려갈 수 있는 것이다.
‘利艱貞’者, 履當其位, 進得其時, 在乎通路, 不憂險厄, 故宜利艱難而貞正也.
[利艱貞] 밟음이 제자리에 합당하고 나아감이 제때를 얻어서 통한 길에 있어 험함과 막힘을 근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어렵게 여기고 貞正함이 이로운 것이다.
若不值此時, 雖平易守正, 而尙不可, 況艱難而欲行正乎.
만약 이 때를 만나지 못하면 비록 평이한 곳에서 바름을 지키더라도 오히려 불가한데, 하물며 어려우면서 바름을 행하고자 함이랴.
[曰閑輿衛] 나아감이 제때를 얻어서 어려움을 건너감에 근심함이 없으니, 비록 “어떤 사람이 수레를 가로막고자 한다.”라고 하나 마침내 막고 호위하여 보호해준다. 그러므로 “수레를 가로막는다 해도 호위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利有攸往’者, 與上合志, 利有所往, 故象曰“上合志也.”
[利有攸往] 上과 뜻이 합하여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그러므로 〈象傳〉에 “上과 뜻이 합하였다.”라고 말한 것이다.
象曰 利有攸往 上合志也
〈象傳〉에 말하였다. “‘가는 바를 둠이 이로움’은 上과 뜻이 합하기 때문이다.”
六四 童牛之牿이니 元吉하니라
六四는 어린 소의 뿔에 가로로 나무를 댄 것이니, 크게 길하다.
[注]處艮之始하고 履得其位하여 能止健初하여 距不以角하고 柔以止剛하여 剛不敢犯하고
艮의 始初에 처하고 밟은 것이 正位를 얻어서, 능히 강건함의 처음을 저지하여 막음을 뿔로써 하지 않고 유순함으로써 剛을 저지하므로 剛이 감히 범하지 못하며,
抑銳之始하여 以息强爭하니 豈唯獨利리오 乃將有喜也
예리함의 처음을 억제하여 강한 다툼을 그치니, 어찌 혼자만 이로울 뿐이겠는가. 마침내 장차 기쁜 일이 있을 것이다.
正義曰:[童牛之牿] 艮의 始初에 처하고 밟은 것이 正位를 얻어서 능히 강건함의 처음을 억제하니, 이 初九를 막음에 굳이 뿔을 쓸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어린 소의 뿔에 가로 댄 나무를 사용하여 그 처음을 저지하는 것이다.
‘元吉’者, 柔以止剛, 剛不敢犯, 以息彊爭, 所以大吉而有喜也, 故象云“元吉, 有喜也.”
[元吉] 柔로써 剛을 저지하는데 剛이 감히 범하지 못해서 강한 다툼을 그치니, 이 때문에 크게 길하여 기쁜 일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象傳〉에 “元吉은 기쁜 일이 있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象曰 六四元吉 有喜也
〈象傳〉에 말하였다. “六四의 元吉은 기쁜 일이 있는 것이다.”
六五 豶豕之牙하니하니라
六五는 멧돼지의 이빨을 제거하니, 길하다.
[注]豕牙 橫猾剛暴하여 難制之物이니 謂二也 五處得尊位하여 爲畜之主하니
멧돼지의 이빨은 제멋대로 행동하고 剛暴해서 제재하기 어려운 물건이니, 九二를 이른다. 六五가 처함이 尊位를 얻어서 畜의 주체가 되었다.
二剛而進 能豶其牙하여 柔能制健하여 禁暴抑盛하니 豈唯能固其位리오 乃將有慶也
九二가 강하게 나오는데 능히 그 이빨을 제거하여 柔가 능히 굳셈을 제재해서 포악함을 금하고 성함을 억제하니, 어찌 다만 그 지위를 굳게 지킬 뿐이겠는가. 마침내 장차 福慶이 있을 것이다.
[疏]‘象曰’至‘豶豕之牙吉’
經의 [象曰]에서 [豶豕之牙吉]까지
○正義曰:‘豶豕之牙’者, 豕牙, 謂九二也, 二旣剛陽, 似豕牙之橫猾.
○正義曰:[豶豕之牙] ‘豕牙’는 九二를 이르니, 九二가 이미 剛陽이어서 멧돼지의 이빨이 멋대로 날뛰는 것과 같다.
九二欲進, 此六五處得尊位, 能豶損其牙, 故云“豶豕之牙.”
九二가 나오고자 하는데 이 六五가 처함이 尊位를 얻어서 능히 그 이빨을 제거하고 던다. 그러므로 “멧돼지의 이빨을 제거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柔能制剛, 禁暴抑盛, 所以吉也. 非唯獨吉, 乃終久有慶, 故象云“六五之吉, 有慶也.”
柔가 능히 剛을 제재하여 포악함을 금하고 성함을 억제하니, 이 때문에 길한 것이다. 비단 자기 혼자만 길한 것이 아니요 마침내 오랫동안 福慶이 있다. 그러므로 〈象傳〉에 “六五의 길함은 福慶이 있다.”라고 한 것이다.
[疏]○注‘豕牙橫猾’至‘將有慶’
○注의 [豕牙橫猾]에서 [將有慶]까지
○正義曰:‘能豶其牙’者, 觀注意, 則豶是禁制損去之名. 褚氏云“豶, 除也, 除其牙也.”
○正義曰:[能豶其牙] 注의 뜻을 살펴보면 ‘豶’은 바로 금하여 억제하고 덜어 제거하는 명칭이다. 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豶은 제거함이니, 그 이빨을 제거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然豶之爲除, 爾雅无訓. 案爾雅云“, 大防”, 則(豶)[墳]是隄防之義, 此豶其牙, 謂防止其牙.
그러나 豶이 제거함의 뜻이 됨은 ≪爾雅≫에 訓이 없다. 살펴보건대, ≪爾雅≫에 이르기를 “墳은 큰 제방이다.”라고 하였으니, 墳은 제방의 뜻인바, 여기의 ‘豶其牙’는 이빨을 막아 저지함을 이른다.
古字에는 假借하였으니, 비록 豕의 傍과 土의 邊이 다르나 그 뜻이 또한 통하는바, ‘豶其牙’는 그 이빨을 저지함을 이른다.
象曰 六五之吉 有慶也
〈象傳〉에 말하였다. “六五의 길함은 福慶이 있는 것이다.”
上九리오 天之衢亨하니라
上九는 어찌 막겠는가. 하늘의 길거리가 형통하다.
[注]處畜之極하여 畜極則通하니 大畜以至於大亨之時 辭也 猶云何畜이니 乃天之衢亨也
저지함의 極에 처하여 저지함이 지극하면 통하니, 大畜하여 크게 형통할 때에 이른 것이다. ‘何’는 조사이니, “어찌 저지하겠는가.”라고 말한 것과 같은바, 바로 하늘의 길거리가 형통한 것이다.
[疏]正義曰: 處畜極之時, 更何所畜.
正義曰:[何 天之衢亨] ‘何’는 어조사를 이르니, “어찌 저지하겠는가.”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저지함이 지극한 때에 처하여 다시 어떻게 저지하겠는가.
乃天之衢亨, 无所不通也, 故象云“何天之衢, 道大行也”, 何氏云“天衢旣通, 道乃大亨.”
이는 바로 하늘의 길거리가 형통한 것이니, 통하지 않는 바가 없다. 그러므로 〈象傳〉에 이르기를 “‘어찌 저지하겠는가. 하늘의 길거리가 형통하다.’는 道가 크게 행해지는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何氏(何妥)가 이르기를 “하늘의 길거리가 이미 통하여 道가 마침내 크게 형통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象曰 何天之衢 道大行也
〈象傳〉에 말하였다. “‘어찌 저지하겠는가. 하늘의 길거리가 형통하다.’는 道가 크게 행해지는 것이다.”
역주
역주1 不家食吉者……如此乃吉也 : 王弼과 孔穎達은 아래 〈彖傳〉에서 “不家食吉 養賢也”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인군이 賢者를 길러 현자로 하여금 ‘不家食’하게 하도록 하는 것으로 보았다. 반면 程伊川은 “이미 도덕이 안에 充積되었으면 마땅히 높은 지위에 있으면서 天祿을 누려 天下에 베풀어야 하니, 이렇게 하면 다만 한 몸이 길할 뿐만이 아니요, 천하가 길하다. 만약 곤궁하게 살아 스스로 집에서 밥을 먹으면 道가 비색하다. 그러므로 집에서 밥을 먹지 않으면 길한 것이다.[旣道德充積於內 宜上在位 以享天祿 施爲於天下 則不獨於一身之吉 天下之吉也 若窮處而自食於家 道之否也 故不家食則吉]”라고 하여, ‘不家食’을 학술과 도덕을 크게 온축한 자가 天子가 되어 天祿을 먹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역주2 (順)[贍] : 저본에는 ‘順’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ㆍ宋本에 의거하여 ‘贍’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3 (損)[隕] : 저본에는 ‘損’으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 〈校勘記〉에 “損은 隕이 되어야 하니, 위의 ‘旣榮而隕’에서 증명할 수 있다. 아래의 ‘不有損落’도 같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隕’으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역주4 謂上九也者……是貴尙賢也 : ‘剛上而尙賢’을 王弼과 孔穎達은 “陽爻가 上位에 있으면서 內卦인 乾卦가 위로 올라옴을 막지 않는 것”을 말한 것으로 보았는바, 이때 ‘剛’은 上九이고 ‘賢’은 乾卦이며 尙賢하는 주체는 上九이다. 반면 程伊川은 “‘剛上’은 陽이 위에 거한 것이다. 陽剛(上九)이 尊位의 위에 거하였으니, 賢人을 높이는 뜻이 된다.[剛上 陽居上也 陽剛 居尊位之上 爲尙賢之義]”라 하여, 上九가 六五의 위에 있는 것이 六五가 上九를 높이는 것이 된다고 보았다. 이때 ‘賢’은 上九이고, 尙賢하는 주체는 六五이다.
역주5 (主)[上] : 저본에는 ‘主’로 되어 있으나, 經文에 의거하여 ‘上’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 不爲馮河死而无悔 : ‘馮河’는 맨몸으로 江河를 건넘이니, 미련하고 무모한 행위를 의미한다. ≪論語≫ 〈述而〉에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맨손으로 범을 잡으려 하고 맨몸으로 江河를 건너려 하여 죽어도 후회함이 없는 자를 나는 함께하지 않을 것이니, 반드시 일에 임하여 두려워하며 도모하기를 좋아하여 成功하는 자와 함께할 것이다.’[子曰 暴虎馮河 死而無悔者 吾不與也 必也臨事而懼 好謀而成者也]”라고 보인다.
역주7 曰閑輿衛者……故云曰閑輿衛也 : ‘曰閑輿衛’의 ‘曰’을 王弼은 注에서 언급하지 않았으나, 孔穎達은 ‘曰’을 살려 疏를 내었으므로 이를 따라 經文을 번역하였다. 程伊川과 朱子는 모두 ‘日’로 바꾸어 해석하였다.
‘曰閑輿衛’의 ‘閑’을 王弼과 孔穎達은 ‘막음’으로 보아, 經文을 “비록 수레를 막는다고 하나 진실로 호위가 된다.”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閑’을 ‘익힘[閑習]’으로 보아, 經文을 “날마다 수레 타는 것과 호위하는 것을 익힌다.”로 해석하였다. 이에 대한 程伊川의 傳은 다음과 같다. “비록 나아가는 형세가 빠르나 재주의 剛健함과 윗사람의 응함을 믿고서 대비와 삼감을 잃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마땅히 그 일을 어렵게 여기고 貞正한 道를 따라야 하는 것이다. 수레는 길을 갈 때에 쓰는 물건이요 ‘衛’는 스스로 防衛하는 것이니, 스스로 날마다 항상 수레 타는 것과 防衛하는 것을 익히면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이다.[雖其進之勢速 不可恃其才之健 與上之應 而忘備與愼也 故宜艱難其事而由貞正之道 輿者 用行之物 衛者 所以自防 當自日常閑習其車輿與其防衛 則利有攸往矣]”
역주8 童牛之牿者……止其初也 : ‘童牛之牿’을 王弼과 孔穎達은 “六四가 初九를 저지함에 굳이 뿔을 쓰지 않고 어린 소의 뿔에 가로 댄 나무를 사용하는 것”의 의미로 보았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六四가 아직 미약한 初九를 저지하는 것이 소가 어려서 뿔이 자라기 전에 가로 댄 나무를 가하여 쉽게 저지함과 같음”의 의미로 보았다.
역주9 (豶)[墳] : 저본에는 ‘豶’으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 〈校勘記〉에 “여기의 두 ‘豶’자는 마땅히 ≪爾雅≫에 의거하여 ‘墳’이 되어야 하니, 아래의 이른바 ‘豕의 傍과 土의 邊이 다르다.’라는 것이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墳’으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역주10 能豶其牙者……謂止其牙也 : ‘豶’은 본래 ‘돼지를 거세함’의 訓이어서 注에 ‘豶其牙’라고 한 것이 의미가 통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疏를 낸 것이다.
程伊川은 ‘豶’을 본래의 訓(돼지를 거세함)대로 보고 “멧돼지는 강하고 조급한 물건이며 이빨은 사납고 날카로우니, 만약 그 이빨을 억지로 제지하면 힘을 씀이 수고로우나 그 조급하고 사나움을 저지하지 못하니, 비록 묶고 동여매더라도 변하게 할 수 없다. 그러나 만약 그 勢(고환)를 제거하면 이빨이 비록 있어도 강함과 조급함이 저절로 그쳐지니, 그 쓰임이 이와 같기 때문에 길한 것이다.[豕 剛躁之物 而牙爲猛利 若强制其牙 則用力勞而不能止其躁猛 雖縶之維之 不能使之變也 若豶去其勢 則牙雖存 而剛躁自止 其用如此 所以吉也]”라고 하였다.
역주11 何 天之衢亨者……猶云何畜也 : ‘何’를 王弼과 孔穎達은 어조사로 보고 “어찌 저지하겠는가.”의 뜻이라 하였다. 반면 程伊川은 “내가 胡先生(胡瑗)에게 들으니 ‘天之衢亨에 何자가 잘못 더해졌다.’라고 말씀하였다.[予聞之胡先生 曰 天之衢亨 誤加何字]”라고 하여 何자를 衍文으로 처리하였으며, 朱子는 “何天之衢는 어쩌면 그리도 통달함이 심하냐고 말한 것이다.[何天之衢 言何其通達之甚也]”라고 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