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 覃懷 底績샤 至于시다
覃懷 地名이니 地志 河內郡 有懷縣이라하니 今懷州也 曾氏曰 覃懷 平地也 當在孟津之東, 太行之西하니 淶水出乎其西하고 淇水出乎其東이라 方洪水懷山襄陵之時하여 而平地致功爲難이라 曰底績이라 衡漳 水名이니 古橫字 地志 漳水二 出上黨沾縣大黽谷이라하니 今平定軍樂平縣少山也 名爲淸漳이요 出上黨長子縣鹿谷山이라하니 今潞州長子縣發鳩山也 名爲濁漳이라 酈道元 謂之衡水라하고 又謂之橫水라하니 東至鄴하여 合淸漳하고 東北至阜城하여 入北河 今潞州涉縣也 阜城 今定遠軍東光縣也 ○ 又按桑欽云 二漳異源而下流相合하여 同歸于海라하고 唐人亦言漳水能獨達于海하니 請以爲瀆이라하여 而不云入河者 蓋禹之導河水大陸으로 至碣石入于海하여 本隨西山下東北去 周定王五年 河徙砱礫하니 則漸遷而東이로되 漢初 漳猶入河러니 其後 河徙日東하여 而取漳水益遠이라 至欽時하여 河自大伾而下 已非故道하여 而漳自入海矣 欽與唐人所言者如此하니라
역주
역주1 : 횡
역주2 : 강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覃懷에 厎績하사 至于衡(횡)漳하시다
覃懷 厎績하사 至于衡漳하시다
覃懷에서 功績을 이루어나가 衡漳에까지 이르셨다.
[傳]覃懷 近河地名이라 漳水橫流入河하니 從覃懷致功至橫漳하니라
覃懷는 황하에 가까운 땅의 이름이다. 漳水가 가로 흘러서 황하로 들어가니, 覃懷로부터 공적을 이루어나가 橫漳에 이른 것이다.
○衡 橫也 馬云 水名이라 附近之近이라
○衡은 橫(가로)의 뜻이다. 그러나 馬融은 “물 이름이다.”라고 하였다. 近은 ‘附近’의 近이다.
[疏]傳‘覃懷’至‘衡漳’
傳의 [覃懷]에서 [衡漳]까지
○正義曰:地理志河內郡有懷縣, 在河之北, 蓋覃懷二字共爲一地, 故云‘近河地名’.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의하면 河內郡에 懷縣이 있으니 황하의 북쪽에 있다. 아마 ‘覃懷’ 두 글자가 한 지대이기 때문에 ‘황하에 가까운 땅의 이름이다.’라고 한 것 같다.
‘衡’, 卽古橫字. 漳水橫流入河, 故云‘橫漳’. 漳在懷北五百餘里, 從覃懷致功而北至橫漳也.
‘衡’은 ‘橫’의 古字이다. 漳水가 가로 흘러서 황하로 들어가기 때문에 ‘橫漳’이라고 한 것이다. 漳水는 懷縣의 북쪽 500여 리의 지점에 있으므로 覃懷로부터 공적을 이루어나가 북쪽으로 橫漳에 이른 것이다.
地理志云 “淸漳水出上黨沾縣大黽谷, 東北至渤海阜城縣入河, 過郡五, 行千六百八十里, 此沾縣因水爲名.”
〈地理志〉에 “淸漳水가 上黨 沾縣 大黽谷에서 나와 동북쪽으로 渤海 阜城縣에 이르러 황하로 들어간 다음, 郡 다섯을 지나 1,680리를 흘러간다.”라고 하였으니, 이 沾縣은 물로 인해 〈縣의〉 이름을 삼은 것이다.
志又云 “沾水出壺關.” 志又云 “濁漳水出長子縣, 東至鄴縣入淸漳.”
〈地理志〉에 또 “沾水는 壺關에서 나온다.”라 하였고, 〈地理志〉에 또 “濁漳水가 長子縣에서 나와 동쪽으로 鄴縣에 이르러 淸漳으로 들어간다.”라고 하였다.
鄭玄亦云 “橫漳, 漳水橫流.” 王肅云 “衡‧漳, 二水名.”
鄭玄 또한 “橫漳은 漳水가 가로 흐른 것이다.”라고 하였다. 王肅은 “衡과 漳은 두 물 이름이다.”라고 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