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26. 子[ㅣ] 曰 衣敝縕袍야(고) 與衣狐貉者 立而不恥者 其由也與뎌
壞也 枲著也 衣有著者也 蓋衣之賤者 狐貉 以狐貉之皮爲裘 衣之貴者 子路之志如此 則能不以貧富動其心하여 而可以進於道矣 夫子稱之하시니라
[James Legge] The Master said, “Dressed himself in a tattered robe quilted with hemp, yet standing by the side of men dressed in furs, and not ashamed;-- ah! it is Yû who is equal to this!
26.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값싼 해진 솜옷을 입고서 여우나 담비 가죽으로 만든 값비싼 갖옷을 입은 자와 같이 서 있으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 자는 자로(子路)일 것이다.
不忮不求ㅣ면 何用不臧이리오(이리오니라)
害也 貪也 善也 言能不忮不求 則何爲不善乎리오 衛風雄雉之詩 孔子引之하여 以美子路也시니라 呂氏曰 貧與富交 强者 必忮하고 弱者 必求니라
[James Legge] He dislikes none, he covets nothing;-- what can he do but what is good!”
남을 해치지 않고 남의 것을 탐하지 않으니 어찌 선(善)하지 않겠는가?”
子路 終身誦之대[ㅣ] 曰 是道也 何足以臧이리오
終身誦之 則自喜其能하여 而不復求進於道矣 夫子復言此以警之하시니라 ○ 謝氏曰 恥惡衣惡食 學者之大病이니 善心不存 蓋由於此 子路之志如此하니 其過人 遠矣이나 以衆人而能此 則可以爲善矣어니와 子路之賢 宜不止此어늘 而終身誦之하니 則非所以進於日新也 激而進之하시니라
[James Legge] Tsze-lû kept continually repeating these words of the ode, when the Master said, “Those things are by no means sufficient to constitute perfect excellence.”
자로(子路)가 자신의 능함을 기뻐하여 위의 시구(詩句)를 종신(終身)토록 외우려 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 도(道)가 무엇이 그리 좋겠느냐.”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